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조선총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eccd7a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일본 제국 육군대신)] ---- [include(틀:일본군/장성급 장교)] ---- }}} || ---- ||<-2><#06286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eccd7a '''제7대 조선총독''' [br] {{{+1 '''미나미 지로''' }}} '''南次郎 | Minami Jirō'''}}}}}}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미나미지로.jpg|width=100%]]}}} || ||<|2> '''출생''' ||[[1874년]] [[8월 11일]] || ||[[오이타현]] [[분고타카다시]] || ||<|2> '''사망''' ||[[1955년]] [[12월 5일]] (향년 81세) || ||[[도쿄도]] || ||<|2> '''재임기간''' ||제7대 조선총독 || ||[[1936년]] [[8월 5일]] ~ [[1942년]] [[5월 2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육군대학교]] {{{-2 (17기)}}} || || '''직업''' ||군인, 정치가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2> '''군사 경력''' || || '''임관''' ||[[일본육군사관학교]] {{{-2 (6기)}}} || ||<|2> '''복무''' ||[[일본제국 육군]] || ||1895년 ~ 1936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 || '''참전''' ||[[러일전쟁]]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군인]] 장성이자 제7대 [[조선총독]]. 일본 오이타현 출신으로 후임인 제8대 조선총독 [[고이소 구니아키]]와 같이 역대 조선총독들 가운데서도 '''가장 악랄했던 [[데라우치 마사타케]]''' 다음으로 포악한 자로 평가된다. 조선인들에게 [[내선일체]]를 강조하고 [[황국신민서사]]를 제창하게 했으며 지원병 제도로 무고한 조선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기도 했고 [[창씨개명]]과 [[한국어]] 사용 금지 등의 조선 [[민족말살정책]]을 폈다. == 생애 == 일본 [[오이타 현]] 다카다 시에서 태어난 미나미 지로는 1884년 7월에 숙부였던 [[미야자키 요이치]]를 따라 상경하여 [[도쿄시|도쿄]]에서 소학교에 들어갔는데 학업 성적이 우수했기에 바로 고등과로 올라갔다. 1889년에 중학 재학시 품행 불량을 이유로 교장에게 1개월 정학을 받자 여기에 반발하여 [[학교]]를 그만 둔 후 육군유년학교에 들어갔다가 1892년에 [[일본육군사관학교]] 6기로 입학했다. 1903년 일본육군대학 17기로 졸업했고 1904년 [[러일전쟁]]에 참전했으며 러일전쟁 후 소좌로 [[승진]]해 제13사단 [[참모]]로 일한 미나미 지로는 [[기병]] 13연대장을 거쳐 대좌로 승진 후 [[유럽]] 순방을 마치고 1919년에 소장이 되어 지나주둔군 [[사령관]]이 되었다. 1930년 육군대장이 되었고 제2차 와카츠키 [[내각]]에서 육군대신으로 발탁되었을 때 [[만주사변]]이 일어났지만 그는 [[관동군]]의 행동을 사실상 묵인했으며 육군상으로 재임 중일 때 [[부하]]였던 군사과장인 나가다 테츠잔(永田鐵山)이 [[국가]] 총동원령을 제안하기도 했다. 1934년에는 관동군 사령관으로 부임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Minami_Jiro.jpg]] 미나미 지로는 1936년에 제6대 조선총독인 [[우가키 가즈시게]]의 후임으로 제7대 [[조선총독]]에 취임했는데 이후 역대 조선총독 가운데 가장 강경하고 무시무시한 [[통치]]를 일삼았으며 [[조선]]에 황국 신민화 [[정책]]을 실시하고 지원병 제도를 제창하여 무고한 조선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았다.[* 미나미 지로가 제창했던 지원병 제도는 제8대 조선총독인 [[고이소 구니아키]]를 거쳐 [[학병]] 제도로 강화되었다.] 이것도 모자라 [[한국어|조선어]] 사용과 [[한국사|조선사]] 교육을 금지하며 [[일본어]] 사용을 의무화시켰고 1936년 [[일장기 말소사건]]을 구실삼아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를 정간시키기도 했다. 1940년에는 모든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창씨개명]]을 시행하여 이를 거부하는 조선인에게는 온갖 제재를 내리는 방침도 세웠다. 