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문화]][[분류:상징]]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의 만화 '미츠도모에', rd1=쓰리몬)] [목차] || [[파일:미기미츠도모에.svg|width=100]] || || 미기미츠도모에(右三つ巴)[br],,반시계방향으로 도는 미츠도모에.,, || == 개요 == {{{+2 [ruby(三, ruby=み)]つ[ruby(巴, ruby=どもえ)]}}} 소용돌이 모양 삼태극 무늬. [[토모에]]의 일종으로 [[가몬(일본)|가몬]]으로 자주 이용되었다. 보통 3개의 쉼표/곡옥 모양이 원을 그리는 식으로 이루어지며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도는 히다리미츠도모에(左三つ巴)와 미기미츠도모에(右三つ巴)로 나뉜다. == 특징 == [[일본]]에서는 [[번개]]와 [[천둥]]을 상징하였으며, [[코바야카와 타카카게]]의 코바야카와 가문 등에서 사용했다. [[류큐 왕국]]에서는 히다리미츠도모에를 휘쟈이구문(左御紋, ふぃじゃいぐむん)이라 불렸으며 왕가의 상징으로 사용했다. 또한 [[고야산]]의 상징이기도 하다. 위의 의미에서 파생되어, 3명 혹은 3개의 세력이 대립하여 얽힌다는 의미의 일반 명사로도 쓰이게 되었다. 3명/3팀이 겨루는 경기혹은 싸움을 미츠도모에센(三つ巴戦)이라고 하며, [[삼파전]](三巴戰)은 이걸 음역한 것. || [[파일:제주도기(1966-2009).svg]] || || 구 제주도기 || [[2000년대]] 초중반 [[제주도(대한민국)|제주도]][* 당시에는 [[특별자치도]]가 되기 이전이었다.]의 도기에 그려진 문양이 이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는데, [[프레시안(인터넷 신문)|프레시안]]의 주장과 [[네티즌|인터넷 여론]]에 결국 [[제주도청]]은 약 40년 간 써온 도기를 무미건조한 폰트로고가 쓰인 CI로 교체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8&aid=0001957862|#]] 그러나 미츠도모에(삼파문) 일본 유래설은 별 근거가 없는 이야기인데, 미츠도모에 자체가 [[트리스켈리온|삼태극]] 문양의 일종으로 [[한자문화권]]을 통틀어 널리 쓰이던 문양이기 때문이다. [[티베트]]의 간킬, [[한국]]의 삼태극, 일본의 삼파문 모두 큰 궤를 같이 한다. [[광주광역시]]의 시민단체인 참여자치21의 엠블럼도 비슷하며, [[미국]] [[운수부]]도 이 로고를 사용한다. 제주도의 도기로 쓰였을 때에는 [[탐라국]]의 건국신화를 상징하는 [[삼성혈]]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 [[파일:백제나주목간 태극.svg|width=3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태극.svg|width=50%]][[파일:1988 서울 올림픽 심볼.svg|width=50%]]}}}|| || 나주 복암리 고분군 목간에 그려진 [[백제]]의 태극 문양(디지털 복원). || 삼태극 무늬와 이를 이용한 [[1988 서울 올림픽]] 로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티베트 국기(1920-1925).svg|width=8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티베트 국기.svg|width=100%]]}}}|| || 구 [[티베트]](1920-1925) 국기와 태극 문양. || 현 [[티베트 망명정부]] 국기와 태극 문양.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복드 칸국 국기.sv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류큐 왕국 국기.svg|width=100%]]}}}|| || 구 [[몽골]] [[복드 칸국]]의 국기와 태극 문양. || [[류큐 왕국]]의 국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법륜.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킴 국기(1967-1975).svg|width=100%]]}}}|| || [[불교]]의 법륜(法輪) 속 태극 문양. || 구 [[인도]] [[시킴]] 왕국의 국기와 태극 문양인 간킬(gankyil).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태극, version=149)] == 매체에서의 등장 == 일본 문화가 나타나는 여러 매체에서 자주 등장한다. 그 대표적인 예로 [[태고의 달인 시리즈]]가 있는데, 동카츠 형제를 비롯한 [[츠쿠모가미]](?)들의 창조주인 '위대한 혼'이 이것의 무지개색 모습을 하고 있다. * [[파이브 스타 스토리]]의 [[모터헤드]](GTM이 아니다.) [[밧슈 더 블랙나이트]]의 방패에 이 미츠도모에가 그려져있다. * [[강철의 라인배럴]] 주역메카인 [[라인배럴]]의 상징 문양이다.[* 이 작품의 거대로봇 마키나는 일본의 [[가몬(일본)|가몬]]을 상징으로 하고 있다.] * [[나루토]]에 등장하는 우치하 일족의 [[사륜안]] 홍채무늬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 [[신선조]] 부장 [[히지카타 토시조]]의 가몬이기도 했다. [[도검난무-ONLINE-]]의 [[이즈미노카미 카네사다]]와 [[호리카와 쿠니히로]]의 문양이 미츠도모에인 것도 원래 주인이었던 히지카타 토시조에서 따왔기 때문. * [[미국]] [[운수부]] 로고도 이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 [[스타크래프트 2]]의 프로토스 세력중 하나인 [[탈다림]]의 진영 문양도 이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 [[듀라라라]]의 [[오리하라 이자야]]가 현 시점의 이케부쿠로를 보고서 이 단어를 언급하였다. * [[미스터 초밥왕]]의 주인공인 [[세키구치 쇼타]]의 가게 로고이기도 하다. * [[워 썬더]] 중국서버에서는 기존의 데칼 대신 사용된다. * [[섀도우 파이트 3]]의 그림자 기술 버튼의 모양이며, 누르면 10초 동안 그림자 모드에 들어가고, 방향키와 함께 누르면 그림자 기술을 쓸 수 있다 * [[인터넷 방송]]에 널리쓰이는 소프트웨어 [[OBS Studio]]의 아이콘도 이와 비슷한 형태이다. 이 항목 맨위에 보이는 미기미츠도모에와 판박이다. * [[원신]]에서 이 문양은 번개 원소를 상징한다.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의 [[토키메 시즈카 첫 해돋이 Ver.]]의 소울 젬에 붙어있는 문희랑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