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미카형 증기기관차.jpg|width=100%]] || || '''{{{#white 미카 3-161호 증기기관차}}}''' || [목차] == 개요 == 한반도에서 운용했었던 2-8-2형 [[증기 기관차]]. [[미국]]에서 굉장히 널리 쓰였으며 [[한국]]에서도 쓰인 바 있다. 2-8-2 차륜 구성에 대해 [[미카도#s-7|미카도]]라는 별칭이 붙은 것은 초기 제작사인 미국 [[볼드윈]] 사가 일본에 기관차를 납품하면서 선전을 했기 때문이다. 정작 별칭의 모티브가 된 일본에서는 미국식의 기관차 형식 애칭을 쓰지 않았다. 차량은 [[미국]]에서 부품을 선편으로 수송하여 [[인천공작창]]에서 조립해 [[경인선]]에 배치되었으며 일부 부품의 경우 [[인천공작창]]에서 직접 제작하기도 했다. 다른 이름으로 맥아더(McArther)로 불리기도 하며,[* 당연히 전쟁중 적국의 군주 칭호를 쓸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한국과 만주에서는 기관차 형식을 두 글자씩 따서 쓰는 관행 때문에 '미카'로 줄여졌다. 특징으로는 동륜 뒤의 보조 차축 덕에 화실을 뒤쪽으로 배치해서 용량을 키울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사양 == === 미카 1형(Mikai) === ||<-2> [[조선총독부|[[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미카1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Mikai-class locomotive}}} ||}}} || ||<-2> [[파일:kmk12.jpg|width=100%]]|| ||<-2> {{{#000,#e5e5e5 [[영등포역|{{{#000,#e5e5e5 영등포역}}}]]에 정차 중인 미카1-2호}}}[br]촬영시기는 1953년 10월 ||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12량+@ || || '''차륜배치''' || 2-8-2 || || '''도입시기''' || 1919년, 1940년대~1950년대 || || '''제작사''' || 볼드윈 || ||<-2> '''차량 제원''' || || '''전장''' || 22,032㎜ || || '''전폭''' || 3,023㎜ || || '''전고''' || 4,383㎜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89.75t || || 탄수차: 57.50t || || '''최고속도''' || 70㎞/h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도입 당시 번호는 700번대였다. 전쟁 이후에 9량이 남한, 나머지가 북한 소속이 되었다. 그 이후에,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기샤세이죠에서 많은량의 미카1형을 추가생산하였으며, 1950년대나 그 이후에 조용히 퇴역되었다. === 미카 2형(Mikani) === ||<-2> [[조선총독부|[[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미카2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Mikani-class locomotive}}} ||}}} || ||<-2> [[파일:knrmk24.jpg|width=100%]]|| ||<-2> {{{#000,#e5e5e5 [[용산역|{{{#000,#e5e5e5 용산역}}}]]에 대파되어 방치된 미카2-4호}}} ||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12량 || || '''차륜배치''' || 2-8-2 || || '''도입시기''' || 1919년 || || '''제작사''' || ALCO-Brooks || ||<-2> '''차량 제원''' || || '''전장''' || 22,094㎜ || || '''전폭''' || 3,023㎜ || || '''전고''' || 4,254㎜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93.40t || || 탄수차: 57.50t || || '''최고속도''' || 70㎞/h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도입 당시 번호는 800번대였다. 분단 당시 4량이 북한 소속이 되었다고 한다. 