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LB)] ---- ||<-2>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화이트 로고.svg|width=50%]] ||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width=50%]] || ||<-2> 모자 로고[* 로고의 TC는 '''Twin Cities'''의 약어로,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 두 도시를 의미한다.] || 구단 로고 || ||<-3> '''{{{+1 미네소타 트윈스}}}''' || ||<-3> '''{{{+1 Minnesota Twins}}}''' || || '''창단''' ||<-2>[[1901년]]^^([age(1901-01-01)]주년)^^|| || '''연고지''' ||<-2>[[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 || || '''연고지 변천''' ||<-2>[[워싱턴 D.C.]] (1901~1960) [br]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091f40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 (1961~)'''|| || '''구단명 변천''' ||<-2>워싱턴 세네터스 (Washington Senators, 1901~1904, 1956~1960) [br] 워싱턴 내셔널스 (Washington Nationals, 1905~1955)[* 당시에도 세너터스라고 불렀긴 했으나 구단에서 내셔널스라는 명칭을 밀고 있었으므로 공식 명칭은 내셔널스가 맞다.] [br] '''{{{#091f40 미네소타 트윈스}}} (Minnesota Twins, 1961~)'''|| || '''소속 변천''' ||<-2>'''{{{#091f40 아메리칸 리그}}} (1901~)''' [br] - [[아메리칸 리그/서부 지구|서부 지구]] (1969~1993) [br] '''- [[아메리칸 리그/중부 지구|중부 지구]] (1994~)'''|| || '''홈 구장''' ||<-2>아메리칸 리그 파크 (American League Park, 1901~1903) [br] 내셔널 파크 (National Park, 1904~1910) [br] 그리피스 스타디움 (Griffith Stadium, 1911~1960)[* 1937년부터 [[NFL]] [[워싱턴 레드스킨스]]와 공용] [br]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 (Metropolitan Stadium, 1961~1981)[* [[NFL]] [[미네소타 바이킹스]]와 공용] [br] [[US 뱅크 스타디움#s-1.1|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 (Hubert H. Humphrey Metrodome, 1982~2009)[* [[NFL]] [[미네소타 바이킹스]], 1989~90년까지 [[NBA]]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와 공용] [br] '''[[타깃 필드|{{{#091f40 타깃 필드}}}]] (Target Field, 2010~)'''|| || '''구단주''' ||<-2>짐 폴래드 (Jim Pohlad)[*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에서 한 시대를 풍미한 농구선수 짐 폴러드(Jim Pollard, 1993년 타계)와는 이름만 비슷한 다른 사람이다. 트윈스 오너십을 소유한 폴래드 가문은 Pohlad라는 영문 표기를 쓴다.]|| || '''CEO''' ||<-2>데이브 세인트피터 (Dave St. Peter)|| || '''CBO''' ||<-2>데릭 팔비 (Derek Palvey)[* 야구 운영 부문 수석 책임자이다.]|| || '''단장''' ||<-2>새드 러빈 (Thad Levine) || || '''감독''' ||<-2>[[로코 발델리]] (Rocco Baldelli)|| || '''역대 한국인 메이저 선수''' ||<-2>[[박병호]] (2016) || || '''역대 한국인 마이너 선수''' ||<-2>[[장재형]] (2008~2010) [br] [[최현욱(야구선수)|최현욱]] (2008~2010) [br] [[최형록(야구선수)|최형록]] (2008~2011) [br] [[강인균]] (2009~2010) [br] [[박병호]] (2016~2017) || || '''역대 한국계 메이저 선수''' ||<-2>[[롭 레프스나이더]][* (Rob Refsnyder). 