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친박연대, other1=동음이의어, rd1=친박연대(동음이의어), other2=2012년에 설립된 동명의 정당, rd2=친박연대(2017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제21대 총선 당시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 rd1=미래한국당)]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018, #F8E018)" '''[[민주당계 정당|{{{#000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대통합민주신당]]||<:>{{{+1 →}}}||<:>{{{#FFF '''참주인연합'''}}}||<:>{{{+1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br]{{{#!html
(개별 합류)}}}||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0C8, #0070C8)" [[대한민국 보수정당|{{{#FFF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한나라당]]||<:>{{{+1 →}}}||<:>{{{#FFF '''미래한국당'''}}}||<:>{{{+1 →}}}||<:>'''친박연대'''|| ||<:>'''미래한국당'''||<:>{{{+1 →}}}||<:>{{{#FFF '''친박연대'''}}}||<:>{{{+1 →}}}||<:>'''미래희망연대'''|| ||<|2><:>'''친박연대'''||<|2><:>{{{+1 →}}}||<|2><:>{{{#FFF '''미래희망연대'''}}}||<:>{{{+1 →}}}||<:>[[한나라당]]|| ||<:>{{{+1 →}}}||<:>[[미래연합]]|| ||<-2><:>[[파일:미래희망연대 로고.svg|width=250]]|| ||<-2><:>{{{#FFF '''미래희망연대'''}}}|| ||<:>'''영문 명칭'''||Future Hope Alliance|| ||<:>'''창당일'''||[[2007년]] [[10월 2일]] ,,(참주인연합),,|| ||<:>'''당명 변경'''||[[2008년]] [[3월 13일]] ,,(미래한국당),,[br][[2008년]] [[3월 21일]] ,,(친박연대),,[br][[2010년]] [[2월 22일]] ,,('''미래희망연대'''),,|| ||<:>'''해산일'''||[[2012년]] [[2월 6일]] ,,([[한나라당]]에 흡수합당),,[* [[https://www.nec.go.kr/portal/bbs/view/B0000341/2364|공고]]]|| ||<|4><:>'''당 색'''|| {{{#FFF 파란색 ,,(#0065B3),,}}} || || {{{#fff 남색 ,,(#264088),,}}} || || {{{#fff 하늘색 ,,(#049CC4),,}}} || || {{{#fff 진청색 ,,(#0C449B),,}}} || ||<:>'''의석 수'''||{{{#!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65B3 2.67%, #808080 0%)" {{{#fff '''8석 / 299석'''}}}}}}|| ||<:>'''해산 전 대표'''||[[노철래]](권한대행)||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4길 12 (여의도동)|| [목차] [clearfix] == 개요 == 본래 이 당은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합민주신당]] 탈당 인사인 [[김선미(정치인)|김선미]] 의원[* 지역구는 경기도 [[안성시(선거구)|안성시]]였으며, 정치 [[철새(정치)|철새]]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남편 [[심규섭]]도 같은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었다.]이 [[정근모]] 전 과학기술처 장관을 대선 후보로[* 실제로 17대 대선에서 기호 7번으로 나왔다.] 밀었던 군소 정당 '''참주인연합'''(참主人聯合)이었다. 이렇게 평범한 군소정당 중 하나로 역사에 남나 싶었지만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총선]]을 앞두고 신당을 창당할 시간이 없던 [[한나라당]] 공천 탈락 세력이 대거 입당해 당명을 '''친박연대'''로 바꿔 버렸으며, 이후 한나라당에 흡수 합당되어 소멸하였다. '''정작 [[박근혜]] 본인은 친박연대에 소속된 적이 없다.'''