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cfa547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include(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include(틀:대한체육회 회장)] ---- [include(틀:대한축구협회의 역대 회장)] ---- [include(틀:박정희 정부의 국무위원(제3공화국))] ---- [include(틀:박정희 정부의 국무위원(제4공화국))]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중구·성동구 을|{{{#cfa547 제1선거구}}}]])'''}}} || || 제9대[br][[오제도]][br]정대철 || → || '''제10대'''[br][[정대철]][br]'''민관식''' || → || 제11대[br][[이종찬(1936)|이종찬]][br][[김판술]] || ---- [include(틀:역대 성균관대학교 이사장)] }}} || ||<-2> '''[[대한민국 국회부의장|{{{#cfa547 대한민국 제10대 국회부의장}}}]][br]{{{#cfa547 {{{+1 민관식}}}[br]閔寬植 | Min Kwan-shi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관식 부의장.png|width=100%]]}}} || ||<|2> '''출생''' ||[[1918년]] [[5월 3일]] || ||[[경기도]] 개성군 (現 [[개성시]]) || ||<|2> '''사망''' ||[[2006년]] [[1월 16일]] (향년 87세)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자택 || || '''본관''' ||[[여흥 민씨]][* 석봉공파(石峰公派) 29세 식(植) 항렬.] || || '''호''' ||소강(小崗) || ||<|6> '''재임기간''' ||제20대 문교부 장관 || ||[[1971년]] [[6월 4일]] ~ [[1974년]] [[9월 17일]] || ||제10대 국회부의장[* [[백두진]]의 국회의장 사퇴로 인해 국회의장 권한대행 수행 ([[1979년]] [[12월 18일]] ~ [[1980년]] [[10월 27일]])] || ||[[1979년]] [[3월 17일]] ~ [[1980년]] [[10월 27일]] || ||제3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1989년]] [[1월 9일]] ~ [[1991년]] [[7월 1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민영필, 어머니 [[경주 김씨]] || || '''형제자매''' ||형 민창식[* 閔蒼植. 1896년생.], 민태식[* 閔太植. 1899 ~ 1936. 3. 9.], 민완식[* 閔完植. 1911 ~ 1947. 12. 8.], 누나 1명 || || '''배우자''' ||김영호[* 1925년생. [[광산 김씨]]이다.] || || '''자녀''' ||장남 민병의[* 閔丙毅. 1943년생. [[고려대학교]] 출신이다.], 차남 민병찬[* 閔丙贊. 1954년생.], 3남 민병환[* 閔丙煥. 1957년생.] || || '''학력''' ||[[경기고등학교|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농업생명과학대학|수원고등농림학교]] {{{-2 (졸업)}}}[br]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 {{{-2 (농림화학 / 학사)}}}[br][[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 {{{-2 ([[법학]] / [[박사]])}}} || || '''종교''' ||[[불교]] || || '''의원 선수''' ||'''5''' || || '''의원 대수''' ||'''[[제3대 국회의원|3]]''', '''[[제4대 국회의원|4]]''', '''[[제5대 국회의원|5]]''', '''[[제6대 국회의원|6]]''', '''[[제10대 국회의원|10]]''' || || '''약력''' ||제3대 민의원의원(서울 동대문구)[br]제4대 민의원의원(서울 동대문구 갑/무소속)[br]제5대 민의원의원(서울 동대문구 갑/민주당)[br] 제6대 국회의원(서울 동대문구 갑/민주당) [br]제10대 국회의원(동대문구 갑/민주공화당)[br]제 22대 대한체육회 회장[br]제10대 전반기 국회부의장[br]제15~21대 대한약사회 회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체육인, [[정치인]]. 막내아들 민병환(閔丙煥, 1957 ~ )은 [[이명박 정부]] 때 [[국가정보원]] 제2[[차장]]을 역임하였다. == 생애 == 1918년 5월 3일 [[경기도]] [[개성시|개성군]](現 [[개성시]])에서 아버지 민영필(閔泳弼, 1867 ~ ?)과 어머니 [[경주 김씨]](1866 ~ ?) 사이의 4남 1녀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의 전신인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전신인 수원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1942년 [[교토제국대학]] 농림화학과를 졸업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당선 직후 [[자유당]]에 입당하였으나 [[사사오입 개헌]]에 반발하였다가 제명되었다. 