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사카 미코토]] [목차] == 개요 == [[미사카 미코토]]의 작품 내외적인 인기를 정리한 문서. == 작품 내적에서 == 어떤 시리즈가 2020년대 들어서 옛날보다 인기가 떨어졌지만, 현재까지도 명실상부 라노벨 최고의 인기 캐릭터로 꼽힌다. 처음 등장했을 때보다 인기가 많아져, 미코토가 주인공인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라는 오피셜 외전 만화도 나오면서 유래없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 처음 등장 시 인기가 적었다는 게 아니다. 작가 후기에 따르면 2권에 왜 미코토 안 나오냐는 원성도 받았다고 하지만, 미코토의 인기가 급격히 올라간 건 여러 통계에서 볼 수 있듯, 어과초 1기 방영 후인 '''2010년'''부터다.] 여러 인기투표에서의 활약상과 더불어 수많은 [[츤데레]] 캐릭터의 대표격 위치에 있으며,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이 연재된 지 '''20년'''이 되어가고 있음에도 [[넘사벽]]의 인기를 자랑하는 시점에서 이 캐릭터의 인기가 얼마나 [[https://theartistextreme.wordpress.com/2016/12/14/misaka-mikotothe-most-popular-light-novel-character-ever|비상식적으로 높은지]] 알 수 있을 것이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미사카축전.png|width=100%]]}}}|| 무려 '''70만 명'''이 참여한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공식 인기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며[* 다만 이 투표는 주작 논란이 있다. 처음에 미사카가 1위였으나, 2ch의 장난질로 히노 진사쿠라는 듣보잡 살인마가 몇 주만에 수십만 표를 받아 선두를 달리고, 로마 교황과 게코타가 몰표를 받았다. 또한, 카미조 토우마, 액셀러레이터도 17, 13등에 그쳤다.], 비공식 [[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015/read/1258474|인기투표에서]] [[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075/read/8998704|1위]], 금서&초전 여성 캐릭터 인기투표에서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163506|1위]], 15,000명이 참여한 인기투표에서 1위, 3기 방영 기념 인기투표에서 [[https://akiba-souken.com/anime/vote/v_1195/|1위]],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환상수속]] 캐릭터 총선거에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dex&no=41748&s_type=search_all&s_keyword=%EC%9D%B8%EA%B8%B0%ED%88%AC%ED%91%9C&page=1|1위]], 그리고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정점결전 인기투표에서는 무려 '''36,424'''표를 받아 '''2 ~ 4위를 합친 것보다 많은''' 득표 수로 1위를 차지한 명실상부 '''어떤 시리즈 최고 인기 캐릭터'''다. == 작품 외적에서 == 또한, [[츤데레]] 캐릭터들의 대표답게, 일본 [[츤데레]] 캐릭터 인기투표를 할 때마다 매번 1위를 독차지한다. 어마금이 나온 지 '''20년'''이 되어가고 있음에도 '''항상 현역'''이며, 애니 오타쿠 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츤데레 랭킹에서 압도적으로 [[http://www.inven.co.kr/board/webzine/2652/204400|1위]]에 랭크인되었다. 또한 츤데레 캐릭터 인기투표에서 역시 [[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015/read/766783|1위]], 최근에 일본에서의 [[츤데레]] 캐릭터 인기투표에서도 또다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comic_new1&no=6580200&exception_mode=recommend&page=1|1위]]를 차지했다. 