여담으로, 도입된 역대 미카형 증기기관차들중에서는 생산량이 가장 적다. === 미카 3형(Mikasa) === ||<-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26]]]]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413호 ||<|2> ← || '''414호''' ||<|2> → || 415호 || || 서울 서교동 최규하 가옥 ||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 ||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 ---- ||<-2> [[조선총독부|[[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미카3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Mikasa-class locomotive}}} ||}}} || ||<-2> [[파일:external/jejuhistory.co.kr/%ED%81%AC%EA%B8%B0%EB%B3%80%ED%99%98_%EC%97%B0%EB%8F%99_%EB%AF%B8%EC%B9%B4%ED%98%95%EC%A6%9D%EA%B8%B0%EA%B8%B0%EA%B4%80%EC%B0%A8304%ED%98%B8(1006).jpg|width=100%]]|| ||<-2> {{{#000,#e5e5e5 제주 삼무공원에 정태보존 중인 미카3-304호[br]([[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000,#e5e5e5 등록문화재}}}]] 제414호)}}} ||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398량''' || || '''차륜배치''' || 2-8-2 || || '''도입시기''' || 1927~1946년 || || '''제작사''' || 기차제조주식회사(汽車製造株式会社)[br][[일본차량제조]][br][[히타치 제작소]][br][[가와사키 차량|가와사키 중공업]][br]경성공작창 || ||<-2> '''차량 제원''' || || '''전장''' || 22,035㎜ || || '''전폭''' || 3,078㎜ || || '''전고''' || 4,507㎜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90.65t || || 탄수차: 65.80t || || '''최고속도''' || 70㎞/h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도입당시, 1700번대였던 미카 3형은 '''국내 단일 기관차 생산량중에는 제일 많은 량'''을 자랑함과 동시에 보존량도 꽤나 많다. 현존하는 차량 중 129호는 기차제조주식회사에서, 나머지 3량은 [[일본차량제조]]에서 생산하였다. 1938년 제작된 미카 3형 129[* 사실은 219호 이지만 129호가 정태보존 되어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보존 문단 참조]호는 한국전쟁당시, [[김재현(철도 기관사)|김재현 기관사]]의 일화로 유명해졌으며 1981년, 부산-경주간 증기기관차 관광열차를 견인하였다. 1983년 4월 29일 이후에는 1987년의 관광열차& 초청열차를 견인하다가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 전시되다가 2012년 7월 2일부로 [[대전현충원|대전현충원 호국철도기념관]]으로 옮겨졌다. 1939년 제작된 미카 3형 161호는 증기기관차가 본선에서 종운된지 14년후인 1981년, 부산-경주간 증기기관차 관광열차를 견인하였다. 1983년 4월 29일 동해남부선 관광열차 운행이 중지된 이후에는 어린이날 초청 관광열차, 그 외의 열차에 간간히 투입이 되다가 [[철도박물관]] 개장날인 1988년 1월 26일부로 현재까지 박물관에 전시되어있다.[* 여담으로 관광열차로 쓰이던 때의 도색은 흑색과는 다른 청색에 빨간 바퀴였는데 [[LNER A4]] 맬러드호와 비슷한 도색이였다. 또한 그 도색의 흔적은 현재 점점 드러나고있다.] 1944년 제작된 미카 3형 244호와 미카 3형 304호는 서로 다른 곳에 전시& 보존되어있다. 미카 3형 244호는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에 전시되어있으며, 미카 3형 304호는 [[박정희|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제주도에 철도가 없는 사정상 열차를 보기 힘든 제주도의 어린이들을 위해 객차 1량과 함께 기증한 차량이다.[* 또한, 이 기관차는 국내 보존된 기관차들중 유일하게 '''경유를 때도록 개조받지 않은 기관차'''로서 그 상징이 매우 크다][* 현재, 이 차량은 흑백도색을 받았으며 전면부의 램프가 유실되었다.] 참고로 옛 [[군북역]]터에 조성된 함안독립공원에 있는 건 '''그냥 껍데기만 있는 모형'''이다. 심지어 고증도 전혀 안 맞는 것이, 미카3형 패찰을 달고 있지만 미카3형 생김새와 전혀 다르다. 