이후 호헌동지회, 정우회 등에 속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9월 [[민주당(1955년)|민주당]]에 입당하여 [[김영삼]], [[박준규(1925)|박준규]] 등과 구파에 속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구파 출신들과 민주당을 탈당하여 [[신민당(1960년)|신민당]]을 창당하였다. || [[파일:5대총선 서울5-동대문갑 민관식 공보.jpg|width=300]] ||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5구 - 동대문구 갑) 선거공보[br]|| 1961년 [[5.16 쿠데타]]로 신민당이 해산되자 [[박준규(1925)|박준규]], [[김재순]] 등과 함께 민주공화당 창당에 합류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4년부터 1971년까지 [[대한체육회]]장을 지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1967년)|신민당]] [[송원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신민당 송원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부터 1974년까지 문교부(현 [[대한민국 교육부]])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장관]]을 역임하였다. 1971년 6월 4일 문교부장관으로 임명된 것은 민관식이 [[김종필]] 라인인 점이 작용해서였다.[* 다만 민관식은 [[김종필계]]였지만 과거 [[백남억]], 박준규 등과 민주당 구파였던지라 4인방과도 나름 친분이 있었다.] 당시 신임 [[국무총리]]는 김종필 민주공화당 부총재였다. 한편 문교부장관이던 1973년 4월 [[기생관광]]을 옹호한 발언을 했다는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65988|논란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2&aid=0001992112|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서울)|중구]] [[종로구(선거구)|선거]][[중구(서울 선거구)|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정대철]]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9년 초 여당 몫의 국회부의장에 선출되었다. 같은 해 연말 [[백두진]]이 국회의장직을 사퇴하자 국회의장 직무대리를 역임하였다. 이후 [[민주정의당]]부터 [[한나라당]]에 이르기까지 상임고문을 지냈다. [[대한체육회]]장을 비롯하여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대한축구협회]] 회장, 서울아시안게임 조직위원장 등을 맡아 한국 스포츠의 근대화에 이바지하였다. 말년에 [[중앙일보]]에 회고록을 연재했는데, 체육에 관심이 많았고 지원도 해준 전두환은 호평을 했으나 상대적으로 체육계에 관심도 적고 지원도 미비했던 노태우는 슬며시 깠다. 사족으로 이 회고록 연재를 끝마치고 몇달 후 세상을 떠났다. [[노태우 정부]] 때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지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 당시 유명했던 신한국당 경선의 선거관리위원장을 역임했다. 2006년 1월 16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인해 향년 8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여담 == * 생전에 [[테니스]] 덕후였다. 중고등학생 선수 대상의 소강배 테니스 대회가 2020년 현재에도 열리고 있다. * 경기고등학교에서는 매년 '''민관식배 마라톤 대회'''를 열었었고 --당연하게도-- 생전의 민관식 선생이 직접 나와 개회선언(?)을 했었다. 특히 사망하기 몇년 전에는 이미 80대 후반의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젊은 오빠(...)'''라고 호칭하는가 하면 ~~잠깐, 여기 남고인데요?~~ '''"다른 동창생들은 다 죽었지만 나만큼은 살아있어!"'''라는 사자후로 까마득한 후배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았다. 물론 체육복까지 갖춰입고 함께 뛰는 모습은 덤. 사망한 후에는 대회 분위기가 다소 느슨해졌으며 학생들 사이에서는 '민관식배 걷기 대회'로 통칭될 정도. * 농구선수 [[하승진]]의 아버지인 하동기가 현역 농구선수이던 시절 100m 달리기로 하동기를 가볍게 이겼다고 한다. 더군다나 민관식은 전문 체육인 출신도 아니고 문돌이 출신 행정가였던데다 이때 50대였음에도...물론 하동기가 키만 컸지 운동선수로서는 모든 면에서 낙제점인 것이 컸긴 하다. * 경기고등학교 졸업기수는 33회이나, 32회로 입학했다가 일제 시대 때 독립운동으로 옥살이를 하는 바람에 졸업이 늦어졌다. * 수원 광교박물관에 <소강 민관식실>로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다.[[http://ggmuseum.suwon.go.kr/exhibit/pExhibitList02.do|#]] * 1947년 군정청 보건후생부에서 시행한 약제사(약사)시험에 합격한 세 사람중 한명이다. 1966년부터 1980년까지 [[대한약사회]] 회장(제15~21대)을 지내기도 했다. 대한약사회 기관지인 [[약사공론]]도 그가 창간하였는데, "정부에 대한 가장 고상한 압력수단은 회원의 여론표출"이라고 말하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c224,#db9e00 연도}}}''' || '''{{{#ffc224,#db9e00 선거 종류}}}''' || '''{{{#ffc224,#db9e00 선거구}}}''' || '''{{{#ffc224,#db9e00 소속 정당}}}''' || '''{{{#ffc224,#db9e00 득표수 (득표율)}}}''' || '''{{{#ffc224,#db9e00 당선 여부}}}''' || '''{{{#ffc224,#db9e00 비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5[* 동대문구] ||<|2> [include(틀:무소속)] || '''8,999 (23.45%)''' ||<|4> '''당선 (1위)''' || '''초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2> 