[* 다만 박근혜는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직전에 잠시 한나라당을 탈당해 [[한국미래연합]]을 창당했다가 지선에서 참패하자 [[제16대 대통령 선거]] 직전에 다시 한나라당에 복귀한 적이 있는데, 이때 쓰인 미래라는 이름이 이 당과 여기서 갈라진 [[미래연합]], 그리고 박근혜 정부 당시 출범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그리고 2020년에 [[미래통합당]]과 위성정당 [[미래한국당]]이 창당되었다.~~] --[[홍철 없는 홍철팀|근혜 없는 근혜팀]]-- 물론 입당만 안 했을 뿐, 한나라당 소속임에도 친박연대 인사들에게 "살아서 돌아오시라"라는 격려를 했다. == 역사 == ||<:> [[파일:external/www.polinews.co.kr/focus_81282_1.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dhns.co.kr/10080_3029_2135_150.jpg|width=70%]] ||<:> [[파일:친박연대 로고.svg|width=65%]] ||<:> [[파일:미래희망연대 로고.svg|width=70%]] || ||<:>{{{#FFFFFF 참주인연합}}} ||<:>{{{#FFFFFF 미래한국당}}} ||<:>{{{#FFFFFF 친박연대}}} ||<:>{{{#FFFFFF 미래희망연대}}} || 미래희망연대가 되기 까지의 정당 로고와 상징색들. 친박연대의 경우 총선에서 [[한나라당]], [[자유선진당]]({{{#!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529C; border: 1px #00529C;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자유선진당 파란색 {{{-2 (#00529C)}}}}}}}}})과 당색({{{#!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C449B; border: 1px #0C449B;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친박연대 파란색 {{{-2 (#0C449B)}}}}}}}}})이 비슷한 관계로 방송에서는 보라색, 분홍색 등 다양한 색깔로 바뀌어 표현되었다. 본인들은 남색 배경에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E2B2B; border: 1px #EE2B2B;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붉은색 {{{-2 (#EE2B2B)}}}}}}}}})으로 기호 6번을 표기하는 식으로 구분했다. 이 외에 미래한국당에 친박세력이 집단입당한 직후의 임시 로고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도 있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80319010304230470021|#]] === 창당 === 2007년 9월 28일, 대선을 앞두고 [[대통합민주신당]]에서 탈당한 [[김선미(정치인)|김선미]] 의원이 '참주인연합'을 만들어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기호 7번으로 [[정근모]] 전 과학기술처 장관[* 2018년에 기록이 갱신될 때까지 무려 대한민국 최연소 박사(만 23세 5개월)의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을 내보냈다. [[정근모]] 후보는 대선 하루 전에 [[이회창]] 후보 지지를 선언하였으나 후보 사퇴는 하지 않고 0.1%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이후 당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다. === 이삭줍기 시도 === 그러다 2008년 3월 13일, 당명을 '''미래한국당'''(未來韓國黨)[* 2020년에 창당한 [[미래한국당]]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으로 개칭한다. 그리고 [[한나라당]] 탈당파 당협위원장들을 모셔오기 시작한다.