배장기도 달려 있고 보기륜도 2-6-4 형식으로 그냥 미카와 동시대에 미국에서 쓰이던 기관차 모양이다. 1958년작 영화 지옥화에서 미카3형 318호 차량이 잠깐 [[https://www.youtube.com/watch?v=CP5-eOOSCog&t=3589s|등장]] 한다. === 미카 4형(Mikashi) === ||<-2> [[조선총독부|[[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미카4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Mikashi-class locomotive}}} ||}}} || ||<-2> [[파일:kmk423.jpg|width=100%]]|| ||<-2> 영등포역에 정차중인 미카 4-23호 증기기관차[br]촬영년도는 1953년 3월 ||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24량 || || '''차륜배치''' || 2-8-2 || || '''도입시기''' || 1939년~1942년 ||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 ||<-2> '''차량 제원''' || || '''전장''' || 22,168㎜ || || '''전폭''' || 2,995㎜ || || '''전고''' || 4,244㎜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88.29t || || 탄수차: 58.48t || || '''최고속도''' || 70㎞/h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미카 5형(Mikako) === ||<-2> [[조선총독부|[[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미카5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Mikako-class locomotive}}} ||}}} || ||<-2> [[파일:20180428_140718.jpg|width=100%]]|| ||<-2> {{{#000,#e5e5e5 [[화랑대역(경춘선)|{{{#000,#e5e5e5 화랑대역}}}]]에 전시중인 미카 5형 56호}}} ||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 군수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44량 || || '''차륜배치''' || 2-8-2 || || '''도입시기''' || 1952년 ||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br]히타치 제작소[br]일본차량제조[br][[미쓰비시 중공업]][br]기샤세이죠 || ||<-2> '''차량 제원''' || || '''전장''' || 21,900㎜ || || '''전폭''' || 2,997㎜ || || '''전고''' || 4,510㎜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103.10t || || 탄수차: -t || || '''최고속도''' || 80㎞/h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사령부|유엔군]]에서 일본의 증기 기관차 제조공장에 군용열차 견인용으로 발주한 기관차. 기본적으로 구 남만주철도의 미카이형 기관차(한국명 미카 1형)의 설계를 유용하여 생산했다. === 미카 6형(Mikaro) === ||<-2> [[조선총독부|[[파일:Sentetsulogo.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e5e5e5 '''조선총독부 철도국 {{{+1 미카6형 증기기관차}}}'''[br]{{{-1 Sentetsu}}} Mikaro-class locomotive}}} ||}}} || ||<-2> [[파일:Mnr-mikaro6648_(mikaro549).png|width=100%]]|| ||<-2> {{{#000,#e5e5e5 미카 6형의 원판인 JF6형 기관차}}} ||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 || '''생산량''' || 5량 || || '''차륜배치''' || 2-8-2 || || '''생산시기''' || 1934년 ||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br]히타치 제작소[br]기샤세이죠 [br]니혼사료 || ||<-2> '''차량 제원''' || || '''전장''' || 21,200㎜ || || '''전폭''' || 3,023㎜ || || '''전고''' || 4,244㎜ || || '''궤간''' || 1,435㎜ || ||<|2> '''중량''' || 기관차: -t || || 탄수차: 88.29t || || '''최고속도''' || 80㎞/h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중국 국유철도 JF6형의 설계를 유용하였다. === 미카 7형(Mika7) === ||<-2> [[대한민국 철도청|[[파일:철도청 응용로고 (한글 좌우).pn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8184,#7bfbff '''대한민국 철도청 {{{+1 미카 7형 증기기관차}}}'''[br]{{{-1 KORAIL}}} Mika7 Class locomotive }}} ||}}} || ||<-2> [[파일:knrmk71702a.jpg|width=100%]]|| ||<-2> '''차량 