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미호 신잔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include(틀:JRA상 최우수 3세 수말)] [include(틀:JRA상 부내국산마)] [include(틀:드림 호스 2000)]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ho_Shinzan.jpg|width=100%]]}}} || ||<-2> 이름 || ミホシンザン[br]Miho Shinzan || ||<-2> 출생 || [[1982년]] [[4월 16일]] || ||<-2> 죽음 || [[2014년]] [[12월 4일]] (32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신잔]] || ||<-2> 어미 || 나폴리 조 오 (ナポリジヨオー) || ||<-2> 외조부 || 무티에 (Moutiers) || ||<-2> 생산자 || 닛신 목장 || ||<-2> 마주 || 츠츠미 칸지 || ||<-2> 조교사 || 타나카 토모지로 (미호) || ||<-2> 성적 || 16전 9승 (9-1-4-2) || ||<-2> 총상금 || 4억 8467만 9200엔 || ||<|2> 주요[br]우승 || GI || [[사츠키상]] (1985) [[킷카상]] (1985) [[천황상 봄|천황상 (봄)]] (1987) || || GII || 스프링 스테이크스 (1985) 교토 신문배 (1985) 아메리카 조키 클럽 컵 (1987) 닛케이상 (1987) || ||<-2> 주요 수상 || 우준상 최우수 4세 수말 (1985)[* 현 JRA상 최우수 3세 수말] 우준상 최우수 부내국산마 (1985 - 86) JRA상 최우수 부내국산마 (1987) || || 레이팅 || [[JRA 프리핸디|{{{-3 프리 핸디}}}]] || 64 (1985) / 62(1986)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82103164/|[[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0147048/|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미호 신잔.jpg|width=100%]]|| || '''[[신잔|아버지]]의 피.[br]{{{-2 父の血。}}}''' || || '''{{{#white 히어로 열전 No.22}}}''' || >'''아버지의 피.''' > >질풍과 같은 선입에, 20여 년의 시간을 넘어, >위대한 아버지의 모습이 겹쳤다. >[[나대]]의 예리함으로 평가 받은, 그 아버지의, >달리기까지 제대로 이어받았는가. >미호 신잔이여, 신잔의 아들이여, >너는, 우리에게 경마의 로망을 가르쳐 주었다. >---- >JRA 히어로 열전 일본의 경주마. "'''신마'''" [[신잔]]의 최고 걸작으로 큰 기대를 모았으며, 그에 부응하는 실력이었으나 아쉽게도 유리몸 기질이 있어 커리어 내내 부상으로 앓았다. [[심볼리 루돌프]] - [[토카이 테이오]], [[딥 임팩트]] - [[콘트레일]]로 이어지는 부자 삼관 도전 역사의 시발점이다.[* 재밌게도 아버지끼리의 비교처럼 이들끼리도 확고한 우위가 없고 각자의 강점과 약점이 있다. 미호 신잔과 토카이 테이오는 부상으로 각각 더비와 킷카상을 피하며 삼관을 주저할 수밖에 없었으나 천황상과 아리마 기념을 따냈다. 콘트레일은 삼관은 이뤘지만 천황상과 아리마 기념 우승이 없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신잔]][br]{{{-2 シンザン}}}[br]{{{-2 1961}}}||<|2>'''[[힌도스탄]]'''[br]{{{-2 Hindostan}}}[br]{{{-2 194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Bois Roussel|| ||Sonibai|| ||<|2>하야노보리[br]{{{-2 ハヤノボリ}}}[br]{{{-2 1949}}} ||하야타케[br]{{{-2 ハヤタケ}}}|| ||다이고 버캐넘 뷰티[br]{{{-2 第五バツカナムビユーチー}}}|| ||<|4>나폴리 조 오[br]{{{-2 ナポリジョオー}}}[br]{{{-2 1975}}}||<|2>Moutiers[br]{{{-2 1958}}}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Sicambre|| ||Ballynash|| ||<|2>Tai-Tai[br]{{{-2 196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Will Somers|| ||Anneiv|| ||<-3>* Gainsborough S5×S5 6.25%[br]* [[네아르코|Nearco]] M5×M5 6.25% || == 데뷔까지 == 1982년 4월 16일, [[신잔]]의 피를 퍼트려 서양 주류 혈통이 아닌 일본 고유의 "신잔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던 닛신 목장[* 닛신 목장장은 신잔이 종마로 있는 타니가와 목장과는 사촌이고 목장 위치도 가깝다.]