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메이플스토리의 지역명, rd1=거울세계, other2=여기에서 모티브를 얻은 Aoi 작곡의 리듬게임 수록곡, rd2=War in the Mirrorworld)] [목차] ミラーワールド / Mirror World == 개요 == >....꿈이여 춤춰라 이 지구별 안에서 '''증오를 비추어 내는 거울''' 따윈 부숴버릴 정도로... >....사랑이여 밝혀라 이 하늘 끝까지 '''진실을 어지럽히는 거울''' 따윈 깨 버리면 돼..... >---- >[[Alive A life]] [[가면라이더 류우키]]에 등장하는 이차원 세계. 본작에서 가장 핵심적인 소재로, [[칸자키 시로]] & [[칸자키 유이]] 남매와 깊은 관련이 있는 세계이다. == 설명 == [include(틀:스포일러)] [[거울]] 속에 존재하는 세계로, 좌우가 반전 되어있는 것 외에는 현실세계와 완전히 똑같지만 그 안에 사는 생명체라고는 미러 월드의 존재[* 예: [[미러 몬스터]], [[거울상의 신지]]. 지오에서는 [[뒷면의 소고]] 포함.]밖에 없는 삭막한 세계. 현실 세계의 존재는 미러 월드에선 활동 제한 시간을 넘겼을 시 얼마 안되어 소멸해버린다. 반대로 미러 월드의 존재는 역으로 현실 세계에서 활동 제한 시간을 넘겼을 시 사라지게 된다. 또한 현실 세계와 미러 월드 사이엔 '''"디멘션 홀"'''이란 또다른 차원(경계)이 있다고 묘사되며, 라이더들은 "라이드 슈터"를 타고 이 또다른 차원을 통해서 미러 월드로 들어간다. [[칸자키 시로]]가 만든 라이더 시스템으로 변신하는 가면라이더의 경우 미러 월드에서 활동할 수 있는 제한시간은 9분 55초[* 다만 라이더로 변신하는 것 자체는 시간제한이 없기에 [[가면라이더 류우가|류우가]]는 제한시간이 없지만, 역으로 현실 세계에서 제한시간을 적용받을 것으로 추측된다.], 유사 라이더인 [[얼터너티브(가면라이더 류우키)|얼터너티브]]는 8분 25초가 한계다. 류우키와 나이트의 서바이브 형태는 에너지 소비가 심하기 때문에 제한시간이 8분으로 줄어들어 버린다. 게다가 기본적으로 미러 월드의 존재나 가면라이더 말고는 두 세계를 자유롭게 오갈 수 없기 때문에, 만약 미러 월드 안에서 카드 덱이 부서져 변신이 풀리는 순간 '''현실 세계로 돌아오지 못하고 미러 월드에서 소멸하게 된다.'''[* [[사노 미츠루|모 라이더]]가 이런 식으로 사망했다. 그리고 극장판에서 [[아사쿠라 타케시]]도 이렇게 사망했다.] 이렇게 위험한 곳이지만 미러 월드의 존재도 현실세계에서 장시간 활동할 수 없어서 미러 몬스터도 인간을 습격할 때를 제외하면 미러 월드에서 나오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미러 월드 안에서 싸우게 된다. 라이더 배틀의 경우엔 현실 세계에서 싸워도 문제는 없지만[* 물론 계약 몬스터가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지만 어차피 미러 월드에선 반대로 계약자가 시간 제한이 붙는지라 별 차이없다(...).], 미러 월드가 부서져도 현실 세계엔 지장이 없어서 라이더 배틀을 숨기기 쉬운 덕분에 주로 미러 월드에서 싸움을 벌이게 되는 편. 기본적으로 미러 월드는 거울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지만, 유리나 물웅덩이 등 빛이 반사돼서 거울처럼 모습이 비춰지기만 하면 어디든 출입이 가능하다. 작중 묘사를 보면 들어간 곳으로만 나오는 장면이 많지만[* 2화에서 렌이 다시 나온 곳에 신지가 뛰어들지만 막혔다. 여기에 렌은 '''들어왔던 곳으로 나와.'''라고 말하고, 신지는 자신이 자동차를 통해 빨려들어왔다는 것을 생각해내고 간신히 빠져나온다.], [[가면라이더 류우키/29, 30화|맞선녀 레이코 납치 사건]]에서든가, 극장판에서 등장한 [[키도 신지(미러월드)|미러 월드의 허상]] 등 '''그런 거 무시하고 그냥 다른데로 돌아오는 묘사도 많은 걸 보면 딱히 지키지 않아도 되는 것 같다.''' 잘 생각해보면 이것은 블랭크체 한정일 수도 있다. 이미 미러 몬스터 자체가 같은 출입구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현실세계와 미러월드를 왔다갔다 하는 묘사가 많은데 라이더는 계약 몬스터의 특징을 얻는단 걸 생각하면 이런 특징을 이어받지 못한 블랭크체 라이더만 같은 출입구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 못한다. 그래도 변신할 때는 최소한 머리부터 벨트를 착용해야 하는 허리까지는 비추어져야 하는 듯 하다. 극중에서도 보면 최소한 허리까지는 비추어지는 곳에 자신을 비추고 나서 변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본편 외 작품에서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1화에서는 [[나츠미의 세계]]에서 류우키가 거울 너머에서 츠카사를 보다가 사라졌으며, [[류우키의 세계]]에선 들어왔던 곳으로 다시 나와야한다는 묘사가 아닌 '''그냥 아무데서나 들어가고 나온다.''' 애초에 이 세계는 다른 세계의 라이더인 디케이드도 자유롭게 미러 월드에 출입이 가능. 