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장.svg|width=28]] '''{{{#fff 미크로네시아 연방 관련 틀}}}''' ||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오세아니아의 역사)] [include(틀:미크로네시아의 국가)] [include(틀:오스트로네시아족)] [include(틀:태평양 공동체)]}}} || [include(틀:미크로네시아 연방 관련 문서)] ||<-4>
'''{{{#FFFFFF {{{+1 마이크로네시아 연방}}}[* [[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3|국가/지역 검색 국가정보(마이크로네시아연방)]]][br]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 ||<-2>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width=80%]] ||<-2>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장.svg|width=65%]] || ||<-2><#ffffff> {{{#75B2DD '''국기'''}}} ||<#ffffff><-2> {{{#75B2DD '''국장'''}}} || ||<-4><#ffffff> {{{#75B2DD '''Peace, Unity, Liberty[br]평화, 통일, 자유'''}}} || ||<-2> {{{#fff '''국가(國歌)'''}}} ||<-2> [[미크로네시아]]의 애국자[* 여담으로 [[독일]]의 애국 민요인 [[나는 헌신했도다]]의 선율과 같다.][br]([[영어]]: Patriots of Micronesia) || ||<-2> {{{#fff '''면적'''}}} ||<-2> 702㎢[* [[부산광역시]]의 면적보다 조금 작다.] || ||<-2> {{{#fff '''EEZ'''}}} ||<-2> '''2,996,419㎢''' || ||<-2> {{{#fff '''민족구성'''}}} ||<-2> 축족 48.8%, 폰페이족 24.2%, [br]코스라에족 6.2%, 얍족 5.2% || ||<-2> {{{#fff '''인구'''}}} ||<-2>114,910명^^(2023년)^^ | 세계 195위|| ||<-2> {{{#fff '''인구밀도'''}}} ||<-2>167.3명/km²^^(2022년)^^ || ||<-2> {{{#fff '''출산율'''}}} ||<-2>2.24명^^(2022년)^^ | [[https://www.cia.gov/the-world-factbook/field/total-fertility-rate/country-comparison|출처]] || ||<-2> {{{#fff '''수도/최대도시'''}}} ||<-2> [[팔리키르]](Palikir)/웨노 || ||<-2> {{{#fff '''정치체제'''}}} ||<-2> [[공화제]], [[대통령제]] || ||<-2> {{{#fff '''대통령'''}}} ||<-2> [[웨슬리 시미나]] || ||<-2> {{{#fff '''부통령'''}}} ||<-2> 아렌 팔릭 (Aren B. Palik) || ||<|2> {{{#fff '''GDP(PPP)'''}}} || {{{#fff '''GDP'''}}} ||<-2> 3억 4766만 달러(2021) || || {{{#fff '''1인당 GDP'''}}} ||<-2> $3,401(2018) || ||<-2> {{{#fff '''수출'''}}} ||<-2> 1억 4,283만 달러(2020) || ||<-2> {{{#fff '''수입'''}}} ||<-2> 1억 2,870만 달러(2019) || ||<-2> {{{#fff '''실업률'''}}} ||<-2> 22%(1999)[* 인구의 2/3가 공무원이다.(...)] || ||<-2> {{{#fff '''공용어'''}}} ||<-2> [[영어]] || ||<-2> {{{#fff '''화폐 단위'''}}} ||<-2> [[미국 달러]] || ||<-2> {{{#fff '''국제전화코드'''}}} ||<-2> +691 || ||<-2> {{{#fff '''ISO 3166-1'''}}} ||<-2> 583, FSM, FM || ||<-2> {{{#fff '''국가 코드[br]최상위 도메인'''}}} ||<-2> .fm || ||<-2> {{{#fff '''남북수교현황'''}}} ||<-2> 대한민국: 1991년 4월 5일 북한: 미수교 || ||<-2> {{{#fff '''여행경보'''}}} ||<-2><(><#fca315> '''{{{#fff 여행자제: 전 지역}}}''' || ||<-4>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width=30]] || ||<#75B2DD> {{{#fff '''위치'''}}} || ||<#fff,#292a2d> [[파일:300px-Micronesia_on_the_globe_(small_islands_magnified)_(Polynesia_centered).svg.png|width=300]]|| ||[[파일:attachment/미크로네시아 연방/bmap_67341_braveattack.jpg|width=300]]|| || [Include(틀:지도,장소=미크로네시아 연방,너비=100%,높이=23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세아니아]]의 [[미크로네시아]] 지역에 속하는 일련의 섬들로, 수도는 [[팔리키르]]. 