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190995|당시 한나라당 남양주시 을 당협위원장의 입당 기사]] 총선을 앞두고 공천에 떨어진 사람들을 데려다가 당의 재기를 노린 것이다.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이나 2020년의 [[한국경제당]] 등 군소 정당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다. 특히 당대표는 공석으로 놔두었는데, [[박근혜]]까지 탈당할 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 보수세력의 점령 === 예상대로 [[제17대 대통령 선거|1년 전 치러진 대선]]에서 [[이명박]]이 당선되자, [[한나라당]]의 주도권은 [[친이]]계가 휘어잡았고 공천권도 친이계가 휘둘렀다. 그런데 2007년 대선은 사실상 한나라당의 승리가 확실시 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인지, 대선 본선보다도 한나라당의 대선 후보 경선이 훨씬 격렬하고 살벌했다. 그래서 이명박 캠프와 박근혜 캠프는 당시 다시는 안 볼 사이처럼 서로를 지독하게 물고 뜯었고 그로 인하여 감정의 골도 무척 깊어져 버렸다. 그로 인하여 [[김덕룡]], [[김무성]], [[서청원]], [[홍사덕]] 등의 구 [[상도동계]], [[친박]]계 다선 의원들이 줄줄이 공천에서 잘렸다. 애초에 친이계의 손을 들어준 김덕룡은 이에 승복했지만, 친박계였던 김무성, 서청원, 홍사덕 등은 승복하지 않고 이를 공천보복으로 규정했다. 그렇게 [[18대 총선]](2008년 4월)을 앞두고 당의 상황은 요상하게 흘러간다. 이들은 공천에 불복해 탈당한 후 신당을 만들어 선거에 나서려 했으나, 창당 절차를 밟을 시간적 여유가 없자 '''[[테라포밍#s-7.1|미래한국당에 집단으로 입당하기 시작한다.]]'''[* 김무성은 친박연대에 입당하지는 않고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며 [[이경재(1941)|이경재]], [[이해봉]], [[유기준(1959)|유기준]] 등과 함께 벽보에 '[[친박 무소속 연대]]'를 내세웠다.] 거기에 [[함승희]], [[강인섭]], [[조영재(1942)|조영재]] 전 의원과 [[김종호(1935)|김종호]] 전 국회부의장도 입당하였다. 이들은 [[박근혜]]와의 관계성을 강조하기 위해 동년 3월 21일 단 8일 만에[* '미래한국당'으로의 역사만 따지면 대한민국 최단명 정당인 [[제3신당]]과 맞먹는 셈이다.] 노골적으로 '''[[친박연대]]'''(親朴連帶, Pro-Park Alliance)로 바꾸었다. 친박연대라는 이름은 [[서청원]] 의원의 아이디어.[* 원래 생각했던 당명은 '미래친박연대'였는데 선관위가 [[미친년|줄임말 문제]]로 '미래'를 빼는 게 좋겠다고 해 친박연대로 당명이 정해졌다고 한다.] 이로써 참주인연합 시절과는 완전히 다른 정당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참주인연합의 원 당직자들은 친박계와 연합하여 당의 부채를 상환하고 공천에도 관여하려 했으나, 산전수전 다 겪은 [[서청원]], [[이규택]] 등에게 휘둘려 빚만 갚고 공천엔 관여하지 못했다는(...) 후문이 있다. 대선 후보였던 정근모 전 장관과 이 당을 애초에 만들었던 김선미 의원은 대선에서 패하고서 얼마 못가서 탈당했으며, 김선미 전 의원은 다시 민주당으로 복당하였고 제 6회 지방선거에서 안성시장에 출마해 낙선하였다.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친박연대 비례대표 후보자들.jpg|width=100%]]}}}|| || {{{#fff [[면목역|{{{#fff 면목역}}}]]에서 총선 승리를 다짐하는 친박연대 비례대표 후보자들}}}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지역과 [[부산광역시]] [[연제구]]를 비롯한 6개 지역에서 당선되었으며, 심지어 수도권에서도 '''[[안산시 상록구 을]] 한 곳'''[* 당시 여야 모두 공천파동으로 표가 거하게 갈려 당선되었다.]을 얻었다. 비례 8석을 포함해 총 14석.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친박 무소속 연대 성윤환.jpg|width=100%]]}}} || || {{{#fff 친박연대 [[홍사덕]] 후보와 친박 무소속 연대 [[성윤환]] 후보의 합동 기자회견}}} || 이 외에도 [[친박 무소속 연대]] 후보들과 함께 공동행동에 나서기도 했다. 친박 무소속 연대 역시 16명 출마, 12명 당선의 상당한 성과를 냈다. 