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연구방법론]] == Media Mapping 인포메이션 매핑(Information mapping)의 한 종류로, [[매체]]들의 정보적 상호작용을 [[마인드맵]]처럼 그리는 [[연구방법론]]이다. === 분석하는 정보 형태 === * Procedure * Process * Principle * Concept * Structure * Fact === 분석 원칙 === * 청킹: 정보를 덩어리짓는다. * 연관성: 연관된 것끼리 묶는다. * 꼬리표 붙이기: 개별 사항에 꼬리표를 붙어 어떤 방식으로 분류했는지 알기 쉽게 만들어라. * 일관성: 분석 방식에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 접근성: 이용자가 수월하게 세부사항을 찾을 수 있게 하라. * 시각화: 시각적으로 직관적이게 만들어라. === 대상에 따른 분류 === [[SNS]]에 대한 미디어맵핑을 하는 소셜 미디어 맵(Social Media Mapping)이 있고, 이와 대조되는 것으로 지역 미디어 맵(Local Media Mapping)도 있다. == 뉴스와이어의 서비스 == * [[http://www.mediamap.co.kr|바로가기]] 국내의 언론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http://www.newswire.co.kr|뉴스와이어]]가 서비스하는 국내 미디어 현황 지도. [[2006년]] 12월 18일부터 신동호 전 [[동아일보]] 기자를 대표로 하여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9년 3월 현재 828건의 국내 미디어가 등록되어 있으며, 분야별, 유형별, 지역별로 분류되어 있다. 언론사를 클릭하면 각 분야별 데스크의 전화번호와 팩스, 이메일, 광고문의 전화번호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이나 기업이 언론사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의 영자신문을 종합적으로 검색한다든지 하는 특수한 목적으로 언론사를 싹 모아놓고 서치할 일이 있을 때 활용될 만한 사이트. 종종 국내 학계에서도 [[담론 분석]] 등을 하는 사람들이 찾는다고 한다. [[분류:언론]][[분류:연구방법론]][[분류: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