여담으로, [[중국]] 라이트 노벨 캐릭터 랭킹에서도 여성 캐릭터 부문 [[http://www.chuing.net/zboard/zboard.php?id=infochu&page=16&m_id=&divpage=1&best=&sn=off&ss=on&sc=on&keyword=어떤 마술의&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555|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렇게 미코토는 동시대에 [[츤데레]] 캐릭터를 대표하는 캐릭터로 꼽혔던 [[스즈미야 하루히]], [[아이사카 타이가]], [[샤나]]가 상위권에서 내려오고 있음에도 혼자서 압도적으로 1위를 독식해오고 있다.[* 다만 해당 투표는 미코토보다는 랭킹에 전부 여성 캐릭터가 올라온 와중에 혼자 랭크인한 남성 캐릭터 '''[[베지터]]'''가 더 주목받았다.] 물론 다른 작품들과 달리 어마금이 현역인 이유도 있지만, 그 중에서도 [[츤데레]]를 대표하는 캐릭터로 우뚝 선 인기와 위상을 알 수 있다. ==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하다! 순위 == [include(틀: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하다! 여성 캐릭터 부문 1위)]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하다!]]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이 대회의 '''[[독재자]]'''라 할 만하다. 2010년부터 '''11년 간 1위 9회, 2위 1회,3위 1회'''라는 너무나 압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아예 '''적폐'''라고 부를 정도.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하다!|코노라노]] 2009 에서 여성부 5위, 전체 캐릭터 순위 9위에 처음 순위권에 진입한 이후, 2010년에 여성부 1위 전체 캐릭터 6위를 기록하더니 2014년까지 여성부에서 전대미문의 '''5년 연속 1위'''라는 기염을 토했다. 전체 캐릭터 부문에서도 여러 번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소드 아트 온라인]]의 애니화 버프로 인기가 급상승한 [[유우키 아스나]]마저 미코토에게 밀려 2위 2회에 그쳤다.] 2015년에는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내청코]]의 애니화로 인한 인기몰이와 같은 작품의 [[쇼쿠호 미사키]], [[오티누스]]의 인기 급상승 + [[인덱스(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인덱스]]와의 표 분할 때문에 '''[[유키노시타 유키노]]'''에게 1위를 빼앗겼지만, 이듬해 다시 유키노를 2위로 밀어내고 그 결과를 설욕했다. 2017년 애니화로 미코토의 자리를 위협할 후보였던 [[렘(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렘]]과 [[메구밍]]이 각자 2, 3위에 그치면서 여전히 건재함을 과시했다. 이후 18-19년에도 1위를 차지하며 '''두 번째 4연패'''를 달성하며 그 위엄을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이로써 1위를 총 '''9번'''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대기록을 달성했다.[* 이를 뒤집어 말하면, '''2015년의 유키노는 미코토의 {{{#red 10연패}}}를 저지한 셈이다.''' 단기 포스로나마 미코토를 꺾는데 성공한 유키노의 무시무시함도 드러나는 부분.] 8년간의 3기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애니화 버프를 받은 인기 히로인들이 뛰어넘지 못한 것만 생각하도 놀라운데, 2021년 전까지 미코토를 제외하면 2회 이상 여성부 1위를 차지한 캐릭터는 '''단 하나도''' 없었고, 남성부 최다 1위는 고작 4회이다.[* 그 주인공은 [[아야노코지 키요타카|아야노코지]]. 3회 우승을 달성한 남성 캐릭터조차 [[히키가야 하치만|하치만]], [[키리가야 카즈토|키리토]], [[카미조 토우마|토우마]]로 3명 뿐이다.] 