한국계 미국인. 한국식 이름은 김정태.] (2021) || || '''역대 한국계 마이너 선수''' ||<-2>[[롭 레프스나이더]] (2021) || || '''로컬 경기 중계''' ||<-2>[[Bally Sports|Bally Sports North]]|| || '''약칭''' ||<-2>'''{{{#e31e34 {{{+1 MIN}}}}}}'''|| ||<-3> [[http://mlb.com/twins|[[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Twi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wins, 크기=25)] | [[https://www.instagram.com/twi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com/c/Twi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3> '''우승 기록''' || || '''[[월드 시리즈|{{{#ffffff 월드 시리즈}}}]]'''[br](3회) ||<-2>'''[[1924년 월드 시리즈|1924]]''', '''[[1987년 월드 시리즈|1987]]''', '''[[1991년 월드 시리즈|1991]]'''|| || '''[[아메리칸 리그|{{{#ffffff 아메리칸 리그}}}]]'''[br](6회) ||<-2>1924, 1925, 1933, 1965, [[1987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87]], [[1991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91]]|| || '''지구'''[br](13회) ||<-2>1969, 1970, 1987, 1991, 2002, 2003, 2004, 2006, 2009, 2010, 2019, 2020, 2023|| || '''와일드카드'''[br](1회) ||<-2>2017|| ||<-3> '''포스트시즌 진출'''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월드 시리즈|{{{#ffffff 월드 시리즈}}}]]''' ||<-2>'''[[1924년 월드 시리즈|1924년]]''', [[1925년 월드 시리즈|1925년]], [[1933년 월드 시리즈|1933년]], [[1965년 월드 시리즈|1965년]], '''[[1987년 월드 시리즈|1987년]]''', '''[[1991년 월드 시리즈|1991년]]''' || || '''[[챔피언십 시리즈|{{{#ffffff 챔피언십 시리즈}}}]]''' ||<-2>[[1969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69년]], [[1970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70년]], '''[[1987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87년]]''', '''[[1991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1991년]]''', [[2002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02년]] || || '''[[디비전 시리즈|{{{#ffffff 디비전 시리즈}}}]]''' ||<-2>'''[[2002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02년]]''', [[2003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03년]], [[2004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04년]], [[2006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06년]], [[2009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09년]], [[2010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0년]], [[2019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9년]], [[2023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23년]] || || '''[[와일드카드 시리즈|{{{#ffffff 와일드카드 