국토 면적은 약 700㎢로 [[부산광역시]](약 764㎢)보다 조금 작고, 인구는 약 11만 명(2005년)으로 [[충청남도]] [[논산시]]와 거의 비슷하다. 캐롤라인 제도(Caroline Islands)로도 알려져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쟁터 중 하나였던 추크 제도[* [[1990년]]까지는 트루크(Truk) 제도로 불렸다.][* [[함대결전사상]]에 따라, 이 곳에 전함 [[야마토(전함)|야마토]]를 위시한 [[일본 해군]] [[연합함대]]의 주력 [[전함]]들이 전력보존을 위해 주둔하고 있었다.]가 위치하고 있다. [[미크로네시아]]의 뜻은 '작은 섬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사실 미크로네시아라는 표기는 [[라틴어]] 발음을 [[한국어]]로 옮길 때 쓰는 관행적 표기를 따른 것이고, [[영어]] 발음은 /ˌmaɪkɹəˈniːʒə/(마이크러니저), /ˌmaɪkɹəˈniːʃə/(마이크러니셔) 정도에 가깝다.[* [[영국식 발음]]으로는 /ˌmaɪkɹəˈniːziə/ (마이크러니지어)] 다만 [[대한민국]] [[외교부]]에서는 '마이크로네시아'라고 표기하고 있다.[[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3&titleNm=%EA%B5%AD%EA%B0%80%EC%A0%95%EB%B3%B4(%EB%A7%88%EC%9D%B4%ED%81%AC%EB%A1%9C%EB%84%A4%EC%8B%9C%EC%95%84%EC%97%B0%EB%B0%A9)|#]][* 통상적 표기와 [[외교부]] 표기가 다른 예시로는 [[모리타니]], [[키프로스]] 등이 있다. 외교부에서는 이들을 모리타니아, 사이프러스로 적는다.] 나라 이름처럼 [[태평양]] 북서쪽에 약 2,000km 걸쳐 607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 상징 == === [[미크로네시아 연방/국기|국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크로네시아 연방/국기)] === [[미크로네시아 연방/국장|국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크로네시아 연방/국장)] === [[국가]] Patriots of Micronesia - 미크로네시아의 애국자 === [YouTube(vdpxoUtmKl0)] == 지리 == [include(틀:미크로네시아 연방 구성국)] 서쪽에서 동쪽으로 [[야프 섬|야프]](Yap), [[추크 주|추크]](Chuuk), 폰페이(Pohnpei), 코스라에(Kosrae)의 4개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축은 트루크(Truk), 폰페이는 포나페(Ponape), 코스라에는 쿠사이에(Kusaie)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수도는 폰페이(포나페) 섬에 위치한 [[팔리키르]]인데, 허허벌판에 의사당과 중앙청만 있는 [[팔라우]]의 [[응게룰무드]]와 비슷하게 주변에 아무것도 없다. 그나마 근처에 미크로네시아 대학도 있어서 응게물루드보단 약간 낫다. 폰페이 섬에서 가장 번화한 곳은 섬 북단의 콜로니아이다. || [YouTube(1f7bSW_R9PE,width=640,height=380)] || == 역사 == [include(틀:오세아니아의 역사)] 약 4000년 전부터 [[미크로네시아인]]들이 거주했고, 폰페이의 [[난마돌]](Nan Madol)에 정체를 모를 유적이 있다고 한다. 이 유적을 통해 추측해 보건대 500년부터 1500년 사이에 인구 2만 명 이상의 중앙집권화된 세력이 있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포르투갈인이 미크로네시아 군도를 발견한 이후 [[스페인]]의 지배를 받다가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참패하자 [[1899년]] [[독일]]에게 이 섬을 팔았고,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자 동맹국 독일 반대편 협상국 측에 선 [[일본 제국|일본]]이 이 섬들을 점령했다. 