하지만 20년도 이후는 원작 라노벨의 명예의전당 입성으로 인한 기존 팬들의 투표 관심이 이제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에 [[카루이자와 케이]]에게 1위를 내주게 되었다.[* 카루이자와는 20, 21년도에 남친 아야노코지와 남녀 동반 1, 2위를 기록했는데 22, 23년에는 [[시이나 마히루]]에게 밀려났다.] == 모에토너먼트 기록[* 출처: [[https://zh.moegirl.org/%E5%BE%A1%E5%9D%82%E7%BE%8E%E7%90%B4#|중국 모에걸위키]] [[https://saimoe.fmiraheze.org/wiki/Mikoto_Misaka|영어 사이모에 위키]] [[https://saimoe.miraheze.org/wiki/Mikoto_Misaka/Honours|모토 수상기록]]] == * '''2010 [[슈퍼모에토너먼트]] 우승(& [[오리하라 이자야]])''' * '''애니타운 모에토너먼트 4회 우승''' * '''국제 사이모에 리그 V2(2011, 2022)''' [[모에 토너먼트]]에서 온갖 괴물같은 전적을 보유한 '''[[본좌]]''' 캐릭터로 평가된다. '''73개'''나 되는 인기투표 타이틀 뿐 아니라, '''55개'''에 육박하는 모토 우승 + '''21개'''의 준우승으로 총 '''76회'''의 결승을 치렀으며, '''15년 연속'''으로 매년 1회 이상 [[모에 토너먼트]]를 우승한 '''유일한''' 캐릭터이다.[* 2009년부터 2023년까지 계속된 기록. 2위는 [[아이사카 타이가]]의 기록으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 매년 1회 이상 우승했다.] 게다가 미코토는 2011년 12월에 V10을 찍고 샤나로부터 '''모토 최다 우승''' 타이틀을 빼앗은 후, '''8년'''이 넘는 기간 동안 타이틀을 지켜냈다. 또한 미코토는 6대륙의 모토 대회에서 '''모두 우승한 최초의 캐릭터'''가 되어[* 두 번째로 이 기록을 달성한 캐릭터는 '''[[렘(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렘]]'''. 그리고 이 기록은 모든 남녀 캐릭터를 통틀어 저 둘만이 가진 기록이다.], 한때 중국 모토 팬덤에게서 금황소육합(禁皇所六合)이라 불렸다. 이어서 2011년 말부터, 2010년대에 걸쳐 모토 최초로 '''10회 ~ 40회''' 우승에 도달했다. 저런 선례없던 미코토의 활약상 덕에, 중국에서 모토 우승자를 뜻하는 '''萌王'''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다. 미코토는 최고 전성기(11-14년도)에 비교해 이례적으로 '''현역으로 활약한 시기가 길었다'''. 언제나 발군의 성적을 거뒀던 [[국사모]]를 제외하고 외부 대회만 보아도, 2017, 2019년도를 제외한 2010년대 모두에서 활약했다. 그 꾸준함은 다른 최장수 메가히트 히로인인 '''[[알트리아 펜드래곤|세이버]]'''에 준할 정도이며, 그녀 다음으로 메가히트한 애니 히로인인 [[아스나(소드 아트 온라인)|아스나]]를 능가한다. === [[최고모에토너먼트]] === 최고모에토너먼트에서는 09년 96강에서 [[하이바라 아이]]에 밀려 탈락했고 10년에는 [[센조가하라 히타기]]에게 8강에서 밀려 탈락했다. 대신 번외대회였던 2010 [[슈퍼모에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 득표 수는 2809표로 대전상대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3555표에는 터무니없이 밀리는 숫자지만 슈모토 자체가 페어전의 양상을 띄고 있었기 때문에 페어인 [[오리하라 이자야]]가 2283표로 하루히의 페어인 [[카제하야 쇼타]]보다 표를 800표 이상 뽑아주며 결국 우승좌를 차지. 2011년에는 유독 중복투표와 관련해서 여러 가지 사건에 휘말렸다. 우선 96강에서 [[와쿠라 유이나]]에게 패해 조기탈락했는데, 유이나의 후반 500표 몰표가 밝혀져 부정투표 의혹이 일기 시작했다. 게다가 정작 32강에 올라간 와쿠라 유이나는 [[미키 사야카]]에게 힘도 못 쓰고 압도적으로 패하는 바람에 의혹은 더욱 증가했고, 후에 [[아케미 호무라]]와 [[카나메 마도카]]도 허무하게 탈락하자 마침내 최모토 운영자 측에서 부정투표 가능성을 인정하고 경기를 중단하였다. 그리고 96강 진출 캐릭터들끼리 재투표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결정.