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리듬 게임/대한민국]][[분류:트랜스포머 시리즈/등장인물]] [목차] == [[온라인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믹스마스터(게임))] == 애니메이션 == * [[카드왕 믹스마스터]] * [[최강합체 믹스마스터]] ===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호칭 === 마스터 헨치를 다루는 이들로 [[디트(믹스마스터)|디트]], [[펜릴(믹스마스터)|펜릴]], [[진(믹스마스터)|진]], [[포이(믹스마스터)|포이]], [[아링(최강합체 믹스마스터)|아링]], [[레이(최강합체 믹스마스터)|레이]], [[모린(최강합체 믹스마스터)|모린]], 과거의 [[붉은 기사]]가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아트레이아]]에서 존경받는 위치에 있다. 특수한 도구에 의해서 헨치를 변신시킨다. 다만 최강합체 믹스마스터에서의 도구인 믹스 슈터는 때에 따라서 위험하니 주의해야 한다. 여기에 속하지만 조금 다른 부류로는 블랙 믹스마스터가 있다. == [[리듬 게임]] == [[파일:external/www.grb.or.kr/9910-A73.jpg|width=360px]] 1999년 [[리듬 게임]]이 한창 인기를 끌던 때 나왔던 게임. [[쌈바 페스티벌]]이나 주티드럼 급의 [[흑역사]]. [[비트매니아]]류 게임인데, 조작계가 7건반+스크래치+페달이다. 기계의 모습은 키만 [[비트매니아 IIDX]]이고 나머지는 거의 [[EZ2DJ]]를 닮았다. 제작사는 Dazzle. 프레임 드랍이 심각했고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EZ2DJ에게 밀려서 사라진 비운의 게임. 한때 [[청주시]]와 [[부산광역시]] 쪽에 남아있는 기기가 잠시 가동되었다거나, [[EZ2DX]]로 개조되어 가동 중이란 소문도 있었지만 현재로서는 이 게임을 할 수 있는 곳이 '''전혀 없다.''' 남아있는 자료도 [[게임물등급위원회]] 홈페이지에 있는 심의자료(위의 사진)가 전부다. 2007년 [[리듬게임 갤러리]]에 올라왔던 글에 의하면 수록곡은 Tell Me Tell Me, [[DOC와 춤을]], 와를 포함해서 30곡. 그 중에서 전술한 3곡이 가요고 나머지인 27곡은 전부 오리지널 곡이다. 프레임이 떨어지긴 하지만 BGA도 있고 할 만했다나. [[https://gall.dcinside.com/rhythmgame/5188|#]] 참고로 수록곡 중 No way to move라는 곡의 마무리 노트가 '''[[빅장|1234567]]'''이었다. 페달과 스크래치는 안 나오고 마무리 한 번으로 끝난다. [[오락실/대구#s-2.9|대구 죽전동 런던전자 오락실]]의 EZ2DJ 2P 페달이 믹스마스터 부품을 썼다. [[https://twitter.com/hong_yunsung/status/1193429419865464832|#]]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The Dirty of Loudness, version=70, paragraph=4)] == [[트랜스포머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로봇 == === 개요 === '''Mixmaster''' [[트랜스포머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디셉티콘]] 소속의 [[트랜스포머(트랜스포머)|트랜스포머]]이다. [[데바스테이터(트랜스포머)|데바스테이터]]로 합체하는 [[컨스트럭티콘]]의 일원으로 [[레미콘]]으로 변신한다. === 목록 === * [[트랜스포머 G1]]의 [[믹스마스터(G1)]] *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믹스마스터(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 *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의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등장인물#s-3.2.1|믹스마스터]] * [[Shattered Glass]]의 [[믹스마스터(SG)]] * [[트랜스포머: 어스워즈]]의 [[믹스마스터(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