합치면 지역구 18명, 전국구 8명으로 [[교섭단체]]까지 가능한 숫자.[* 물론 조속한 복당이 목적이었기에 교섭단체가 구성되진 않았다.] 지역구 당선자수(6명)보다 비례대표 당선자수(8명)가 더 많았다.[* 정당득표율이 무려 13%, 확보 의석이 8석으로 '''제3당'''이었다. (이회창과 충청 민심을 마케팅 전략으로 충청권 지역구 24석 중 14석, 6.8% 정당득표와 비례대표 4석을 확보한) 전체 제3당 자유선진당의 두 배.] 박근혜라는 이름값만으로 이 정도의 성과를 거둔 것이다. 하지만 현역 의원이던 수도권의 [[이규택]], 부산의 [[엄호성]] 의원은 낙선하였다.[* [[19대 총선]]의 경우 [[국민생각]], [[정통민주당]] 등 주요 양당 공천에 떨어진 인사들이 설립한 정당들은 의석수 배출은커녕 비례대표 득표율 2%도 달성하지 못하여 정당등록이 취소되었다. 그나마 선전한 것으로 평가받는 [[통합진보당]]의 의석수가 13석인데, [[민주통합당]]과의 야권연대로 가능했던 것이다. 또한 지역 기반이 있는 [[자유선진당]]도 겨우 5석을 확보하는데 그쳤다. 수도권 낙선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이 시기에는 역대급 흑역사가 일어났는데, 경주에서 당선된 [[김일윤]] 의원은 불법적으로 돈을 뿌린 것이 걸려서 4월 21일에 제명되었다. 또한 선거법을 위반한 수도권 당선자인 [[홍장표(정치인)|홍장표]] 의원 역시 의원직을 잃었다. 압권은 '''[[매관매직|비례대표 순번을 공천헌금을 받고 팔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돈을 준 [[양정례]] 의원(비례 1번/ 17억), [[김노식]] 의원(비례 3번/15억 1000만원)과 공천헌금을 받은 [[서청원]] 대표(비례 2번)이 의원직을 상실했다. 이 때 공직선거법 제200조 2항의 비례대표 승계 제한 규정 때문에 3석이 공석으로 처리되었으나 2009년 10월 29일 선거범죄로 인한 당선무효시 비례대표 승계를 제한하는 규정이 위헌으로 판결되면서 곧바로 3석이 승계되었다. 2008년, [[강재섭]] 당시 한나라당 대표는 탈당 인사들의 복당을 불허한다는 방침이었으나, 이명박과 박근혜의 회동을 거쳐 복당 불허 방침을 철회했다. 그 결과 지역구 의원 5명을 포함한 인사들이 모두 한나라당으로 복당했다.[* 비례대표 의원들은 탈당하면 의원직이 상실되는 특성상 계속 잔류하였고, 미래희망연대가 한나라당과 통합하면서 들어온다.] ==== 후보 ==== || 지역구 || 이름 || 당시 경력 || 비고 || || 서울 중 || 오형석 || 중구 지역발전 포럼 대표 || || || 서울 광진 을 || [[전지명]] || 친박연대 상근 부대변인 || || || 서울 동대문 갑 || 김정석 || 전 동대문구의원 || || || 서울 중랑 갑 || 김철기 || 친박연대 사무총장 || || || 서울 노원 갑 || [[함승희]] || 전 국회의원[* 16대] || || || 서울 은평 갑 || [[강인섭]] || 전 국회의원[* 14,16대] || || || 서울 은평 을 || --장재완-- || 한국청년기업협회 회장 || 사퇴 || || 서울 마포 을 || 서준영 || 친박연대 수석 부대변인 || || || 서울 구로 갑 || 유영철 || 공인회계사회 윤리조사심의위원장 || || || 서울 구로 을 || [[조평열]] || 국가발전국민연대 공동대표 || || || 서울 영등포 갑 || [[한경남]] || 국민희망운동 상임의장 || || || 서울 동작 갑 || [[손상윤]] || 뉴스타운 인터넷신문 대표이사 || || || 부산 해운대,기장 을 || 김세현 || 친박연대 수석부대변인 || || || 부산 사하 갑 || [[엄호성]] || 현 국회의원[* 16,17대] || || || 부산 사하 을 || [[배진탁]] || 친박연대 직능총괄 본부장 || || || 부산 연제 || [[박대해]] || 전 연제구청장 || '''당선''' || || 부산 사상 || [[강주만]] || 전 부산시의원 || || || 대구 서 || [[홍사덕]] || 전 국회의원[* 11,12,14,15,16대] || '''당선''' || || 대구 북 갑 || 박영민 || 친박연대 선대위 부위원장 || || || 대구 달서 갑 || [[박종근(1937)|박종근]] || 현 국회의원[* 15,16,17대] || '''당선''' || || 대구 달서 병 || [[조원진]] || 세계한인무역협회 북경회장 || '''당선'''[* 이후 19, 20대 총선 당선.] || || 대전 서 갑 || [[이영규]] || 전 대전광역시 정무부시장 || || || 