정보'''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2량 || || '''차륜배치''' || 2-8-2 || || '''도입시기''' || 1950년 || || '''운행기간''' || 1950~1969년 || || '''제작사''' || 미쓰비시 중공업 || ||<-2> '''차량 제원''' || || '''전장''' || 19,730㎜ || || '''전폭''' || -㎜ || || '''전고''' || -㎜ || || '''중량''' || 123t || [[한국전쟁]] 당시 부족한 기관차를 충당하고자 [[유엔군사령부|유엔군]]이 일본 중공업(현 [[미쓰비시 그룹|미츠비시 중공업]])에 주문하여 제작한 증기 기관차. [[D51형 증기 기관차]]의 설계를 유용하였으며,[* 이 때문에 D51형과 스펙이 비슷비슷하다.] 이후 철도청에 양도되어 196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 보존 ==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었던 미카형 증기 기관차는 모두 9대가 남아 있다. * 미카 3형 129호(국가등록문화재 제415호)[* [[김재현(철도 기관사)|김재현]] 기관사가 [[https://ko.m.wikipedia.org/wiki/윌리엄_F._딘|딘 소장]]이 명령한 작전에 운행한 차량이다, 이후, 관광열차로 운행하다가 퇴역, 과거 [[대전철도차량정비단]] 내에 있었으나 언제부턴가 현충원으로 옮겼다.][* 하지만 이기관차는 후송 작전때 사용한기관차가 아니다. 증언에 의하면은 '''미카3형-219호'''였다. 즉 한마디로 엉뚱한 기관차를 후송 작전때 썼던 그 기관차라고 잘못 소개하고 전시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이 내려오는 도중 '''129'''와 '''219''' 숫자 기재 과정에서 착오가 생기면서 이런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후송작전에 사용된 미카3형-219호는 안타깝게 폐차되어 고철화가 되어버렸다.]: [[국립대전현충원]] 내 철도기념관 * 미카 3형 161호: [[철도박물관]] - 한동안 관광열차로 운행하다가 1988년부터 박물관 내에 전시 중이다. * 미카 3형 244호: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 미카 3형 304호(국가등록문화재 제414호): [[제주도]] 삼무공원 - 제주도에 철도가 없는 사정상 열차를 보기 힘든 제주도의 어린이들을 위해 [[박정희]]가 기증한 차량이라고 한다. * 미카 5형 31호: 나주시 [[영산포역]][* 한동안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운봉공고]] 캠퍼스에 있었으나 2003년에 영산포역으로 옮겼다.] * 미카 5형 37호: [[현대로템]] 공장 내 * 미카 5형 48호: [[오수역|구 오수역]][* [[대구광역시]] [[대구어린이세상]](당시 어린이회관)에 있었으나 2021년부터 리모델링으로 장기휴관되면서 이전되었다. 대구에 있었을 때는 난간이 있어 차량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었으나 [[https://blog.naver.com/digmon2001/220342814193|#]] 오수역으로 이전하면서 사라졌다.[[https://www.youtube.com/watch?v=331NjSM9B48|#]]] * 미카 5형 56호: [[화랑대역(경춘선)|화랑대역]][* 원래 [[서울어린이대공원]]에 있었는데 2017년 6월에 함께 있던 [[혀기형 증기기관차]]와 함께 옮겼다.] == 기타 == 작가 [[안도현]]은 미카형 증기 기관차와 이를 몰던 퇴역 기관사가 의왕 [[철도박물관]]에서 서로와 재회하는 내용의 소설 '증기기관차 미카'를 썼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일부가 수록되기도 했던 소설.[* 철덕들은 농담삼아 이 기관사가 한 위법행위를 구체적으로 따지자면 "구 제복 절도, 운전실 무단 출입, 정태보존을 위해 일부러 망가뜨린 곳 수리, 보존선로 방향을 경의선 방향으로 무단으로 돌려놓았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북한은 미카형을 '미가형'이라는 이름으로 개명, 소유하고 있는데 1994년 영상과 2008년 영상이나 기타 사진들을 보았을 때 아직까지도 현역 운행 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만 1970년대부터 차호개정으로 증기 6xxx로 번경되었다.]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철도박물관]]에는 미카 3형과 동일기종인 JF9 3673기관차가 전시되어 있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증기 기관차]][[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