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마마마]] 진영의 예기치 않은 도움에 힘입어 운 좋게도 재도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미코토에게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니다. 쿠로코나 사텐도 96강 탈락자였기 때문에 재도전권이 주어지는 등 초전자포 진영에 여러모로 득이 되었다.] 허나 기쁨도 잠시, 결국 16강에서 [[카나메 마도카]]와 또 한 건 중복표 사건을 터뜨리며 200표 차 이상 차이로 패배했다. 비록 마도카 쪽의 중복표가 110표 정도 적발되었지만, 결과가 뒤집힐 수 없었다. 최종적으로 '''4강까지 올라간''' [[사텐 루이코]]에 비해 다소 부진한 결과를 냈다. 허나 결과적으로 한일 양국의 모토에서 모두 16강에 드는 데 성공했으며, 특히 양국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한 초강세 신작 마마마 진영에게 대항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카드로도 인정받았다. 꽤 오랫동안 우려먹은 사골 캐릭터임에도 2011년도 신작에게 크게 꿀리긴 커녕, 여전히 강캐 포스를 유지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었다. === [[사이모에토너먼트]] === 2010 [[사이모에 토너먼트]] 당시 우승후보 중 한 명으로 평가되었는데 조별 라운드 결승전에서 [[케이온!]]의 [[아키야마 미오]]와 [[나카노 아즈사]]를 상대하게 되는 기묘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미오와 아즈사 모두 케이온 진영에서 많은 팬들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케이온 진영의 표가 갈려 미코토가 승리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으나 결국 케이온 팬들이 미오를 버림패로 쓰고 아즈사를 밀어주기로 합의함에 따라 아즈사가 '''근소한 차이로''' 미코토를 제치고 승리한 뒤[* '''케이온 진영 전체'''의 연합이었는데, 미코토와 불과 30표도 차이가 나지 않았다.] 해당 대회의 우승까지 차지해버렸다. 2011 [[사이모에 토너먼트]]에서도 유력한 우승후보 중 한 명으로 강캐 포스를 발휘했으나, 16강에서 [[아스타롯테 위그바르]]를 만나 탈락했다.[* 웃기게도 아스타롯테 위그바르 역시 8강에서 [[에리카 하르트만]]을 만나 탈락했으며 에리카는 유일한 비마마마 캐릭터이자 4강 멤버들 중 최약체였고 결국 사쿠라 쿄코에게 압살당했다.] 대신 다른 부분에서 주목을 받았는데, 본선 1회전에서 신작 버프까지 받고 있는 '''강력한 우승후보였던 [[아케미 호무라]]를 꺾어버리는''' 위엄을 발휘했던 것. 대결 상대인 [[사라(쥬얼펫 트윙클☆)|사라]]와 호무라의 표를 합쳐도 미코토에 못 미쳤다고. 그 당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마마마]] 진영이 견제를 많이 받고 있었다는 사실도 무시할 수는 없으나, 그럼에도 마마마 진영의 나머지 4명은 서로 만나서 대결하기 전까지는 단 한 번도 패하지 않고 올라왔으며 끝내 우승 & 준우승까지 차지했던 걸 생각하면 유난히 강세였던 마마마 진영의 일각, 그것도 마마마 최고 인기 캐릭터였던 호무라를 광탈시킨 것은 대단한 성과다. 사이모에 토너먼트는 가면 갈 수록 [[사키(만화)|사키]]의 횡포가 달했고 어과초 2기로 출전한 2013년에는 2회전에서 [[하라무라 노도카]]에게 패해 광탈했다. 이때도 마마마는 절정의 인기로 호무라가 마도카와의 팀킬로 탈락하고 나머지 4명이 또 서로 만나서 대결해서 우승 & 준우승까지 차지했다.[* 11년에는 마미가 4강에서 마도카, 결승에서 쿄코를 잡고 우승했으며 사야카도 8강에서 마도카에 졌다. 13년에는 마도카가 4강에서 쿄코, 결승에서 사야카를 이기고 우승했으며 사야카는 절친에게 두번 졌지만 대신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선배를 8강에서 잡아냈다.] === [[국제 사이모에 리그]] === ||
