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민병렬진보당.jpg|width=100%]]}}} || || '''이름''' ||민병렬(閔丙烈) || || '''본관''' ||[[여흥 민씨]][* 의암공파 30세 병(丙) 항렬.] || ||<|2> '''출생''' ||[[1961년]] [[9월 9일]][* 음력 7월 30일.] || ||[[부산광역시]] || || '''본적''' ||[[전라남도]] [[화순군]][* 깃발사건 다큐멘터리의 나레이션 12초 쯤에서 전라남도 [[화순군]]이 민병렬의 고향이라고 소개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muX4s-Y8Wlw|#]]][* 조부 민영근(閔泳根)과 아버지 민완식(閔玩植, 초명 민남식閔南植)의 묘소가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용두리에 있다.] || || '''학력''' ||[[서울대학교]] {{{-1 ([[사회학]] / [[학사]])}}} || || '''소속''' ||[include(틀:진보당(2020년))] || || '''혈액형''' ||B형 || || '''홈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13100437028|[[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생애 == 1961년 9월 9일 부산광역시에서 아버지 민완식(閔玩植, 1928. 12. 20 ~ 2017. 1. 29)[* 초명 민남식(閔南植).]과 어머니 [[전주 이씨]] 이규남(李圭南, 1930. 8. 4 ~ 1998. 3. 20)[* 이흥신(李興信)의 딸이다.] 사이의 1남 5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 학창 시절 === 재수를 해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했으며, 1982년에는 거기에서 학회장까지 지냈다. 하지만, 민주화시위로 구속되었고, 다시 훈방이 되었지만, 1985년 [[서울대학교 민주화추진위원회 사건]]으로 재차 구속되었다. 결국 제적을 2번 당한 결과 1989년이 되어서야 졸업을 했다. === 정계 입문 이전 === [[1988년]]에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있는 사상공단에 용접공으로 입사했고, [[1990년]]에는 부산 노동단체협의회에서 노동자를 상담하기도 했다. 이후 [[1995년]]에는 5.18학살자 전원처벌 특별법(5.18 특별법) 제정을 위해 활동하기도 했다.그리고 이로부터 1년 뒤 김영삼 정부이 노동법을 날치기 통과를 하자 이에 항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노동법 날치기 원천무효 범시민대책위 집행위원으로도 활동한 적 있다. === 정계 입문 이후 === [[1997년]]에 당시 국민승리21의 대통령 후보였던 [[권영길]]의 부산선대본 기획위원장 자리에서 활동하는 것을 시작으로 국보법 철폐, 기본권 보장등 많은 활동을 했다. 그리고 [[1999년]], [[민주노동당]] 창당 발기인으로서 참가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시작을 하게 된다. 이후 민주노동당 부산시당 부위원장을 지내고 2009년부터 위원장을 맡았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산 진구청장 후보로 출마를 했지만 12.4%(19,287표)를 받고 3위로 낙선했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부산진구 을]] 후보로 출마했지만 이때는 민주당이 워낙 죽을 쓴 선거였기에, 5위로 낙선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를 바꿔, 통합진보당 당적으로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출마를 했지만 [[이재균(정치인)|이재균]] 후보와 불과 3600여표 차이로 낙선을 했다. 만약 3700표만 더 얻었더라면 부산에서 최초로 진보정당 당선자가 나왔을 것이다. 득표율은 37.6%.[* 부산은 민주당계 정당이 선전하는 지역이지, 울산광역시, [[창원시]] [[성산구]], [[거제시]], [[고양시]], [[인천광역시]] [[동구(인천광역시)|동구]],[[남동구]]처럼 [[정의당]] 등 진보 정당이 강한 지역이 아니다. 기껏해야 [[한진중공업]]이 있는 [[영도구]]에서 그나마 강세이다, 민병렬이 [[영도구]]에 나온 이유는 바로 이것이다.][* 당시 통합진보당 당선자가 선전한 곳이 부산에 한지역이 더 있었는데, 바로 [[고창권]]이 있는 [[해운대구]]-[[기장군]] 갑. 물론 이름과 다르게 [[기장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2019년 현재는 [[해운대구 을]])] [[2012년]] [[9월 25일]]에 [[제18대 대통령 선거]] 출마선언을 하였으나 [[이정희]] 후보에게 밀렸다. 그리고 [[201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는 또 영도구 후보로 출마했지만 이번에는 12.3%를 받아 3위로 낙선했다.[* 여담으로 이때 2위는 바로 [[김비오]]다.] 최근까지 민중의 꿈[* [[새민중정당]] [[창당준비위원회]] 전신 단체.] 부산대표를 지냈다. == 여담 == * 아내가 [[박영미(정치인)|박영미]] 현 [[더불어민주당]] 중구 영도구 지역위원장이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부산 부산진구청장 ||<|2> [include(틀:민주노동당)] || 19,287 (12.41%) || 낙선(3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부산진구 을|부산진 을]] || 3,810 (6.15%) || 낙선(5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 부산 [[영도구(선거구)|영도]] ||<|2> [include(틀:통합진보당)] || 23,718 (37.64%) || 낙선(2위) || || || 2013 || [[201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9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5,090 (11.95%) || 낙선(3위)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61년 출생]][[분류:여흥 민씨]][[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진보당(2020년)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