대전 서 을 || 서종환 || 대한 소프트볼협회장 || || || 대전 유성 || [[조영재(1942)|조영재]] || 전 국회의원[* 15대] || || || 울산 남 갑 || --[[이수만(1942)|이수만]]-- || 전 울산시의원 || 사퇴 || || 울산 동 || [[박정주(정치인)|박정주]] || 전 울산시청 서기관 || || || 울산 북 || 최윤주 || 북울산포럼 이사장 || || || 경기 수원 권선 || 이상진 || 전 수원시의원 || || || 경기 성남 수정 || [[박용승]] || 전 성남시의원 || || || 경기 성남 중원 || [[김기평]] || 전 자민련 성남시 중원구 지구당위원장 || || || 경기 안양 동안 갑 || 박원용 || 전 동안구청장(관선) || || || 경기 부천 원미 을 || 박성희 || 부천시 여성단체 협의회장 || || || 경기 안산 상록 을 || [[홍장표(정치인)|홍장표]] || 전 안산시의원 || '''당선''' || || 경기 안산 단원 을 || --[[송진섭]]-- || 전 안산시장 || 사퇴 || || 경기 고양 일산동 || 김형진 || 전 외교통상부 통상전문관 || || || 경기 남양주 갑 || [[박상대]] || 전 박근혜 의원 경기도 특보 || || || 경기 남양주 을 || 조현근 || 한국대학생활체육연맹회장 || || || 경기 화성 갑 || [[박윤구]] || 전 경기도의원 || || || 경기 하남 || 박영길 || 전 경기도의원 || || || 경기 이천,여주 || [[이규택]] || 현 국회의원[* 14,15,16,17대] || || || 경기 용인 처인 || [[이우현(1957)|이우현]] || 전 용인시의회 의장 || [* 이후 19, 20대 총선 당선. 그러나 20대 임기 도중 비리로 인해 낙마.] || || 경기 용인 기흥 || 민학기 || 전 수원지방법원 판사 || || || 충북 청주 흥덕 을 || [[김준환(1957)|김준환]] || 전 박근혜 대선경선후보 충북선대위 총괄본부장 || || || 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 || [[김종호(1935)|김종호]] || 전 국회의원[* 11, 12, 13, 14, 15, 16대.] || || || 충남 논산,계룡,금산 || [[심정수(정치인)]] || 전 충남도의원 || || || 경북 경주 || [[김일윤]] || 전 국회의원[* 12,13,15,16대] || '''당선''' || || 경북 안동 || [[장대진]] || 전 경북도의원 || || || 경북 영양,영덕,봉화,울진 || [[이귀영]] || 미연방공인건축사 || || || 경남 김해 갑 || [[허점도]] || 김해시 장애인 총연합회 회장 || || || 경남 밀양,창녕 || [[김종상]] || 친박연대 중앙 정책부의장 || [* [[친박 무소속 연대]] 후보가 있는데도 출마했다.] || || 경남 의령,함안,합천 || 박희원 || 전 한나라당 중앙위원 || || || 경남 산청,함양,거창 || [[양동인]] || 전 경남 거창경찰서장 || [* 이후 거창군수 역임.] || || 제주 제주 을 || 김창업 || 제주발전포럼 이사장 || || === 당명 변경 === 2010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박근혜|다른 당에 있는 특정 개인]]의 이름을 딴 정당이란 엽기적인 상황을 벗어나고자[* 친박연대라는 이름은 총선을 앞두고 인지도를 일거에 높이는 극약 처방으로서는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욕은 많이 먹었지만... 그 후 친박연대라는 이름은 이미 그 역할을 충분히 했으니 해괴한 당명을 더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어 --좀 정상적인-- 당명으로 변경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새 당명을 시민공모하기로 했는데 이름들이 참 [[http://www.newdaily.co.kr/mobile/mnewdaily/article.php?contid=2010012500038|근사하당(...)]][* 또 새 당명 중에 자유공화당도 있는데 실제로 [[자유공화당]]이라는 정당이 창당되었다.] 오랜 논의 끝에 당명을 '''미래희망연대'''(未來希望連帶, Future Hope Alliance)로 변경했다. 2010년부터 [[서청원]] 당시 공동대표는 한나라당과의 조건 없는 합당을 제안하였다. 