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미셸 폴나레프}}}[br]Michel Polnareff'''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70590-1519708304-7811.jpeg.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맨얼굴 사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3.bp.blogspot.com/MICHEL+POLNAREFF+LP+2.jpg|width=100%]]}}} ||}}}}}}}}} || || '''별명''' ||제독[br]L'Amiral|| ||<|2> '''출생''' ||[[1944년]] [[7월 3일]] ([age(1944-07-03)]세)|| ||[[프랑스]] [[누벨아키텐]] [[로트에가론]] 주 네라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직업'''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 '''장르''' ||[[포크 록]], [[록 음악|록]], [[사이키델릭 팝]], [[팝 음악|팝]], [[재즈 록]]|| || '''악기''' ||[[보컬리스트|보컬]], [[피아노]], [[기타]], [[타악기]], [[베이스 기타]], [[신디사이저]], [[실로폰]]|| || '''활동''' ||[[1966년]] ~ [[2018년]]||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 [[로트에가론]] 주 네라크 출신의 [[샹송]] 가수. 196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의 시대를 풍미했으며, 지금도 상업적으로는 미미하지만 여전히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하얀 뿔테의 선글라스가 그의 상징이다. == 생애 == 그의 가정은 예술적 재능을 가진 가족으로, 어머니는 댄서였으며, 아버지는 가수 [[에디트 피아프]]와 함께 일한 적이 있다. 5살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음악에 매우 재능을 보였다고 한다. 학업과 병역 및 짧은 보험업계에서의 일을 마치고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파리(프랑스)|파리]]의 [[몽마르트 언덕]]에 있는 사크레 쾨르(Sacre-coeur, 聖心) 대성당에서 기타 연주를 시작했다. == 대표곡 == * [[누가 할머니를 죽였는가]] * [[https://youtu.be/0zzqwDW1dow|싫다고만 말하는 인형(La Poupée qui fait non)]] * [[https://youtu.be/dFIqWaAxDW8|Holidays]]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곡이다. == 여담 == * 디스코 활동을 하면서 가요계를 활동하고 있다. * 가족으로는 아버지인 레오 폴나레프, 형인 레오 폴나레프 주니어, 조카인 레오 폴나레프 3세, 아내인 다니엘라 폴나레프, 딸인 미셸 크리스티나 폴나레프, 아들인 루카 폴나레프 등이 있다. * 의류 브랜드 장 피에르와 함께 [[죠죠의 기묘한 모험]] 3부의 캐릭터 [[장 피에르 폴나레프]]의 이름은 이 가수에게서 따왔다. * [[원피스(만화)|원피스]]의 [[돈키호테 도플라밍고]]의 외양도 폴나레프에서 따온 것이다. 금발, 흰테 선글라스에 깃털 코트는 폴나레프가 원조. 그러나 폴나레프 특유의 뽀글머리와 중년 이후 후덕해진 몸매 때문에 그다지 닮은 모습은 아니다. [[분류:은퇴한 방송인]][[분류:1944년 출생]][[분류:1966년 데뷔]][[분류:2018년 은퇴]][[분류:로트에가론 출신 인물]][[분류:음악가 출신 정치인]][[분류:존버로즈 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