'''국제 사이모에 리그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국제 사이모에 리그 역대 여성부 우승자)] [include(틀:국제 사이모에 리그 역대 정규시즌 여성부 1위)] ||<-5> [[국제 사이모에 리그|{{{#white 국제 사이모에 리그}}}]]{{{#white (ToC 우승)}}} || || 2015 - [[타치바나 카나데]] || → || 2017, 2018 - '''미사카 미코토''' || → || 2019 - [[렘(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렘]] || ||<-5> {{{#black [[국제 사이모에 리그]](아쿠아마린)}}} || || 2010 - [[아키야마 미오]][br]2013 - [[타치바나 카나데]] || → || 2011,2014 - '''미사카 미코토''' || → || 2012 - [[타치바나 카나데]][br]2015 - [[유키노시타 유키노]] || ||<-5> [[국제 사이모에 리그|{{{#white 국제 사이모에 리그}}}]]{{{#white (사파이어)}}} || || 2020 - [[유키노시타 유키노]] || → || 2021 - '''미사카 미코토''' || → || 2022 - [[타카나시 릿카]] || ||<-5> {{{#white [[국제 사이모에 리그]](에메랄드)}}} || || 2019 - [[토키사키 쿠루미]] || → || 2020 - '''미사카 미코토''' || → || 2021 - [[일레이나]] || ||<-5>
{{{#white [[국제 사이모에 리그]](루비)}}} || || 2009 - [[카츠라 히나기쿠]] || → || 2010,2012 - '''미사카 미코토''' || → || 2011 - [[샤나(작안의 샤나)|샤나]][br]2013 - [[유우키 아스나]] || ||<-5> {{{#000 [[국제 사이모에 리그]](다이아몬드)}}} || || 2011 - [[유클리우드 헬사이즈]] || → || 2012 - '''미사카 미코토''' || → || 2013 - [[타치바나 카나데]] || ||<-5> {{{#black [[국제 사이모에 리그]](토파즈)}}} || || 2021 - [[시노미야 카구야]] || → || 2022 - '''미사카 미코토''' || → || 폐지 || ||<-5> [[국제 사이모에 리그|{{{#white 국제 사이모에 리그}}}]]{{{#white (자수정)}}} || || 2021 - [[시이나 마시로]] || → || 2022 - '''미사카 미코토''' || → || 폐지 || }}} || 최모토와 사이모에와는 인연이 없었지만 대신 세계제일 대회였던 국사모에서는 자신의 진가를 제대로 발휘하였다. 미코토가 12년도 부진을 극복하고 이후 모토계 '''넘사벽 원탑'''으로 자리매김했던 이유는, 2010년대 초반 모토계의 흐름 전반이 '''미코토에게 웃어주었기''' 때문이다. 13년은 1세대 대회인 [[최고모에토너먼트|최모토]], [[사이모에 토너먼트|사이모에]]가 추악한 병폐로 완전히 몰락한 '''모토 암흑기'''다. 이렇게 신뢰할 만한 인기투표가 사라지던 시절, 미코토는 [[타치바나 카나데|천사]]와 함께 그야말로 모토판 [[메호대전]]을 찍으며, 그나마 믿을 만한 국사모에서 '''무쌍'''을 찍었다. 거기다 점차 유명세를 타던 코노라노에서 '''사상 최초의 5연패'''와 '''초전자포 2기 버프'''가 겹치는 역대급 행운까지 따라주며 투표자들에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반면 그 시절 샤나는 자신에게 불리해진 흐름을 마주해야 했다. [[작안의 샤나]]가 완결 1년이 넘은 13년을 기점으로 '''오와콘 취급'''을 받기 시작했기 때문.[* 이 때문에 샤나는 데뷔 최초로 2년 연속 모토 무관에 빠지게 된다. 이 점까지 들고 올 필요도 없이 국사모의 예시만 봐도 이는 명백한데, 국사모 통산 43패 중 '''12년까지 누적 패배보다 13년 이후 각 해의 패배가 더 많았다.''' 오히려 그럼에도 미코토의 47패를 넘지 않았다는 점과 9년 평균을 내면 5패 미만이라는 점이 경이로울 뿐이다.] 그리고 2010년대 초반 대형 신인 풀이[* [[마키세 크리스]], [[카시와자키 세나]], [[유우키 아스나]], [[유키노시타 유키노]], [[타카나시 릿카]], [[지탄다 에루]], [[토키사키 쿠루미]] 등. 크리스-유키노-에루-쿠루미는 15년 이후에야 포텐이 터졌고, 아스나는 '''데뷔 8년차'''가 되어서 [[BGC|메이저 모토]] 우승을 할 수 있었다.] [[시이나 마시로|마시로]] 정도를 제외하고 '''유래없는 집단 부진'''을 겪으며 10년대 초반 모토에서 제대로 활약하지 못하는 등의 호재마저 따라주었다. 