그리고 원작의 미러 월드보다 훨씬 안전한 곳으로 묘사된다. [[가면라이더 류우키 TV 스페셜 - 13 RIDERS|TV 스페셜]]에서는 미러월드의 중심핵인 '''"[[코어 미러]]"'''가 존재한다는 묘사가 있다. 여기서 미러 몬스터들이 계속해서 튀어나오며, 또한 이 코어 미러가 부서지면 미러 월드는 소멸한다고 한다. 하지만 신지가 코어를 박살내는 엔딩에서 코어를 박살냈음에도 미러월드가 존재하는 것을 보면 코어의 존재 자체가 거짓이거나 신지가 파괴한게 진짜가 아닐 가능성도 있다.[* 애초에 라이더 배틀을 계속 진행시키기 위해 몇번이나 루프를 돌게 한 칸자키 시로가 그런 중요한 장치를 파괴되기 쉽게 놔뒀을 리가 없다.] TV판에서 칸자키 시로가 라이더 배틀을 포기하자 미러 월드가 붕괴하는 묘사가 나오는데 진짜 코어 미러는 칸자키 시로였을수도 있다. 북미판인 [[가면라이더 드래곤나이트]]에서는 [[벤타라]]로 각색되었다. 라이더 배틀이 주 목적 세계인 본편과는 다르게 [[제이비엑스|외계인]]에게 침략당하기 이전에는 지구처럼 생명체가 존재했던 세계기 때문에 본편의 미러 월드와는 차이점이 있다. 시간 제한과 출입 제한이 없어졌기 때문에 배틀을 좀 더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벤타라를 통해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까지 가능하다. 또한 본편에는 없던 '어드벤트 공간'이라는 제 3의 공간이 추가되었다. [[가면라이더 위자드]] 스페셜 에피소드에서 [[소우마 하루토|하루토]] 일행이 류우키에 의해 미러월드로 들어간 적이 있는데 소멸하지 않고 다시 원래세계로 돌아온 적이 있다. [[가면라이더 지오]]에서도 미러 월드가 존재한다. 여기선 수천번의 딱 한번 거울이 깨질때 현실과 이어지는 잊힌 세계라는 설정으로 나온다. 류우키의 TV판 결말대로 칸자키 남매에 의해 라이더 배틀과 그에 관한 역사가 사라진 상태이다. [[가면라이더 지오 스핀오프 PART 2 RIDER TIME 가면라이더 류우키]]에선 류우키 본편에서의 인물들이 수수께끼의 여인 [[사라(가면라이더 지오)|사라]]에 의해 미러 월드속에 갇히면서 7일안에 최후의 1인만이 살아남아 탈출하게 되는 라이더 배틀이 재개되었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이름말곤 모든 기억들을 잃어버렸고 시간 제한도 7일 정도로 늘어났기에 변신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미러월드 내에서 생활하는 게 가능하다. 일단 미러 월드 내에는 식량이 많지만 미러 몬스터들도 출몰해 참가자들을 공격한다. 예외로는 [[아사쿠라 타케시]]만이 류우키 본편에서의 기억을 가지고 있었고 현실 세계에선 [[어나더 라이더]]인 [[어나더 류우키]]가 존재해도 미러 월드가 유지되어있다. [[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 에피소드 1에서는 [[재단 X]]가 청명원 대학에 남아있던 데이터를 입수해 미러 월드를 다시 연다. 라이더 배틀이 [[아사쿠라 타케시]]의 승리로 끝나고, 오딘의 덱을 재단 X의 에콜이 회수하면서 [[데자스트]]를 부활시키는 것에 사용하면서 프로젝트 아웃사이더즈의 진전에 활용되었다. == 기타 == 거울 속의 세계나 다름 없기에 극중 배경을 보면 글씨의 좌우가 뒤집혀 있는 표지판같은 소소한 요소를 볼 수 있다. 슈트 액터들이 라이더 킥을 왼발로 하는 등 슈트 액션을 반대로 찍어놓고 화면을 좌우반전시켰다고 한다.[*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의 [[류우키의 세계]]에서는 좌우반대로 인쇄된 간판 몇 개만 준비해서 설치한 후 편하게 촬영했다.] 하지만 작품이 진행될수록 글자나 숫자 등의 표시가 없는 장소에서 싸우는 경우가 더 많아져 상관없어졌다. 미러 월드의 문이 열리거나, 미러 월드 너머의 존재가 근접해 있을 경우 거울에서 유리를 긁는 듯한 특유의 바람소리가 난다. 단순히 연출이 아니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이기에 작중 라이더들은 [[미러 몬스터]]나 다른 라이더들의 출현을 이 소리를 통해 파악하기도 한다. 또한 미러 월드로 넘어오면 유리병에 숨을 불어넣은 듯한 바람소리가 계속 울리는데, 미러월드에는 미러 몬스터 외에는 아무도 없는지라 싸우는 소리 말고는 오직 이 소리만 들린다. 참고로 [[데아고스티니]]에서 출판한 가면라이더 오피셜 데이터 파일(面ライダー オフィシャルデータファイル)에 의하면 [[코바야시 야스코]]가 초기에 제시한 설정은 차원의 틈새에 있는 아공간이, 이른바 '''극간세계(隙間世界)'''었다고 한다. 여기서는 [[미러 몬스터]]가 사람들의 감정이 모여 만들어진 존재이며, 현실세계로 넘어가기 위해 사람의 몸을 탈취한다는 설정. 이 초기 설정들은 이후 [[가면라이더 덴오]]의 [[이매진(가면라이더 덴오)|이매진]](사람한테 빙의) & [[사무라이전대 신켄저]]의 [[외도중]](이승과 저승의 '''틈새'''의 존재)으로 재활용된다. [[분류:가면라이더 류우키/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