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파일:미래의 러시아 로고.svg|width=200]] || ||<-2> '''미래의 러시아''' || ||<:> '''영어 명칭'''||Russia of the Future || ||<:> '''러시아어 명칭''' ||Россия Будущего|| ||<:> '''창당일''' ||[[2012년]] [[12월 15일]] ,,(인민동맹),, || ||<:> '''당명 변경''' ||[[2014년]] [[2월 8일]] ,,(러시아 진보당),,[br][[2018년]] [[5월 19일]] ,,('''미래의 러시아'''),, || ||<:> '''이념''' ||[[자유주의]] ([[러시아의 자유주의|러시아]]) [[국민자유주의]] [[시민국민주의]] [[대중주의]] [[친유럽주의]] || ||<:> '''스펙트럼''' ||[[중도주의|중도]] [[빅 텐트]] ([[중도좌파]] ~ [[중도우파]]) || ||<:> '''대표''' ||[[알렉세이 나발니]] || || '''대표 권한대행''' ||레오니드 미하일로비치 볼코프 || ||<:> '''연방평의회(상원)[* 공식적으로는 전원 무소속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d 0%, transparent 0%)" {{{#fff '''0석 / 170석 (0%)'''}}}}}} || ||<:> '''국가두마(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0c0e8 0%, transparent 0%)" {{{#fff '''0석 / 450석 (0%)'''}}}}}} || ||<:> '''시장 및 주지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0c0e8 0%, transparent 0%)" {{{#fff '''0석 / 85석 (0%)'''}}}}}} || ||<:> '''지방의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0c0e8 0%, transparent0%)" {{{#fff '''0석 / 3,980석 (0%)'''}}}}}} || ||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50C0E8;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라이트 블루 {{{-2 (#50C0E8)}}}}}}}}} || ||<:> '''당원 수''' ||약 100,000명 ,,(2020년 기준),, || ||<:> '''홈페이지''' ||[[https://partyprogress.org/| [[파일:미래의 러시아 로고.sv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반 [[블라디미르 푸틴]], 반 [[통합 러시아]] 성향의 정당. 반푸틴 성향인지라 [[러시아 정부]]의 탄압을 받고 있으며 러시아 법무부가 아직까지도 이 당을 승인하지 않고 있어서 공식적으로 [[국가두마]] 선거에 참여할 수 없는 법외정당이다. == 주요 정책 == 러시아의 메이저 민주화 운동가인 [[알렉세이 나발니]]의 정당답게 반부패, [[민주주의]] 실현을 주요 정책으로 삼고 있다. 또한 외교적으로 [[반서방]]을 표방하는 다른 정당들과 달리 친서방 정책을 추구한다. * [[삼권분립]] * [[러시아 대통령|대통령]] 권력 대폭 축소 * 정부 관료 수 축소[* 러시아 공무원들이 지나칠 정도로 많은 데 비해 효율성이 낮고 공무원들이 저지르는 부정부패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 [[법치주의]] 하의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개혁[* 기고문에서 발트 3국 예를 들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476138?sid=104|#]]] * [[검열]] 축소, 정부의 언론 통제 및 여론조작 금지 * [[사법부]] 독립 *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비자 도입 * [[친서방]] 외교 도입, 불량 국가들과의 교류 중단 * [[징병제/러시아|징병제]] 폐지 == 역사 == [[2012년]] [[12월 15일]] 지지자들이 만든 정당 가입을 거부하던 민주화 운동가인 [[알렉세이 나발니]], [[https://en.wikipedia.org/wiki/Leonid_Volkov_(politician)|레오니트 볼코프]]가 창당했다. 나발니는 [[2013년]] [[모스크바]] 시장 선거, [[2014년]] 러시아 총선에 이 당 소속으로 출마하겠다고 선언했지만 [[2013년]] 6월 법무부가 당명 유사를 이유로 등록을 거부했다. 나발니는 모스크바 시장 선거에는 동맹 정당인 [[인민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했고 총선 출마는 거부되었다. 진보당, 미래의 러시아로 개칭한 이후에도 각종 이유로 창당이 승인되지 않았고 선거 출마도 전부 거부되었다. == 정치 성향 == 당수인 나발니의 성향에 따라 [[중도좌파]]에 가깝지만, 국민자유주의적 성격과 함께 반 푸틴 성향의 온건보수 인사들도 상당수 포함되어있어 [[중도우파]]로 보기도 한다. 즉 [[빅 텐트|단순히 좌우파로 구분짓기 애매하다]]. [[분류:러시아의 정당]][[분류:2012년 정당]][[분류:자유주의 정당]][[분류:국민자유주의 정당]][[분류:대중주의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