시리즈(게임)}}}]]''' ||<-2>[[2017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2017년]], [[2020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2020년]], '''[[2023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2023년]]''' || }}}}}}}}}}}} || ||<-3> '''팀 컬러 / 유니폼'''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ffffff 팀 컬러}}}''' || ||<-4> {{{+5 {{{#091f40 ■}}}}}} {{{+5 {{{#e31e34 ■}}}}}} {{{+5 □}}} || ||<-4> '''{{{#ffffff 유니폼}}}''' || || [[파일:미네소타뉴유니폼.jpg|width=100%]] || }}}}}}}}}}}} || ||<-3> '''[[월드 시리즈|{{{#ffffff 월드 시리즈 우승 연혁}}}]]'''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1924년 월드 시리즈|{{{#ffffff 1924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 || 1923[br][[뉴욕 양키스]] || → || '''워싱턴 세네터스''' || → || 1925[br][[피츠버그 파이리츠]] || ||<-5> '''[[1987년 월드 시리즈|{{{#ffffff 1987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 || 1986[br][[뉴욕 메츠]] || → || '''미네소타 트윈스''' || → || 1988[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5> '''[[1991년 월드 시리즈|{{{#ffffff 1991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 || 1990[br][[신시내티 레즈]] || → || '''미네소타 트윈스''' || → || 1992[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 ||<-3> '''프랜차이즈 팀 기록''' || || '''최고 승률''' ||<-2>'''.651''' - (1933년 153경기 99승 53패)|| || '''최다 승''' ||<-2>'''102승''' - (1965년 162경기 102승 60패)|| || '''최다 패''' ||<-2>'''113패''' - (1904년 157경기 38승 113패 6무)|| || '''최다 관중''' ||<-2>'''3,223,640명''' - 2010년|| || '''최고 계약''' ||<-2>'''$200,000,000''' - 2023년 [[카를로스 코레아]]|| [목차] == 개요 == |[[파일:min_alternate.png|width=300]]| 미네소타 트윈스의 얼트 로고.[* 유니폼 소매 패치와 구장 외야 좌측 관중석 뒤에도 붙어있다. 구단 명칭의 기원이 [[쌍둥이 도시]]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에서 유래했음을 알 수 있다.] || [[MLB]]의 [[아메리칸 리그/중부 지구]] 소속 프로[[야구]]단. 연고지는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 팀명인 트윈스는 미니애폴리스와 세인트 폴이 합쳐진 [[쌍둥이 도시]]라는 것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이다. T와 C를 겹쳐서 만든 캡 로고 역시 Twin Cities를 뜻한다. 팀명의 변천사가 다소 특이하다. 1901년 '[[워싱턴 세네터스]]'로 창단했는데, '워싱턴 내셔널스'와 혼용하여 사용했다.[* 1905년 구단에서는 1800년대 후반 야구초창기의 연고팀명 중 하나였던 Nationals로 팀명을 바꿨는데, 팬들이 인정하지 않았다.[[https://www.baseball-reference.com/teams/MIN/|출처]] 로고와 유니폼에도 Washington, W라고만 쓰면서 팬도 미디어도 수십년동안 두 이름을 혼용하였다고 한다. 1956년부터는 다시 세네터스로 돌아왔다. 상원위원도 없는데 왜 세네터스를 써야 하냐는 말이 우세한 2000년대에서 보면 이해가 되지 않을 일이다.] 하지만 지금의 [[워싱턴 내셔널스|해당 이름 팀]]과는 역사적으로 전혀 무관. 그러다 1961년 연고지를 옮기면서 현재의 '미네소타 트윈스'가 되었는데, 워싱턴에 [[텍사스 레인저스|새로 창단된 팀]]이 세네터스란 이름을 그대로 가져가서 썼다. 