일본은 [[남양청]]을 세우고 이 섬을 [[남양군도]]라고 불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해체되었다.[* 일본어에서 남양(南洋)이라는 말은 사실 [[동남아시아]]를 뜻하기도 한다. 반면 현대의 지역 구분상으로는 미크로네시아가 [[아시아]]가 아닌, [[오세아니아]]의 일부이다.] 이후에는 [[미국]]의 [[신탁통치]]령인 [[태평양 제도]]가 되었다. 원래는 [[팔라우]]와 [[마셜 제도]], 그리고 [[북마리아나 제도]]도 미크로네시아의 일부로 역사를 같이 했으나, 팔라우와 마셜 제도는 1970년대에 탈퇴하여 따로 독립하였고, 북마리아나 제도는 주민투표를 통해 미국의 속령이 되기로 결정하면서 탈퇴했다. [[1986년]] 독립을 시작했고 [[1990년]] [[12월 2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683에 따라 신탁 통치가 끝났다. [[https://en.wikipedia.org/wiki/2022_Chuukese_independence_referendum|추크 섬 독립을 위한 국민투표]]를 가질 예정이며, 2022년 3월에 치른다. 이 투표는 원래 2015년 3월로 계획되어 있었는데 2019년, 2020년, 그리고 2022년으로 계속 연기되고 있다[* 예상대로 2022년에도 치러지지 않았다.]. 제대로 치러질지조차 불투명한 상황. 그도 그럴 것이 인구 거의 절반과 국토 1/3이 추크 주에 속해 있고, 야프 주는 추크 주가 독립하면 그대로 월경지가 된다. 2022년 7월 19일,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늘어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229779?sid=104|#]] == 정치 == [include(틀:오세아니아의 정치)] 위에서도 언급됐지만 추크 섬을 위한 독립 투표를 가질 예정이다. == 언어 == 공용어는 [[영어]]이다.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미국의 통치를 받다가 독립했는데, 미국의 영향으로 [[미국식 영어]]가 주류를 이룬다. 주요 도시를 제외하면 여전히 민족 언어가 주로 쓰이는데, 추크어, 폰페이어, 야프어, 코스라에어가 각 주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사용자 수가 100명을 넘는 언어가 총 16개나 있다. 일본 통치 시기의 영향으로 일부 일본어 단어가 여전히 쓰이고 있다. 주요 외국어는 [[일본어]]로 고등 교육에서 유일하게 가르치는 외국어였으나 최근에는 [[중국어]]도 가르친다고 한다. == [[경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크로네시아 연방/경제)] == 교통 == [[항덕]]들에게는 [[유나이티드 항공]] UA155/154 (구 CO952/957) '아일랜드 호퍼'로 유명하다. UA155편은 [[괌]]을 출발해 미크로네시아의 축, 폰페이, 코스라에와 [[마셜 제도]]의 콰잘란, 마주로를 경유해 [[하와이]]의 [[호놀룰루]]까지 주 3회 운행하는 노선이다. UA154편은 자연히 그 반대 방향. 만약 괌을 거쳐 미크로네시아 연방이나 마셜 제도를 여행한다면 이 노선이 꽤 유용하다. 표를 구한 사람들은 괌에서 하와이 갈 때 일부러 이거 타고 스톱오버 해 가면서 둘러둘러 구경하고 쉬어가며 가기도 한다는 모양. 다만 1000달러가 넘는 비싼 항공료가 단점이다. == 외교 == [include(틀:미크로네시아의 외교)] [include(틀: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대외관계)] 미크로네시아 연방에 설치된 외국 공관은 [[미국]], [[호주]], [[일본]], [[중국]]뿐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미크로네시아 연방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크기=40)] [[일본]]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본-미크로네시아 연방 관계)] 과거 남양군도로 [[일본]]의 외지 중 하나였으며 그 영향으로 일본어에서 온 단어가 꽤 있고 일본계 성씨도 있다. 초대 대통령과 7대 대통령(2015년 임기 종료) 모두 일본계였으며 일본계인 매니 모리[* '모리'라는 성에서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매니 모리의 증조부는 모리 코벤이란 일본인으로, 남양군도가 스페인령, 독일령이었을 때부터 이 지역에서 사업을 한 인물이다.] 전 미크로네시아 연방 대통령은 일본이 [[상임이사국]]이 되는 것을 지지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또 이 시절에 일본계 인구가 대거 넘어와 현재 연방 인구의 약 20,000명이 일본계로 추정된다.