이에 지방선거를 준비하던 미래희망연대 의원들은 반발하였고 [[이규택]] 공동대표는 [[자유선진당]]에서 갈라져나온 [[심대평]]의 [[국민중심연합]]과의 합당을 추진했다. [[https://m.khan.co.kr/politics/election/article/201003251822335/amp|#]] 미래희망연대로 개명 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단독후보를 꽤 많이 냈다. 하지만 정작 공식 선거전에 미래희망연대 소속 후보는 한 명도 없었다. 그래서인지 이 당과 이름이 비슷한 [[친박연합]]과 여기서 갈라진 [[미래연합]]이 반사 이익을 봤다.[* 물론 이 둘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몰락했지만...] 여담으로 미래희망[[연세대학교|연대]]라는 표현에 착안해 [[통일연세]]를 잇는 연세대의 새로운 [[FM]](…)이라는 [[개드립]]이 회자된 적도 있었다. === 합당과 소멸 === 당 대표인 서청원은 실형을 선고받고 피선거권을 박탈당했으며, 선거법에 따라 당적까지 상실되어 당 대표임에도 법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따라서 서청원의 최측근인 [[노철래]] 원내대표가 [[이규택]] 대표 탈당 후 당 해산까지 약 2년간 당 대표 대행을 맡았다. 게다가 문제의 공천헌금 사건의 여파로 부여된 증여세 14억원이 문제가 되어 한나라당과 합당 의결까지 다 해놓고 정작 합당을 못 하는 상황이 되었고, 결국 해산까지 미래희망연대는 한나라당의 [[위성정당]] 역할을 하면서 존속했다. [[2012년]] 박근혜가 한나라당의 당권을 잡자, 자연스럽게 한나라당에 흡수 합당되어 2012년 2월 2일에 최종적으로 합당 절차가 마무리되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한나라당은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바꿨다. == 평가 == '''한국 정치의 보스 정치적 측면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정당이라고 할 수 있다.''' [[정책]]과 [[이념]]으로 뭉친 정당이 아니라, 유명 정치가가 이끄는 명망가 정당(名望家政黨, Honoratiorenpartei)의 전형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예 당 이름부터 친박연대로 붙이며 노골적으로 [[박근혜]]의 친위대임을 자처했다는 것에서 더 이상 거론할 것은 없을 듯. 그 당명 때문에 짧은 기간 내에 인지도를 높이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너무 노골적으로 박근혜를 거론하는 바람에 욕을 많이 먹었다. 사실 오늘날도 정계에서 당연하다는 듯이 계파를 인물에 따라 나누는데, (예: 친박계, [[친노계]]-[[친문계]], [[안철수계]]) 사실상 특정 인물의 계파만 있는 정당들도 많이 있어왔지만(예: [[이승만]]의 [[자유당]], [[박정희]]의 [[민주공화당]], [[전두환]]의 [[민주정의당]], [[김영삼]]의 [[통일민주당]][* 단, 통일민주당 자체는 김대중, 김영삼이 함께 창당한 정당이나 후에 김대중이 평화민주당으로 따로 살림을 차려서 김영삼 파벌만 남은 것이긴 하다.], [[김대중]]의 [[평화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 [[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자유민주연합]]) '''그런 정당이 아예 특정 정치인의 이름을 대놓고 당명에 기입한 경우는 전례가 없었다.'''[* 해외에서는 [[호주]]에서 '폴린 핸슨의 일국당'이라고 아예 공식명칭을 붙인 [[일국당]]이라는 사례가 있었다.] 이후 [[친박신당]]이 2020년 창당되었으며, 안철수가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을 재창당 할 당시 '안철수신당'을 당명으로 하려다 반려당한 사례가 등장했다. 이 정당으로 출마해서 떨어진 사람들 중에 추후에 당선된 사람은 [[이우현(1957)|이우현]] 국회의원, [[양동인]] 거창군수가 있다 == 역대 지도부 == [include(틀:미래희망연대 대표)] === 당 대표 === 당의 명칭이 친박연대가 된 이후의 당 대표만 아래에 기재한다. * 초대 공동대표 * [[서청원]](2008.3.19.~2010.3.31.) * [[이규택]](2008.3.19.~2010.3.31.) * 대표권한대행: [[노철래]](2010.3.31.