||<-2> {{{#292929 '''{{{+1 민승호}}}[br]閔升鎬'''}}} || || '''이름''' ||<(> 민승호 (閔升鎬) || || '''본관''' ||<(> [[여흥 민씨]] (驪興) || || '''자''' ||<(> 복경 (復卿) || || '''시호''' ||<(> 충정 (忠正) || || '''출생''' ||<(> [[1830년]] || ||<|2> '''사망''' ||<(> [[1875년]] [[1월 5일]] (향년 45세)[* [[음력]] [[1874년]] [[11월 28일]]. [[민승호 암살 사건]] 문서 참조.] || ||<(> [[한성부]] || || '''직업''' ||<(> 정치가, 관료 || || '''종교''' ||<(> [[유교]] (성리학) || || '''국적''' ||<(> {{{-1 [[파일:조선 어기.svg|width=25]] [[조선]]}}} || || '''주요 경력''' ||<(> [[홍문관]] 교리[br][[규장각]] 직각[br]가례도감 부제조[br]이조참의[br]호조참판[br]형조판서[br]수원유수[br]병조판서 || || '''가족관계''' ||<(> 친부: 민치구[br]친모: 전주 이씨[br]누나: [[여흥부대부인]][br][[동생]]: [[민겸호]][br]양부: [[민치록]][br]양모: 한산 이씨[br]여동생: [[명성황후]][br]부인: 광산 김씨, 연안 김씨,덕수 이씨[br]양자: [[민영익]]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후기의 척신(戚臣)으로 본관은 [[여흥 민씨]]. 민치구의 둘째아들로 [[흥선대원군]] 부인인 여흥부대부인 민씨의 남동생으로 [[고종(대한제국)|고종]]의 외숙부인 동시에 [[명성황후]]의 양오빠가 된다. [[민승호 암살 사건]]으로 [[사망]]한다. == 생애 == 1830년(순조 30년) 판돈형부사를 지낸 [[민치구]]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위로 누나와 형이 있었는데 누나는 [[흥선대원군]]의 아내인 [[여흥부대부인]] 민씨이며 형은 민태호(閔泰鎬)이다. 아래로는 남동생 [[민겸호]]와 여동생이 있었다. 이후 1861년(철종 12년)에 11촌 아저씨이자 [[명성황후]]의 생부인 [[민치록]]의 [[양자(가족)|양자]]로 [[입양]]되었다. 이에 따라 명성황후의 양오빠가 되었다. 1864년(고종 1년) 중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왕이 된 고종의 휘하 [[관료]]로 입문하게 되었고 1866년(고종 3년)에 양누이인 명성황후가 고종의 [[왕비]]가 되면서 이조참의를 지냈다. 이 때 고종의 입장에선 외삼촌이 처남이 된 셈이다. 이후 호조참판, 형조판서, 병조판서를 지냈다.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의 갈등 국면에서는 친동생인 [[민겸호]], 친척동생인 [[민태호(조선)|민태호]][* 민승호의 형인 민태호(閔泰鎬)가 아니라 민치삼의 아들이자 동명이인인 민태호(閔台鎬)이다. 이 사람의 아들인 [[민영익]]이 이후 명성황후 친정의 대를 이을 민승호의 양자로 갔으며 딸은 명성황후의 며느리가 되니 바로 [[순명효황후]]이다. 여러모로 민승호 및 명성황후와 인연이 깊은 사람이다.] 등과 함께 명성황후의 입장을 지지하였으며 1873년 흥선대원군이 실각되었을 때는 명성황후에게 공로를 인정받아 [[민(성씨)|민씨]] 족당의 수령이 되었다. >'''[[운현궁#s-4|"운현궁…"]]''' >---- >― 민승호의 유언[* 운현궁은 당시 '''[[흥선대원군]]'''이 살던 장소이다.] 그러나 [[1875년]] [[1월 5일]], 자택에 있던 중 한 [[수령]]이 보낸 [[선물]]을 받게 되면서 선물을 개봉하려는 중 [[민승호 암살 사건|폭탄이 터져서 그 자리에서 숨졌다.]] 동시에 일가족도 모두 그 자리에서 숨졌으며 이때 그의 양어머니 이씨와 아들도 함께 사망했는데 만약 이 폭살의 배후 조종자가 흥선대원군이 맞다면 흥선대원군은 자기 처남과 [[사부인]]을 죽인 셈이 된다. 폭사 이후 고종으로부터 '충정(忠正)'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민승호의 조카 [[민영환]]의 시호도 민승호와 같은 '충정공'이다. 일반적으로 '민충정공'이라고 지칭하면 주로 민영환을 뜻하는 것이다.] == 대중매체 == * 1965년 영화 <[[청일전쟁과 여걸 민비]]>에서는 배우 최성호가 연기했다. * 1990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 제11화 <[[대원군(MBC)|대원군]]>에서는 탤런트 [[임정하]]가 연기했다. * 2001년 KBS 2TV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는 배우 김효원이 연기했다. [[분류:1830년 출생]][[분류:1875년 사망]][[분류:암살된 인물/한국사]][[분류:폭발물에 죽은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테러 피해자]][[분류:병조판서]][[분류:조선의 외척]][[분류:여흥 민씨 삼방파]][[분류:수구파]][[분류:조선의 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