그 결과 10~16시즌 총 '''36회 우승'''을 쌓아올린 미코토는, 2010년대 초중반 모토계에 [[왕조(스포츠)|왕조]]를 세우며, [[https://zh.moegirl.org/十王俱乐部|모토 10회 이상 우승자]]들 중 가장 압도적인 커리어를 보유했었다. ==== [[국제 사이모에 리그/연도별 기록/2008-2012|2009년 ~ 2012년]] ==== 대회 최종보스 [[타치바나 카나데|천사]]의 유일한 라이벌이자[* 2010년대 초중반 국사모에서 저 두 명이 벌이던 무쌍이 워낙 모토계에서 유명했기 때문에, 이런 짤이 돌기도 했다.[br][[파일:미코카나 국사모.jpg]]], '''국사모 최강자'''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국사모 통산 결승 진출이 4회로, 그 중 2년 연속 결승 진출 기록은 천사와 미코토만이 가지고 있다.] 또한 대회 2회 우승을 할 뻔한 몇 안 되는 캐릭터이다. 2009년 대회에서는 42위에 그쳤지만, 2010년에 인기가 매우 올라가 그 샤나를[* 샤나의 2010 국사모 정규시즌 성적은 48승 1패로 전체 1위에 '''목걸이만 3개를 독식했다.'''] 2번이나 떡실신시키는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결승전에서 [[아키야마 미오]]에게 압도적으로 털리고 결과는 준우승.[* 10시즌의 미오는 '''모토 역사 전체'''로 봐도 역대급 강캐였다. 미코토 등 역대 츤데레들에겐 재앙 수준으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줬고, 히타기나 카나데 등 초대형 신인들도 털어먹으며 '''3대 메이저 모토 중 2개'''를 혼자 먹은 최종보스였으니.] 게다가 이 토너먼트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인데 여기서 미오와 2번 싸우고 2번 다 발렸다. 하지만 11시즌에 돌입하자 안 그래도 높은 인기가 더 치솟았다. 초반부터 순식간에 아쿠아마린 목걸이를 차지하고, 그 이후 정규시즌 내내 [[타치바나 카나데]]와 1, 2위를 끊임없이 다투었다. 결국 마지막 49번째 라운드에서 카나데와 대결해 간발의 차로 졌는데 이게 49전 중 '''유일한''' 패배다.[* 이 승리로 천사는 국사모 최초의 전승 신화를 달성했고, 다음 시즌에도 승승장구하며 '''112연승'''까지 한다. 반면 작년 우승자인 미오는 인기가 1년 만에 매우 떨어져, 16강에서 재작년 우승자 [[카츠라 히나기쿠]]에게 발렸다.] 이어진 결선에서도 유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고, 4강에서 천사에게 역전승을 거두고 올라온 이변의 주인공 [[샤나(작안의 샤나)|샤나]]를 꺾고 '''국사모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결승 득표 맵에서 보면 알겠지만, 중국은 당시 샤나를 지지했다. 이후 모토계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증대되는 시점이 되어서야 중화권은 미코토를 적극 푸쉬하기 시작한다.[br][[파일:Shana vs Mikoto.gif]]]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ttachment/미사카 미코토/mikoto_09.jpg|width=100%]]}}}|| || 2011 국사모 우승 삽화 || 2012 국사모에서도 여전히 1티어 우승후보의 위엄을 보여주었다. 루비 목걸이를 따고, 정규시즌 1위로 참가한 스텔라 부문 결선에서도 우승하며 다이아몬드 서클릿을 차지했다. 하지만 가장 중요했던 티아라 결정전에서 [[이것은 좀비입니까?]]의 [[유클리우드 헬사이즈]]를 8강전에서 만나 1560표 차이로 완패하며 탈락했다. 최종 성적은 6위.[* 유클리우드는 작품의 마이너한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국사모 한정으로 방영당시엔 잠깐 반짝했다.] ==== [[국제 사이모에 리그/연도별 기록/2013-2017|2013년 ~ 2017년]] ==== 2013 국사모에서는 예년처럼 강캐 포스를 보여줬지만, 목걸이 획득은 실패. 그래도 정규시즌 3위로 진출한 스텔라 부문 결선에서 [[세이버(5차)|세이버]], [[나카노 아즈사|아즈사]]를 이기고 4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영원한 라이벌 카나데에게 패하며 탈락. 이후 티아라 결정전에서는 [[아오야마 나나미|호라 모 젠젠]], [[아라가키 아야세|얀데레 히로인]]를 떨어뜨리고 4강에 올랐지만, 여기서 또 한 번 천사에게 꺾이면서 4위로 대회를 마무리 했다. 2014 국사모에서는 아쿠아마린 목걸이 수상, 스텔라 부문 전승으로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하는 영광을 누리게 된다. 