그렇게 미나미 지로가 조선총독으로 재직한 약 6년간 [[내선일체]]를 강조하면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말살시키려는 [[민족말살정책]]을 시행했다. [[파일:미나미 지로.jpg|width=400]] 1942년 조선총독에서 물러난 뒤에는 본국인 일본으로 건너가 추밀원 고문이 되었고 [[귀족원(일본)|귀족원]] 의원, 대일본정치회 [[총재]]를 역임했다. == 전범 재판 및 최후 == 미나미 지로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항복하자 1945년 종전 후 [[연합군]]에 의해서 A급 [[전범]]으로 연합군에 의해 체포되었고 만주사변의 책임자로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1946년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이 때 미나미 지로는 [[나이]]가 고령이였기 때문에 [[건강]]이 매우 좋지 않았고 결국 건강 악화로 1954년에 가석방되었으며 가출소한 뒤 1년이 지난 1955년에 향년 81세의 나이로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 기타 == 미나미 총독 시기에 [[창씨개명]]을 강요당한 [[한국인]] 가운데 미나미 지로를 조롱하기 위해 "내가 총독양반보다 형님이다"라는 의미로 미나미 타로나 미나미 이치로 [* 타로, 이치로는 장남에게, 지로는 차남에게 주로 붙이는 이름이다.]라고 이름을 바꾸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실제로 이 시기 창씨개명을 강요당한 한국인들 중에 일본어 등의 학문을 배운 사람들 또는 지식인들 가운데는 총독이나 일본을 조롱하는 이름 또는 세태를 풍자하는 이름으로 바꿔 소극적으로 항일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일례로 [[신불출]]의 경우도 창씨개명을 강요당했을 때 구로다 규이치(玄田牛一)라 이름을 지었는데 이는 일본어로 ‘[[개새끼|개자식]]’, ‘[[씨발]]’ 등을 뜻하는 [[칙쇼]](畜生)를 파자한 것이다. 당연히 퇴짜맞자 에하라 노하라(江原野原) 라고 이름을 다시 지었는데 이 역시 "에헤라 놓아라" 를 살짝 바꾼 언어유희이다. 또한 전병하라는 농부도 자신의 이름에 농사 농을 붙여서 전농병하(田農炳夏)로 신고하였다. 이걸 일본어로 읽으면 '''덴노헤이카(천황폐하)'''가 된다. (정확히 말하면 천황의 덴노는 '텐'이라 표기하고 전농의 덴노는 '덴'이라 표기하는 차이점이 있긴 하다.)] 한편 종씨께서 보위에 오르셨다며 그에게 인사를 드리겠다며 남원에서 상경한 한 남(南)씨도 있었다 한다. 친일파로 변절한 [[김활란]]이 미나미 지로를 접견하고는 '''남차랑(미나미 지로)총독 각하는 솔직하고 검소한 인품으로 집안의 아저씨'''같다고 평했다. 김활란은 미나미 지로를 겉모습으로만 봐서 평가했지 속으로 보면 미나미 지로는 데라우치 못지않게 냉혹하고 포악한 자였다. 그 전 총독인 [[우가키 가즈시게]]와 [[사이토 마코토]]가 미나미 지로와 [[데라우치 마사타케]]에 비하면 그나마 양반이다. 평가할 정도로 조선에서의 통치가 최악이었단 말이다.[* 옛날 역사책에서 보면 [[김활란]]이 총독부의 압력과 강요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친일을 했다고 변명하지만 실제로 보면 [[김활란]]은 자발적인 친일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압적으로 원하지 않는 친일을 하였다면 소극적으로 해야하거나 아니면 변명거리를 내세워 반민족행위를 하지 말았어야 했다. 저런 말을 할 정도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친일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활란은 김구가 해방 직후 작성 지시한 친일파 살생부에 들어가는 전설적인 친일파다. 이런 자잘한 찬양은 부수적인 것이었고 진짜 무서운 짓은 평범한 조선인들에게 태평양 전쟁에 자원해서 나가라고 선동을 해 온 것이다.] [[부산동부경찰서]] 입구에 이 사람의 휘호를 새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17188&cid=55777&categoryId=56131|부산진매축기념비]]가 남아있다.[* 좀 더 정확하게는 앞면의 '釜山鎭埋築記念碑'만 그의 글씨이다. [[https://blog.naver.com/choi029/221308631231|참고 링크]]] == 대중매체에서 == * 2002년 SBS 대하드라마 <[[야인시대]]> 30화에서는 짱구아빠 목소리를 맡은 성우 [[오세홍]]이 [[후시녹음]]으로 목소리를 연기했다. 역사상으로 가장 무자비한 제도를 강행한 총독의 역할임에도 불구하고 아나운서처럼 또렷하고 근엄해 보이는 목소리다. 그런데 실사 배우의 얼굴이 오세홍과 확실히 다르고, 입모양에서도 [[후시녹음|더빙]] 티가 남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오세홍의 '몇 안 되는 실사 정극 연기'라고 잘못 알려져 있다. * 2006년작 KBS 대하드라마 <[[서울 1945]]>에선 배우 [[문회원]]이 연기했다. * 다음 웹툰 [[경성야상곡]] 후반부에 등장한다. 후반부에 주인공들 새로 부임하는 총독을 암살하기 위해 거사를 계획하는데, 배경이 1936년이라는 것과 계획하면서 나온 사진을 보면 이름이 나오지 않았지만 사실상 확정.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군의 전쟁범죄)] [[분류:한국통감·조선총독]][[분류:일본 제국 육군대신]][[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1874년 출생]][[분류:1955년 사망]][[분류:분고타카다시 출신 인물]][[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일본 제국의 귀족원 의원]][[분류:정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