~2012.2.2.) === 원내지도부 === [include(틀:미래희망연대 원내대표)] ==== 원내대표 ==== * [[노철래]] (2008~2012) == 역대 선거 결과 == || '''연도''' || '''선거명''' || '''지역구 (비율)''' || '''비례대표 (득표율)''' || '''총 의석 (비율)''' || '''결과''' || || 2008년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 6 / 245 (2.4%) || 8 / 54 (13.2%)[* 1인 2표제가 도입된 후 [[20대 총선]]에서의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등장 이전까지 거대 양당을 제외한 당 중 최대 득표율이었다.] || 14 / 299 (4.7%) || 원내 4당 || == 유사 당명 == * [[국가재건친박연합]](약칭 친박연합): 박근혜 대통령의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 추종을 표방했던 군소정당이며, 실제로 박정희의 조카인 [[박준홍]]이 대표로 있었다. 나중에 비리로 물러나면서 다른 사람으로 교체되었지만. 원래는 [[고건]] 전 총리를 모시는 차원에서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으로 창당했다가, 이후 선진한국당을 거쳐서 바꾼 것이다. * [[친반통일당]]: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을 지지한다며 창당된 군소정당. 반기문 본인은 연관성을 부인했다. 반기문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뒤에는 국민희망당을 거쳐 경제애국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가 이후 [[한국경제당]]으로 바뀌었다. 유사 정당으로 [[친반평화통일당]][* [[김호일]] 전 의원이 중심이 된 정당인데, 이쪽은 이전에도 신미래당과 [[국민의 힘(정당)]]으로 있었다가 총선에 득표율 미달로 해산된 바 있다.], [[친반국민대통합]][* 본래 이름은 국민행복당이었으며, 총선 이후 환원되었다가 국가부패척결당을 거쳐서 통일민주당으로 변경하였다.] 등이 있었다. * [[개혁친허연대]]: [[허경영]]을 지지하여 창당을 준비했던 조직. [[공화당(2014년)|공화당]]과 합당을 선언하며 소멸되었다가, 이후 [[국가혁명당]]으로 분리된다. * [[친박연대(2017년)]]: 다만 이 정당은 상술한 [[친박연합]]에 더 가까운 정당이다. 실제로 위의 친박연합에 몸담았던 [[이용휘]]를 중심으로 창당하였다. --하지만 로고는 본 문서의 친박연대의 로고를 재사용한다.-- * [[친박신당]]: [[우리공화당(2019년)|우리공화당]] 공동대표[* 참고로 또다른 공동대표인 [[조원진]]은 친박연대에 소속으로 처음 당선되었다.]였던 [[홍문종(정치인)|홍문종]]이 내부 갈등으로 탈당한 뒤 창당한 정당. * 그밖에 친박연대가 생겼을 당시 [[김무성]][* 나중에는 '탈박(脫朴)'하여 [[비박]]이 되고 결국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까지 참여하게 된다.]을 비롯한 친박을 자처했던 인물들이 한나라당을 탈당하였지만 친박연대에 가맹하지 않고 [[무소속]] 상태로 총선에 출마한 경우가 있는데 이들은 "[[친박 무소속 연대]]"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실제로 여기에 해당되는 후보들이 벽보와 공보물 등에 이 문구를 내걸었다.] 단, 이는 선관위 유권해석상 당명이 아닌 단순한 선거전략상 표기로 규정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국민의 정부-참여정부))]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이명박 정부))]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이명박 정부))] [include(틀:제17대 국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제18대 국회의 원내 구성)] [[분류:박근혜]][[분류:대한민국의 보수정당]][[분류:사회보수주의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2007년 정당]][[분류:2012년 해체]][[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