에서 태어났다. 신잔의 아리마 기념을 보고 마주를 시작해, 신잔의 자식으로 클래식을 이기고 싶어서 신잔 산구만 5마리째 사들이던 츠츠미 칸지가 보자마자 무언가를 느끼고 즉시 구매, 미호[* 미호 트레이닝 센터의 그 미호가 맞다. 집 앞에 미호 트레이닝 센터가 있었기 때문.] 관명에 "이거다"라고 할만한 말에게 붙이고 싶었던 이름인 신잔을 붙여 '''미호 신잔'''이 된다. 그 뒤 신잔의 더비를 보고 더비 기수를 꿈꾸던 [[시바타 마사토]]에게 기승이 맡겨진다. 3세에 데뷔할 예정이었지만 데뷔도 전부터 오른앞다리에 관골 골막염(管骨骨膜炎)이 있어 늦춰지게 된다. 4세가 되자 더는 늦출 수 없어 어떻게든 데뷔하지만, 결국 미호 신잔은 '''평생 골막염을 안고''' 달리게 된다. 흔히 이 말의 본실력이었다고 평가되는 신마전이나 사츠키상부터 이미 본실력이 아니었던 것이다. 진영은 골막염을 앓는 부위를 최대한 가리거나, 넘어지지 않기 위해 패덕에서 크게 도는 등 이것을 숨기기 위해 늘 필사적이었다. == 경주마 생활 == === 4세 (1985년) === [include(틀:1985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 [youtube(6vemE6ShUaU)] || || 1985년 [[사츠키상]] || 데뷔한 미호 신잔은 신마전 9마신차부터 시작해 사츠키상까지 5마신차 압승으로 비교 대상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연승 가도를 달렸다.[* 특히 사츠키상 5마신차는 현재도 역사상 4위 안에 드는 착차로, [[토쇼 보이]]와 함께 공동 4위다.] 그러나 사츠키상 바로 다음날 왼앞다리에 골절이 발견되어 치료에 들어간다. 이 골절로 인한 더비 미출주가 가장 아쉬운데, 더비를 따냈다면 [[미스터 시비]] - [[심볼리 루돌프]]에 이은 3년 연속 삼관이자 2년 연속 무패 삼관, 최초 부자 삼관 등의 수많은 위업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단 이 해의 더비는 마장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았고, 더비마인 [[시리우스 심볼리]]가 중마장이 특기였던데다 미호 신잔이 중마장에서 약한 모습을 보였기에 출주했어도 쉽지는 않았으리라는 평이 있다.] 1차 골절 복귀 후 복귀전은 무난하게 5착, 이후 교토 신문배와 킷카상을 쾌승한다. 아리마 기념은 신잔의 최고 걸작과 신잔을 넘었다고도 말해지는 심볼리 루돌프의 2강 대결이 주목, 둘의 연승 복식은 160엔으로 '''역대 아리마 최저 배당'''이다.[* 알기 쉽게 비교하자면 [[텐 포인트]] - [[토쇼 보이]]가 240엔, [[티엠 오페라 오]] - [[메이쇼 도토]]가 330엔이다.] 비록 경주 자체는 심볼리 루돌프의 독무대였지만, 미호 신잔도 심볼리 루돌프 외의 모든 고마[* [[갤럽 다이나]], [[니시노 라이덴]], [[야마노 시라기쿠]]]를 앞지르고 2착을 따내며 차세대의 에이스임을 입증한다.[* 참고로 당시 심볼리 루돌프는 일본에서의 마지막 경주였기 때문에 루돌프 진영은 [[오카베 유키오]] 기수에게 처음으로 "봐주지 말고 진심으로 달려도 된다"는 허가를 내렸고, 그 결과가 이것이다.] === 5세 (1986년) === || [youtube(TiR4aDunNxA)] || || 1986년 [[아리마 기념]] || 심볼리 루돌프가 맡기고 떠난 전선에서 현역 최강임을 증명할 의무를 짊어지게 된다. 그 때문인지 [[닛케이상]]부터 시작해 봄 천황상을 목표로 심볼리 루돌프와 같은 로테이션을 계획했으나, 닛케이상 경주 중에 왼앞다리 골절이 재발하여 마생에서 처음이자 유일하게 착외가 돼 버린다. 목표였던 봄 천황상에서 재기할 생각이었지만 검사해 보니 상태는 전년보다 나쁜 전치 6개월로, 결국 봄 천황상에 출주조차 못하고 다시 반년을 날려먹게 된다. 재복귀 후 가을 고마 노선에서는 4연속 3착으로, 기수에 따르면 "부상이 두려워 진심으로 달리지 않았다".