부문 결선에서도 그 화력은 죽지 않았는지 한동안 큰 인기를 끌었던 역대 인기 츤데레 캐릭터인 [[스즈미야 하루히]], [[샤나(작안의 샤나)|샤나]], [[아이사카 타이가]]를 연속으로 격파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에서 만난 건 강력한 우승후보이자 전부터 자신을 여러 번 물 먹인 적이 있는 상대인 [[타치바나 카나데|천사]]였다.[* 자고로, 카나데는 국사모에서 미코토에게 '''7승 5패'''로 상대 전적이 크게 앞선다.] 결국 '''19표차'''로 아깝게 다이아몬드 서클릿은 놓치고 만다. 한편 최종 결선에선 화력이 다했는지 [[히메카와 요시노|요시노]]와 [[토키사키 쿠루미]]에게 연패하며 광탈하는 굴욕을 겪었지만, 나머지 경기에서 전승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미사카국사모.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oC winner-2018.png|width=100%]]}}}|| ||<-2><#fff,#1f2023> 2017, 2018 국사모 ToC 우승 삽화 || 2015년 국사모의 초대 챔피언 토너먼트(ToC)에서[* 2015년 이후 우승자가 정규 시즌에 출전 금지됨에 따라 우승자들만이 참여하는 대회]는 의외로 고전하며 3위에 그쳤다. 하지만 ToC가 다시 개최된 '''2017~2018시즌 2연패'''를 달성하며, '''대회 최강자'''로서 건재함을 과시하였다. 2019시즌에는 렘과 카토에게 밀리긴 했지만, 속수무책으로 털리던 다른 우승자들과 달리 접전을 벌였다. ==== [[국제 사이모에 리그/연도별 기록/2018-2022|2018년 ~ 2022년]] ====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 '''[[렘(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렘]]'''이라는 신흥절대강자가 나타나 18년 이후 인기투표 전반에서 무쌍을 찍으며 상황이 급변했다. 츤데레포가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인기투표에서 부진하며 우승이 5개 이하에 그칠 때[* 어마금 3기가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애니메이션/평가#s-5.5|여러 가지 악평을 들으며]]''', 애니 버프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 V20조차 못 찍었던 렘은 그 기간에 [[왕조(스포츠)|30개가 넘는 우승]]을 기록했다. 그 결과 20년 5월 미코토는 '''모토 최다 우승''' 기록을 렘에게 빼앗기고 말았다.[* 물론 이 시기를 포함해, 미코토는 렘에게 역사상 '''인지도에서 단 한 번도 뒤쳐진 적이 없었다!'''[br][[파일:Google Trends_Mikoto-Rem.png|height=600]]] 2020년 어과초 3기가 방영되면서 옛 영광을 되찾으려는 미코토는 렘 이후로 신흥 강호들인 [[카토 메구미]], [[사쿠라지마 마이]], [[바이올렛 에버가든(바이올렛 에버가든)|바이올렛 에버가든]], [[시노미야 카구야]] 등이 연이어 두각을 드러냈고 베테랑인 [[유키노시타 유키노]]와 [[유우키 아스나]] 역시 새 시즌으로 방영버프를 받고나왔다. 대신 렘이 리제로 2기에서 비중이 공기화되면서 미코토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고 여성부 전체 1시드로 본선에 참가. 본선에서 토우마와 '''커플 에메랄드'''를 획득하는 등 현역 인증을 했다. 결선에서는 [[후지와라 치카|치카]], [[토오사카 린|린]], [[시노미야 카구야|카구야]]를 차례로 두들기는 저력을 보여주면서 결승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2회 우승에 대한 참여자들의 반감 등으로 인해 결승에서 유키노에게 패하며, 인기가 조금은 떨어진 모습을 보이고 말았다.[* 참고로 역대 국사모에서 모든 예선 총합 1위는 최종적으로 우승에 실패했었다. 이 징크스는 같은 해 남성부의 [[시로가네 미유키]]가 최초로 깼다.] 2021년 [[국사모]]에서는 [[일레이나]]가 예상 외의 미칠 듯한 선전을 보여주었으나, 작년 준우승이 우연이 아니라는 듯 2년 연속 여성부 1시드를 획득하였다. 그리고 그 일레이나와 같이 정규시즌 전승을 질주했지만, 최종전에서 카구야에게 일격을 맞고 2위로 내려앉았다. 