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폴란드 국방장관)] || '''{{{#fff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폴란드군/원수)] ---- [include(틀:전승훈장 수훈자)]}}} || [[파일:Rola-Żymierski_Michał.jpg]] ||<|2> '''복무''' ||폴란드 인민군 육군 || ||[[1944년]] ~ [[1989년]] || || '''최종 계급''' ||중령 {{{-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br]원수 {{{-2 (폴란드 인민군 육군)}}} || ||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br][[소비에트-폴란드 전쟁]][br][[제2차 세계 대전]] || || '''주요 서훈''' ||폴란드 인민공화국 건국훈장[br]오도르제니아 폴스키 훈장 1급[br]오도르제니아 폴스키 훈장 3급[br][[전승훈장]][br][[레지옹 도뇌르 훈장]] 1급[* 슈발리에→오피시에→그랑크루아 순서로 승격.] || [목차] [Clearfix] == 개요 == [[폴란드]]의 군인, 최종 계급은 원수. == 생애 == [[1890년]] [[9월 4일]] 크라쿠프에서 태어났다. [[1910년]]에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했고, 1911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 자원입대하여 1912년까지 복무했고, 장교 시험에도 합격한다. === 제1차 세계 대전~전간기 ===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제국 육군 폴란드 군단에 배속되어 동부전선에 참전하였고, 중령까지 진급해서 연대장까지 오르게 된다. 1918년 전쟁이 끝나고 [[폴란드 제2공화국|폴란드]]가 독립하면서 그는 오헝제국 시절 경력으로 폴란드군에 입대하였고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에서 보병여단과 사단을 지휘하게 된다.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이 끝나자 [[프랑스]]의 생시르 육군사관학교로 유학갔으며 귀국한 후에는 준장으로 진급하고 폴란드군 행정부 부국장으로 근무하면서 군 재정과 군사장비 구매를 담당했다. 1926년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원수가 쿠데타를 일으키자 가담하지 않고 쿠데타 진압에 합류했으나 진압에는 실패했고, 이로 인해 군사재판에 회부되어 뇌물수수 및 횡령 혐의로 징역 5년형을 선고받고 일병 계급으로 강등당하면서 군에서 제명당한다. 1931년 형기를 채우고 석방된 후에는 프랑스로 건너가 [[NKVD]]의 정보요원으로 활동하면서 프랑스-폴란드 사이의 핵심 정보를 전달했고, 같은 해에 [[폴란드 공산당]]에 비밀당원으로 가입하게 된다. 1938년에는 프랑스로 아예 이민을 가게 된다. === 제2차 세계 대전 === 1939년 [[독소 폴란드 점령|폴란드가 반으로 갈라먹히면서]] 폴란드 공산당의 지시에 따라 바로 폴란드 총독부로 귀국하여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한다. 1943년 5월부터 [[https://en.wikipedia.org/wiki/People%27s_Guard_(1942%E2%80%931944)|인민 근위대]] 참모와 군사고문으로 활동했으며 이와 동시에 전쟁 전에 강등당했던 준장 계급도 다시 복권된다. 1944년 1월부터 인민군의 총사령관이 되었고, 동시에 폴란드 민족해방위원회의 국방부서장을 겸임하게 된다. === 전후~냉전 === 1981년부터 폴란드 통일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나 1987년 페레스트로이카를 비난했다는 이유로 통일노동당 중앙위원회에서 제명당했다. [[분류:1890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크라쿠프 출신 인물]][[분류: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군인]][[분류:폴란드의 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전승훈장]][[분류:레지옹 도뇌르 훈장/그랑크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