[* 이는 반대로 진심으로 달리지 않고도 3착은 악착같이 지킬 만큼 체급은 뛰어났다는 뜻이기도 하다.] 지속된 부진과 [[사쿠라 유타카 오]]의 도약으로 세대 최강 칭호까지 위협 받았으나, [[재팬 컵]]에서 일본마 최선착, [[아리마 기념]]에서 동세대 최선착으로 명예는 지켜낸다. 그러나 중요한 한방이 모자라 결국 1승도 따내지 못하여 연도 대표마는 [[다이나 걸리버]], 최우수 고마는 사쿠라 유타카 오에게 넘기고 만다. === 6세 (1987년) === [include(틀:1987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 [youtube(AWn2LVO5_nQ)] || || 1987년 [[천황상 (봄)]] || 이대로 경주마로서는 끝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으나 진영의 "우선은 승운을 붙여 주자"는 판단에 따라 아메리카 조키 클럽 컵(GII)에 출주, 난데없이 '''도주 승리'''로 부활해 보이며 박수갈채를 받는다. 이어진 닛케이상은 전년도 대표마이자 아리마 우승마인 [[다이나 걸리버]]를, 아리마와 정확히 같은 조건에서 5마신차 압승으로 되갚으며 현역 최강임을 재증명, 부상만 없었다면 어땠을지 기대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닛케이상 이후 또 급격히 몸 상태가 나빠지기 시작한다. 여기서 운영 측은 강수를 두는데, 불과 3주밖에 남지 않은, 작년에는 부상으로 뛰지 못했던 봄 천황상을 뛰고 나서 치료에 들어가겠다는 것. 결국 사상 최악의 몸 상태로 봄 천황상에 출주한 미호 신잔은, [[니시노 라이덴]]과 사진판정까지 가는 혈투 끝에 코 차이로 봄 천황상을 우승.[* 그러나 니시노 라이덴은 추가 심의 결과 사행으로 인한 실격판정이 떨어져서 실격되었다.] 그러나 경기 후의 위닝 런에서 비틀거리거나, 기념사진 촬영 때 다리가 후들거리는 수준의 만신창이가 되어 있었다. 봄 천황상 이후에는 팬 투표 1위로 뽑힌 [[타카라즈카 기념]]까지 회피해 가면서 가을 복귀를 목표로 치료를 계속했으나 쾌차하지 못해 그대로 은퇴했으며, 일본 사상 처음으로 눈 내리는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은퇴식이 행해졌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291053|여담으로 은퇴식 당시 아버지 신잔도(!) 찾아왔다고 한다]][* 당시 신잔이 이미 종마를 은퇴했기에 가능했다고 한다. 미호 신잔이 굉장히 늦둥이였고, 오래 활약했다 보니 생긴 일. 마침 두 말의 방목장도 이웃해 있어서 더 쉬웠다고.][* 경주마계에서 아버지와 아들이 대면하는 것은 매우 희귀한 일이다. 서러브레드 3 시조중 하나인 고돌핀 아라비안이 아들 라스와 대면 했었고 [[스테이 골드]]가 은퇴 한 아들 [[나카야마 페스타]]와 같은 마방에서 살았고 [[미스터 시비]]가 아버지 [[토쇼 보이]]와 대면 한 것이 매우 희귀 한 것으로 손 꼽힐 정도다.] == 종마 생활 == 이후 아버지 신잔이 살고 있는 타니가와 목장으로 들어가 종마 생활을 하였으나 자마의 활약은 미비했고, 2002년에 종마에서 은퇴하여 여생을 보내다가 2014년 12월 4일에 심장마비로 죽었다. 죽을 당시 나이 32세로, 아버지는 못 넘었지만 일반적인 경주마에 비해 상당히 장수한 축에 속한다. 대표 산구로는 [[NHK 마일 컵|NHK 컵]][* 당시 GII. [[아오시마 타츠야]]의 "'''할아버지에 이어! 아버지에 이어!'''"라고 외치는 [[https://www.nicovideo.jp/watch/sm34216794|실황]]이 유명하다.]과 [[챌린지 컵]] 우승마 마이 신잔, [[아이치배]] 우승마 그랜드 신잔 등이 있다. 마이 신잔은 레코드 승리를 2번이나 기록할 만큼 뛰어난 가을 천황상 유력마였다. 신잔 - 미호 신잔에 이은 3대 연속 천황상 제패라는 대기록을 세울 것으로 기대 받았으나, 아버지를 닮았는지 직전에 굴건염이 발병해 은퇴.[* 더구나 그 경주는 마이 신잔 우승 NHK컵의 3착이었던 [[사쿠라 치토세 오]]가 우승했기 때문에 더욱 안타깝다.] 결국 굴건염만 4번 발병한 여파로 GI에선 특출한 성적을 못 내고 미완의 대기로만 남았다. 그랜드 신잔은 이미 [[선데이 사일런스]] 산구들이 지배하고 있는 21세기 초에 갑작스레 중상을 따내며 신잔 혈통의 의지를 보였으나 거세마였다. 미호 신잔의 자마들 중 사실상 유일한 종마였던 마이 신잔이 성적을 남기지 못한 채 종마에서 은퇴, 나머지 후손들도 종마 활동할 기회를 부여받지 못하여 신잔의 부계 혈통은 맥이 끊긴 상태. 