그럼에도 여전히 우승후보답게, 4강에서 또 다시 카구야를 이기고 결승에 가면서 '''역대 최초 단일 메이저 모토 2회 우승'''에 닫은 듯 했다. 결승에서도 개표 초반 [[일레이나]]를 압도했지만, 12시간 이후 빠르게 따라 온 일레이나에게 역전패하여 우승이 좌절되었다. 2022년은 국사모 역시 마지막 대회가 되면서 역대 국사모 우승자들이 총출동하고 신인인 [[키타가와 마린]], [[요르 포저|포저]] [[아냐 포저|모녀]], [[니시키기 치사토]]가 참가했으며 쿠루미와 카구야도 애니 버프를 직격으로 받았으며 여기에 쿄애니 진영이 국사모 마지막 대회에서 유독 강세를 드러낸 상황이었다.[* 21년 남성부에서도 [[토가시 유타]]가 준우승까지 할 정도로 특히 중2코이가 2020년대 국사모 말기에서 이변을 일으키고다녔다.] 여기에 본인과 달리 우승 경험이 없는 마시로, 아스나 같은 노장들에게 향할 동정표 같은 요소들도 있어, 이전 2년보다 미코토에게 더 어려운 시즌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기우에 지나지 않았다. 본선 1차 72강과 본선 2차 42강에서 전승 1위, 첫 번째와 두 번째 목걸이 결정전에서 토파즈, 자수정을 연달아 손에 넣으며, 국사모 최초로 '''7색 목걸이'''를 완성하였고 정규리그 1위에 이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체제의 포스트시즌에서도 승자 결승에서 돌풍을 일으키던 [[타카나시 릿카]]를 손쉽게 제압하고 기세를 몰아 최종 결승에서도 렘과 바이올렛을 상대로 압도적인 원조 패왕의 품격을 드러냈다.[* '''바이올렛과 렘의 득표수를 합쳐도 미코토를 넘을 수 없었다.'''] 그녀는 2020-21년의 연속된 준우승의 아픔을 씻어내고 '''최초의 동일 메이저 모토 2회 우승, [[와이어 투 와이어]] 전승 우승으로 마지막 국사모를 화려한 피날레로 장식했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2 Tiara.png|width=100%]]}}}|| ||<#fff,#1f2023> 2022 국사모 우승 삽화 || 이후 15년 국사모 역사의 끝을 고하는 폐막 이벤트 매치에서는 노바 전승 우승으로 디바인 서클릿을 차지한 돌풍의 신인 [[고토 히토리]]의 도전을 받았으나 1110표차[* 3454표 vs 2344표]로 완승을 거두며 앞으로 그 어떤 인기 캐릭터도 감히 견줄 수 없는, 영원한 클래스임을 남겼다. === [[애니타운 모에토너먼트]] === 애니타운 모에토너먼트에서도 09년 3, 4분기, 10년 슈퍼모에토너먼트(연간 통합전), 13년 2분기 부문 우승하면서 통산 4관왕을 차지했다. ===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 어과초 3기가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되면서 2020년 애캐토에 참가했다. 허나 3차 예선에서 최종보스 [[일레이나]]와 17년 우승자인 [[카후우 치노]]와 한조에 엮였고 결국 치노에 밀려 3위로 탈락하는 불운을 맞았다. 그리고 일레이나는 8강에서 치노를 더블 스코어로 압살하고 기어코 우승까지 거머쥐었다. 당시에 일레이나의 인기가 하늘을 찔렀고 미코토는 이듬해인 2021년 국사모에서도 일레이나를 넘지못하는 등 일레이나와 악연이었는데 미코토가 최후의 승자가 된 2022년 대회에서 둘은 만나지 못했다. 일레이나는 결선 2회전에서 유키노에게 패하고 패자조 3R에서 바이올렛에게 패하면서 완전탈락했는데 유키노와 바이올렛이 미코토에게 잡힌걸 감안하면 일레이나가 최종 결승까지 가도 미코토를 이길 가능성은 적었을 것으로 보인다. === [[Best Girl Contest]] === ||<-5> [[Best Girl Contest|{{{#fff Best Girl Contest}}}]] {{{#fff 2016 우승}}} || || 2015: [[유키노시타 유키노]] || → || '''미사카 미코토''' || → || 2017: [[토오사카 린]]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GC 2016.png|width=100%]]}}}|| [[Best Girl Contest]] 2016에서, 대회 역사상 가장 낮은 '''53시드'''로 우승좌까지 거머쥐는 등 온갖 불리한 상황을 뚫는 저력도 보여주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미사카 미코토, version=3037, paragraph=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