하지만 역시나 미네소타 트윈스의 역사와는 무관. 미네소타로 옮긴 이후 성적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기복이 있지만 우승 경력도 있고 잘할 때는 잘하는 팀으로, 1990년대 암흑기를 거쳐 2000년대는 지구 최강자였으나 2011년부터 다시 급격히 몰락했는데 2010년대 후반 다시 치고올라오고 있다. 이후에는 중부 지구내 꼴지를 기록하기도 하고, 계속 매 시즌마다 다양한 성적을 기록하는 중이다. 물론 지속적으로 [[포스트시즌]]에서 물먹는 거는 어쩔 수 없는 노릇이지만.... 우승한지 오래되었고, 물도 자주 먹는데다 성적이 들쭉날쭉한 점에서 [[LG트윈스|한국의 쌍둥이 팀]]과 비슷한 느낌도 있다. 메이저 리그 30개 구단 중 제일 추운 지역에 위치해 있다.[* 겨울에 쌓인 눈 때문에 [[메트로돔|돔구장]] 지붕이 빵꾸난 적도 있다.] == [[미네소타 트윈스/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네소타 트윈스/역사)] == 이모저모 == === 라이벌리 === [[NFL]]의 [[그린베이 패커스]]-[[미네소타 바이킹스]], [[FBS]]의 [[위스콘신 대학교|위스콘신 배저스]]-[[미네소타 대학교|미네소타 골든고퍼스]] 라이벌리 등을 비롯해 프로와 아마를 가리지 않고 미네소타 주 팀들은 아이오와 주나 위스콘신 주 팀들과 사이가 [[영 좋지 않은]]데, 메이저리그에도 이 라이벌리가 존재했다. 바로 아메리칸리그 시절의 [[위스콘신]] 주 유일의 야구팀 [[밀워키 브루어스]]. 이 라이벌리는 밀워키 브루어스의 내셔널리그 편입으로 사장될 위기에 처했지만, 요즘 두 팀은 [[인터리그]]에서 뻔질나게 만나는 관계가 되었다. 지구가 다르다보니 필요할 땐 트레이드도 하는등 그냥저냥 서로 서먹서먹한 이웃 취급. 그 외에는 같은 지구에 있는 팀들과 라이벌리가 형성되었는데, 특히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사이가 안 좋은 편이다. [[A.J. 피어진스키]]의 경우 마우어의 자리를 마련하고 좋은 유망주들까지 안겨주고 팔려간 심청이로 칭송받았지만 1년만에 삭스로 옮긴 뒤에는 흑화하며 트윈스 팬들에게는 애증의 시선을 받았다. [[뉴욕 양키스]]에게 '''매우 안 좋은''' 감정이 있는데, 포스트시즌에 올라가서 뉴욕 양키스만 만나면 털리기 바쁘다. 정규시즌 때는 오히려 미네소타가 압도하는 경우가 많았음에도. 정작 양키스는 같은 지구 보스턴 레드삭스라는 철천지 원수와 다투느라 미네소타가 안중에 없다. 그냥 탈락도 아니고 한 판도 못 이기고 스윕당하기 일쑤라 2019년 ALDS까지 무려 '''13연패'''에 달하는 흑역사를 쓰고 있다. 여담으로 1920년부터 1964년까지 이어진 양키스의 45년 독재가 끝나는 타이밍에[* 바로 전년도에 아메리칸 리그를 우승했는데 1965년에 6위, 1966년에 꼴지를 하는 등 폭망하기 시작했다.] 미네소타가 1965년 AL 우승을 차지하는 경사가 있었다.[* 다만 양키스를 밀어냈다기 보다는 그냥 양키스가 크게 쇠퇴한 타이밍이었고, 더군다나 그해 월드 시리즈는 다저스에게 패배해 준우승에 그쳤다. 무려 22년을 더 기다려서 1987년에 미네소타 연고로 드디어 첫 WS 우승의 감격을 맛봤으나, 양키스는 그 전에 두 번을 더 우승했다.] === 홈 구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타깃 필드)] === 영구결번 === [include(틀:미네소타 트윈스 영구결번)] '''3. [[하먼 킬러브루]](Harmon Killebrew)''': 워싱턴-미네소타를 잇는 강타자.[* 1954년부터 1960년까지는 워싱턴에 팀이 있었고, 1961년부터 미네소타로 연고지를 옮겼다.] 지독한 투고타저의 시대였던 1960년대 미네소타 트윈스의 중심타자로서 커리어 통산 6번의 홈런왕과 타점왕 4회, 최다볼넷 1위 4회라는 대단한 기록을 작성했으며, 올타임 홈런 랭킹에서 573홈런으로 역대 11위에 올라있다. 1954년부터 1974년까지 뛰었고, 1975년에 [[캔자스시티 로열스]]에서 은퇴했으니, 사실상 원 클럽맨. 당연히 명예의 전당 헌액자. 2011년에 타계하여 2011년 유니폼에 그를 기리는 3번을 패치로 달았다. MLB 로고의 주인공으로도 알려져 있다.[* [[NBA]]의 로고 주인공이 [[제리 웨스트]]라는 것은 확실하나 이것은 딱히 정해진 모델은 없다고도 한다.[[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10&g_serial=367624|#]]] '''6. [[토니 올리바]](Tony Oliva)''': [[쿠바]] 출신으로 1970년대 미네소타의 프랜차이즈 플레이어이자 원클럽맨. 