현재는 모계로만 혈통을 이어가고 있다. == 기타 == * 당시는 [[라이스 샤워]] 때 이상으로 [[지역감정]]이 최악인 시기라 [[간토]] 소속마는 [[간사이]] 경마장에서 야유를 받는 게 일상이었는데, [[교토]]의 전설 신잔의 아들인 미호 신잔은 간토 소속으로 교토에서 우승하고도 유일하게 기립박수 갈채를 받았다. * 신잔이 [[천황상 가을]], 미호 신잔이 [[천황상 봄]]을 우승하며 신잔 부자는 수말이 출주 가능한 모든 팔대경주를 제패했다. 이는 2014년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 산구 [[스필버그(말)|스필버그]]가 가을 천황상을 따기 전까지 '''27년간''' 유일한 기록이었다. * [[시리우스 심볼리]]와는 기묘한 관계인데, 같은 세대 클래식 삼관을 나눠 먹었으면서도 매번 어느 한쪽에 사정이 생겨서 엇갈리는 식으로[* 사츠키는 시리우스가 이적 소동으로 회피, 더비는 미호 신잔이 골절로 회피, 킷카는 시리우스가 해외 원정. 일본으로 돌아왔을 땐 미호 신잔은 이미 은퇴였다.] '''단 한 번도''' 맞붙은 적이 없다. 양마장에 강하고 평생을 부상에 시달린 미호 신잔, 중마장에 강하고 평생을 마주의 고집에 시달린 시리우스 심볼리라는 대비 때문에 둘이 100% 상태로 맞붙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IF가 자주 나오는 관계. * [[우마무스메]]에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루돌프]],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시리우스 심볼리]],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라모누]]가 등장하면서, 시리우스 세대 최강이자 루돌프와 라모누의 은퇴전을 모두 함께한 미호 신잔도 등장 가능성이 생겼다. 단, 미호 신잔의 경우 이미 마주가 마주 은퇴를 한 상황(관명 미호는 다른 가족이 이어가고 있다)이라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도 해당 세대의 대표인 미호 신잔이 나온다면 다른 동기들(아직까지 안나온게 더 이상한 [[사쿠라 유타카 오]], 마일전에서 무려 [[닛포 테이오]]를 이기며 암수혼합 GI 첫 제패를 이룬 타카라 스틸, 그런 타카라 스틸에게 5전 5승을 거두며 천적으로 군림한 오카상 우승마 에레부스[* 덤으로 아비가 매그니튜드로, 뛰어난 혈통의 말이었지만 초기 자마성적이 별로였기 때문에 "이녀석 종마로서도 별로인 거 아냐?"란 소리가 나오던 와중에 이 에레부스가 오카상에서 승리하며 겨우 종마생활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매그니튜드가 겨우겨우 다시 얻은 GI 우승 자마가 바로 [[미호노 부르봉]]이다.]등이 우마무스메에 나올만한 성적과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도 등장할 가능성이 생길테고 같이 뛸 말들이 없어서 스토리가 심심해졌거나 아예 실장도 안된 83년 이전 출생마들의 스토리 보강에도 도움이 될터라 많은 팬들이 기대하는 중이기도 하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주장 || 경주명 || 격 || 거리[br](마장) || 배당[br](인기) || 착순 || 타임 || 착차 || 기수 || 1착마[br](2착마) || ||<-11> 1985년 (4세, 현 3세) || ||<)>1.6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4세 신마 || || 잔디 1600m[br](양) || 2.9[br](1인) || '''{{{#red 1착}}}''' || 1:36.1 || -1.5 ||<|8> [[시바타 마사토]] || (마키노 하타) || ||<)>2.23 || 나카야마 || 수선상 || 4하 || 잔디 2000m[br](초) || 2.0[br](1인) || '''{{{#red 1착}}}''' || 2:02.6 || -0.4 || (몬테 재팬) || ||<)>3.24 || 나카야마 || [[스프링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800m[br](초) || 2.1[br](1인) || '''{{{#red 1착}}}''' || 1:49.5 || -0.3 || (스크럼 