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세르비아 공국 공작)]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0000 0%, #DE0000 20%, #DE0000 80%, #BD0000)" '''{{{#fff 세르비아 공국 제3대 공작[br]{{{+1 Михаило Обреновић |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hailo_Obrenović.jpg|width=100%]]}}}|| || '''생애''' ||[[1823년]] [[9월 16일]] ~ [[1868년]] [[6월 10일]](향년 44세)|| ||<|4> '''재위''' ||<#003893>'''{{{#fff [[세르비아 공국|{{{#fff 세르비아 공국}}}]]의 공작 (1차)}}}''' || ||[[1839년]] [[7월 8일]] ~ [[1842년]] [[9월 14일]]|| ||<#003893>'''{{{#fff [[세르비아 공국|{{{#fff 세르비아 공국}}}]]의 공작 (2차)}}}''' || ||[[1860년]] [[9월 26일]] ~ [[1868년]] [[6월 10일]]|| || '''서명''' ||[[파일: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서명.svg|width=100px&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는 [[세르비아]]의 공작으로, 아버지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밀로시]]의 퇴위와 형 [[밀란 오브레노비치|밀란]]의 사망으로 [[1839년]] [[7월 8일]]에 [[세르비아]] 공작(크네즈)에 올랐다. 그러나 [[1842년]] [[9월 14일]]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의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에게 크네즈 자리를 빼앗긴다. [[1858년]] 아버지인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밀로시]]가 [[세르비아]] 공작(크네즈)위를 되찾고 [[1860년]]에 사망함으로서 [[세르비아]] 공작위에 재즉위한다. 계몽적이기도 했으나 전제정치에 기반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국민들과 소통이 잘 되지 않았고, [[1868년]] [[6월 10일]]에 결국 암살당하게 된다. [[분류:세르비아 공]][[분류:오브레노비치 가문]][[분류:1823년 출생]][[분류:186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