서울 5[*A 동대문구 갑] || '''26,297 (76.92%)''' || '''재선'''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38,092 (85.62%)''' || '''3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3> 서울 3[*A] ||<|4> [include(틀:민주공화당)] || '''20,606 (29.63%)''' || '''4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32,207 (39.31%) ||<|2> 낙선 (2위) ||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36,717 (42.6%) ||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1[*B [[종로구·중구]]] || '''72,715 (29.18%)''' || '''당선 (2위)''' || '''5선'''[* 신민당 [[정대철]] 후보와 동반 당선] || || {{{#CFA547,#CFA547 '''역대 선거 벽보'''[* 제3~4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대총선 서울5-동대문갑 벽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대총선 서울3-동대문갑 벽보.jpg|width=100%]]}}} || || [[제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서울 5[* 동대문구 갑])}}} || [[제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서울 3[* 동대문구 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대총선민관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대총선민관식.jpg|width=100%]]}}} || || [[제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7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서울 3[* 동대문구 갑])}}} || [[제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8대 국회의원 선거}}}]] {{{#000000,#e5e5e5 (서울 3[*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대총선민관식.jpg|width=100%]]}}} || ||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B [[종로구·중구]]]) || ||}}}}}}}}} || == 소속 정당 == || '''{{{#ffc224,#db9e00 소속}}}''' || '''{{{#ffc224,#db9e00 기간}}}''' || '''{{{#ffc224,#db9e00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1953 - 1954 || 정계 입문 || || [include(틀:자유당)] || 1954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54 - 1958 || 제명 ||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958 - 1960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0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신민당(1960년))] || 1960 - 1961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1 - 1963 || [[5·16 군사정변]]로 인한 정당 해산 || || [include(틀:민주공화당)] || 1963 - 1980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80 - 1981 || 정당 해산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981 - 1990 || 창당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0 - 1995 || 합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5 - 1997 || 당명 변경[br]정계 은퇴 || || [include(틀:한나라당)] || 1997 - 2006 || 합당[*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br]작고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6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0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개성시 출신 인물]][[분류:여흥 민씨]][[분류:실향민]][[분류:1918년 출생]][[분류:2006년 사망]][[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제6대 국회의원]][[분류:제10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 국회부의장]][[분류:교토대학 출신]][[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농업생명과학대학]][[분류:문교부 장관]][[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성균관대학교 재직]][[분류: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분류:대한체육회 회장]][[분류:노태우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