다이나) || ||<)>4.14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br](초) || 3.9[br](1인) || '''{{{#red 1착}}}''' || 2:02:1 || -0.8 || (스크럼 다이나) || ||<)>9.29 || 나카야마 || [[세인트 라이트 기념]] || GIII || 잔디 2200m[br](불) || 1.8[br](1인) || 5착 || 2:21.0 || 1.5 || 타이거 보이 || ||<)>10.20 || [[교토 경마장|교토]] || [[교토신문배]] || GII || 잔디 2200m[br](양) || 1.9[br](1인) || '''{{{#red 1착}}}''' || 2:14.5 || -0.3 || (스피드 히어로)[br](플릿 호프) || ||<)>11.10 || 교토 || '''[[킷카상]]''' || GI || 잔디 3000m[br](초) || 2.3[br](1인) || '''{{{#red 1착}}}''' || 3:08.1 || -0.2 || (스다 호크) || ||<)>12.22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br](양) || 5.9[br](2인) || '''{{{#blue 2착}}}''' || 2:33.8 || 0.7 || [[심볼리 루돌프]] || ||<-11> 1986년 (5세, 현 4세) || ||<)>3.30 || 나카야마 || [[닛케이상]] || GII || 잔디 2500m[br](중) || 1.4[br](1인) || 6착 || 2:36.5 || 1.3 ||<|5> 시바타 마사토 || 체스넛 밸리 || ||<)>10.5 || [[도쿄 경마장|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800m[br](양) || 2.6[br](1인) || '''{{{#green 3착}}}''' || 1:46.6 || 0.6 || [[사쿠라 유타카 오]] || ||<)>10.26 || 도쿄 || [[천황상 (가을)]] || GI || 잔디 2000m[br](양) || 2.1[br](1인) || '''{{{#green 3착}}}''' || 1:59.0 || 0.7 || 사쿠라 유타카 오 || ||<)>11.23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br](양) || 7.5[br](4인) || '''{{{#green 3착}}}''' || 2:25.2 || 0.2 || 주피터 아일랜드 || ||<)>12.21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br](초) || 2.3[br](1인) || '''{{{#green 3착}}}''' || 2:34.2 || 0.2 || [[다이나 걸리버]] || ||<-11> 1987년 (6세, 현 5세) || ||<)>1.25 || 나카야마 ||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 GII || 잔디 2200m[br](양) || 1.5[br](1인) || '''{{{#red 1착}}}''' || 2:15.4 || -0.2 ||<|3> 시바타 마사토 || ([[스즈 퍼레이드]]) || ||<)>4.5 || 나카야마 || 닛케이상 || GII || 잔디 2500m[br](양) || 2.2[br](1인) || '''{{{#red 1착}}}''' || 2:33.8 || -0.8 || (주사부로) || ||<)>4.29 || 교토 || '''[[천황상 봄|천황상 (봄)]]''' || GI || 잔디 3200m[br](양) || 1.3[br](1인) || '''{{{#red 1착}}}''' || 3:20.4 || -0.2 || (아사히 엠퍼러) ||}}} [include(틀:사츠키상,grade=GI)] [include(틀:킷카상,grade=GI)] [include(틀:천황상 봄,grade=GI)] ---- [include(틀:닛케이상,grade=GII)] [include(틀:스프링 스테이크스,grade=GII)] [include(틀:교토신문배,grade=GII)] [include(틀: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grade=G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82년 출생/경주마]][[분류:2014년 죽은 동물]][[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세인트 사이먼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