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40)] [[중국]]과의 관계 ===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1989년 [[중국]]을 승인했다. 2019년 12월 13일에 시진핑 주석과 데이비드 파누엘로 대통령과 만나 베이징에서 회담을 가졌고 중국은 미국을 겨냥해 일방주의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고 인민일보가 보도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119&aid=00023707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40)] [[미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국-미크로네시아 연방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키리바시, 출력=, 크기=40)] [[키리바시]]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크로네시아 연방-키리바시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크기=40)] [[러시아]]와의 관계 ===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발발하자 러시아와의 [[https://www.barrons.com/news/federate-states-of-micronesia-breaks-ties-with-russia-over-ukraine-war-01645774507|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데이비드 파뉴엘로 미크로네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폭력적이고 부당한 침략을 당했다"면서, 러시아 정부가 인간애를 보여주어야만 관계가 재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스포츠 == [[파푸아뉴기니]]에서 열린 2015년 퍼시픽 게임에서 미크로네시아 연방 U-23 축구대표팀은 [[타히티]]에게 0-30, [[피지]]에게 0-38, [[바누아투]]에게 0-46으로 3연패하면서 [[승점자판기|3경기에서 114실점(...)]]이라는 [[https://en.wikipedia.org/wiki/Men%27s_Football_at_the_2015_Pacific_Games#Group_A|진기록을 달성했다.]] 여기에 더해 바누아투의 [[장 칼타크]]는 미크로네시아 연방과의 경기에서 무려 16골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다만 다행히도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피파 회원국도 아닌데다 23세 이하 팀끼리 붙은 경기여서 공식 기록으로 남지는 않게 되었다. [[풋볼매니저]] 시리즈에도 없다가 2016 버전에서야 겨우 추가된 것도 그 이유. 아직까지 이 지역에는 축구선수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으며, 이곳에서 [[축구]]는 [[야구]]보다도 인기가 떨어지는 스포츠이긴 하다. [[소프트볼]]같은 경우만 해도 이 나라에서는 인기 스포츠 중에 하나이다. 사실 독립하기전 미국령 시절에 이 나라 뿐만 아니라 [[괌]], [[북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마셜제도]] 등은 하나의 연방국처럼 지내다 보니 스포츠에 있어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미국령 미크로네시아 지역 국가들은 인기 스포츠가 비슷했다. [[퍼시픽 게임]]에서는 금메달을 총 16개 땄다. 매뉴얼 밍인펠(Manuel Minginfel) 역도 선수는 2007년부터 2015년까지 3회 연속으로 금메달을 땄다. == 여담 == 이 나라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이 [[FM방송]]을 연상시키는 .fm이라서 [[라디오]] 방송국들이 애용하는 도메인이기도 하다. [[ASKfm]]([[https://ask.fm]])처럼 FM과는 아무 상관 없이 .fm 도메인으로 등록된 사이트도 있다. 국토를 이루는 섬들이 북서태평양에 걸쳐 있어서 사실상 대다수 [[태풍]]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분류:미크로네시아 연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