미네소타에서만 15년 뛰며 8번 올스타에 뽑혔다. 투표를 통해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는 것은 실패하였지만, 그가 투표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지 않은 것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다. 결국 2022년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7. [[조 마우어]](Joe Mauer)''': 미네소타 출신에 미네소타 트윈스 진성팬이자 1라운드 유망주 출신의 프랜차이즈 스타. 팀에 대한 애정과 헌신, 꾸준했던 실력으로 15시즌을 미네소타에서만 뛴 선수. 미네소타 트윈스 영구결번 선수 중에서는 역대 최연소다. '''10. [[톰 켈리]](Tom Kelly)''': 선수로서는 딱 한 시즌 메이저리그를 밟았지만, 감독으로서 16년간 미네소타의 감독으로 재직하며 두 차례 월드시리즈 우승을 이끈 인물이다. '''14. [[켄트 허벡]](Kent Hrbek)''': 미네소타 원클럽맨으로 1980년대 활약하며 두 차례 팀의 월드시리즈 우승 당시 주전 1루수다. '''28. [[버트 블라일레븐]](Bert Blyleven)''': 미네소타 암흑기 에이스. 덕분에 커리어 통산 300승을 못하고 승률도 5할 조금 넘는 지경(287-250 ERA 3.31)이라 명예의 전당 입성에 무려 14년이 걸렸지만 2011년에 입성. 통산 3701 탈삼진을 기록해 은퇴 당시 탈삼진 순위 3위였던 선수. [[네덜란드]] 태생으로도 유명하다. 여담으로 2007년 [[요한 산타나]]와 완봉 내기를 했다가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것이 실제로 일어나는 바람에]] 방송에서 삭발 장면을 인증했다. [[http://www.youtube.com/watch?v=1wSM4TqK8XY|#]] '''29. [[로드 커류]](Rod Carew)''': 미네소타와 [[LA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에서 모두 영구결번된 선수다. 2루수로 두 팀에서 뛰면서 3000안타를 돌파하고,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우승 반지 빼고 선수로서 탈 수 있는 모든 것은 타 탔던 스타플레이어다. '''34. [[커비 퍼켓]](Kirby Puckett)''': 미네소타 최고의 인기 플레이어. 외야수로서 맹활약하며 팀의 두 차례 월드시리즈 우승의 1등 공신이다. 아쉽게도 [[녹내장]]으로 인한 시력 이상으로 서른 다섯에 조기 은퇴했고, 은퇴 후 못다 한 선수 생활에 대한 미련 때문인지 방황하다가 2006년 뇌졸중으로 급사했다. '''36. [[짐 카트]](Jim Kaat)''': 미네소타 트윈스의 전신인 [[워싱턴 세네터스]]와 뒤를 이은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1959~1973년의 기간에 활약한 투수이다. 통산 283승 237패, 3.45의 평균자책점 및 2461개의 탈삼진, 그리고 '''16년 연속 골든글러브'''(1962-77)[* [[그렉 매덕스]]가 18회로 깨기 전까지 16회 동률의 [[브룩스 로빈슨]]과 함께 단일 선수로서는 MLB 최다 골글 수상 기록이었다.] 기록을 남겼다. 명예의 전당에는 기자의 투표로 입성하지 못하고, 2022년에 명예의 전당 위원회 중 '황금시대(1950~1960년대에 해당하는 시기)' 위원회에 속한 위원 16명 중 75%인 12명의 지지를 받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은퇴 후에는 명해설자로 왕성한 활동을 했다. 42. [[재키 로빈슨]](Jackie Robinson): 전 구단 영구결번. ==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 === 트리플 A === [include(틀:세인트 폴 세인츠/로스터)] ||||<:> [[파일:세인트 폴 세인츠 엠블럼.svg|width=250]] || ||||<#000000> {{{#ffffff 세인트 폴 세인츠 }}} || ||||<#125681> {{{#ffffff St. Paul Saints }}} || || 창단 || 1993년 || || 계약년도 || 2021년 || || 소속리그/지구 ||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s-4.5.1|인터내셔널 리그]] 서부지구 || || 연고지 || [[파일:미네소타 주기.svg|width=25]] [[미네소타|미네소타 주]] [[파일:세인트 폴 시기.svg|width=25]] [[세인트 폴]] || || 홈 구장 || CHS Field || || 감독 || 토비 가든하이어 || || 타격코치 || [[네이트 스피어스]] || || 투수코치 || 시브니 벨로, 피트 라슨 || || 수비코치 || 타일러 스마슬록 || === 더블 A === ||||<:> [[파일:위치타 윈드 서지 엠블럼.svg|width=250]] || |||| {{{#fcb320 위치타 윈드 서지 }}} || |||| {{{#fcb320 Wichita Wind Surge }}} || || 창단 || 2020년 || || 계약년도 || 2021년 || || 소속리그/지구 || 텍사스 리그 북부지구 || || 연고지 || [[캔자스]] 주 [[위치타]] || || 홈 구장 || 리버 프론트 스타디움 || || 감독 || 라몬 보레고 || || 벤치코치 || 미요시 다카하시 || || 타격코치 || 숀 셸스터 || || 투수코치 || D.J. 엔젤, 댄 우비나 || === 싱글 A === ==== 하이 싱글 A ==== |||| [[파일:시더 래피드 커널스 엠블럼.svg|width=230]] || ||||<#00004d> {{{#ffffff 시더 래피드 커널스 }}} || ||||<#2E8B57> {{{#ffff00 Cedar Rapids Kernels }}} || || 창단 || 1890년 || || 계약년도 || 2013년 || || 소속리그/지구 || 미드웨스트 리그 서부지구 || || 연고지 || [[아이오와]] 주 시더 래피드 || || 홈 구장 || 베테랑스 메모리얼 스타디움 || || 감독 || [[브라이언 딘켈맨]] || || 타격코치 || 코빈 데이, 예이슨 페레즈 || || 투수코치 || 카를로스 에르난데스, 조나스 로빈 || ==== 로우 싱글 A ==== ||||<:> [[파일:포트 마이어스 마이티 머셀스 엠블럼.svg|width=220]] || ||||<#6756A5> {{{#ffffff 포트 마이어스 마이티 머셀스}}} || ||||<#002B5C> {{{#ffffff Fort Myers Mighty Mussels }}} || || 창단 || 1926년 || || 계약년도 || 1992년 || || 소속리그/지구 || 플로리다 스테이트 리그 남부지구 || || 연고지 || [[플로리다]] 주 포트 마이어스 || || 홈 구장 || 헤이먼드 스타디움 || || 감독 || 브라이언 메이어 || || 타격코치 || 레이덴 시에라 || || 보조타격코치 || 루이스 레예스 || || 투수코치 || 제러드 게이너, 리차드 살라자르 || === 루키 === ||||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width=200]] || ||||<#091f40> {{{#ffffff FCL 트윈스 }}} || ||||<#e31e34> {{{#ffffff Florida Complex League Twins }}} || || 창단 || 1965년 || || 계약년도 || 1965년 || || 소속리그/지구 || 플로리다 컴플렉스 리그 남부지구 || || 연고지 || [[플로리다]] 주 포트 마이어스 || || 홈 구장 || 해먼드 스타디움 || || 감독 || 세스 펠드먼 || || 타격코치 || 에밀리오 게레로, 콜린 맥브라이드, 움베르토 미란다 || || 투수코치 || 아르제니스 안굴로, 안드레스 쥬락, [[캘빈 마두로]], 케빈 로드리게스 || || 발전코치 || 니노 기아란타노, 트리스탄 투리 || ||||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width=200]] || ||||<#091f40> {{{#ffffff DSL 트윈스 }}} || ||||<#e31e34> {{{#ffffff Dominican Summer League Twins }}} || || 창단 || 2001년 || || 계약년도 || 2001년 || || 소속리그/지구 || 도미니카 섬머 리그 남부지구 || || 연고지 || 산토도밍고 주 보카 치카 || || 홈 구장 || 베이스볼 시티 컴플렉스 || || 감독 || 라파엘 마르티네즈 || || 타격코치 || 하이로 로드리게스, 루벤 산타나 || || 투수코치 || 에릭 훌리오 || || 코치 || 지미 알바레즈 || == 40인 로스터 목록 == [include(틀:미네소타 트윈스/로스터)] == 관련 링크 == * [[http://www.baseball-reference.com/teams/MIN/|역대 팀 성적]] [각주] [[분류:미네소타 트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