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의 미그, rd1=미그(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2> {{{#ffffff,#ffffff {{{+4 '''미코얀 - 구레비치'''}}}[br]MiG (Mikoyan i Gurevich)[br]МиГ (Микоян и Гуревич)}}}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Mikojan-Gurjevic_logo.jpg|width=50%]]}}} || || {{{#ffffff '''회사명'''}}} ||미그 사 [br] Russian Aircraft Corporation “MiG” ||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ffffff '''창립일'''}}} ||[[1939년]] [[12월 8일]] || || {{{#ffffff '''설립자'''}}} ||[[아르툠 미코얀]][br][[미하일 구레비치]] || || {{{#ffffff '''본사'''}}} ||[[모스크바]] || || {{{#ffffff '''종업원 수'''}}} ||10,090명 || || {{{#ffffff '''모회사'''}}} ||[[통합항공기제작사|[[파일:external/engineeringrussia.files.wordpress.com/orig1.jpg|width=28]]통합항공기제작사]] || || {{{#ffffff '''홈페이지'''}}} ||[[http://www.migavia.ru/|미그사 공식 사이트]] || [목차] [youtube(AFd6G1rOTOU)] == 개요 == [[러시아]]의 항공기 제작사다. 창업자인 [[아르툠 미코얀|아르툠 호반네시[*아르메니아식 [[미들네임|중간 이름]].]/이바노비치[*러시아식 [[미들네임|중간 이름]].] 미코얀(Артём Иванович ''М''икоян / Արտեմ Հովհաննեսի Միկոյան)]][*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아르메니아계]] 소련인으로, 소련 역사에 굵은 획을 그었던 정치인인 [[https://ko.wikipedia.org/wiki/아나스타스_미코얀|아나스타스 미코얀]]의 동생이다.], [[미하일 구레비치|미하일 이오시포비치 구레비치]](Михаил Иосифович ''Г''уревич) 두 사람의 머릿글자를 따서 지어진 이름이다. "M"ikoyan "i" "G"urevich이기 때문에 MiG, 대문자 M, 소문자 i, 다시 대문자 G로 적어야 옳다. 여기서 i는 Mikoyan의 i가 아니라 ''и''(i발음, 러시아어로 [[&|and]])이다. [[키릴 문자]]로는 МиГ. 이 [[러시아어]] 약자를 굳이 [[영어]]로 옮긴다면 M&G 정도의 뉘앙스가 된다. 따라서 i를 소문자로 적는 것이다. 소련을 대표하는 전투기 설계국으로 MiG기라고 하면 소련 전투기를 일컫는 대명사로 자리 잡고 있을 정도다. 워낙 많은 수의 항공기가 생산된 데다 소련의 마음에 들면 위성국에 마음대로 퍼 주기도 많이 퍼줘서 대부분의 현대 항공전에 나온다. 성능과 제작 순서에 상관없이 숫자가 왔다 갔다 하는 미제 전투기와 달리 MiG 시리즈는 확실히 숫자가 높을수록 신형이다. 여기서 형식번호를 매길 때 자체적인 규정이 하나 있는데, 형식 번호가 홀수인 기종은 실전 배치용이고, 짝수는 실험기라고 한다. 때문에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MiG 전투기는 홀수 번호 기종이다(예를 들어 MiG-21, MiG-29).[* 영화 [[탑건(영화)|탑건]]에 나오는 가상의 전투기 [[MiG-28]] 또한 실전 배치되는 전투기들이 전부 홀수라는 점을 감안해 이를 피하기 위해 짝수 번호로 지어진 것이다.] [[수호이]]와는 라이벌 관계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보통의 경우 MiG는 전술기, 수호이는 전략목적용 기종을 담당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술기 분야에서도 수호이에 밀리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 [[Su-35]]를 비롯해 스텔스기인 [[Su-57]]까지 전방위적으로 수호이가 부상하였다. 이 때문에 갈수록 전투기 시장에서 밀리고 있어 미그사는 어떻게든 명성을 유지시키고자 고민 중이다. [[수호이]]와 경쟁하기 위해 현재 내놓은 대표적인 생존 전략으로 '''[[가성비]]'''를 강조하고 있는데, 이를 토대로 [[MiG-35]]를 내놓으면서 [[인도|여러 동구권]] [[이집트|전투기를]] [[말레이시아|운용했던]] [[아르헨티나|국가들]]에게도 팔고자 노력하는 중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해외 계약에 성공한 케이스는 오직 [[이집트]][* 그마저도 독점 계약이 아니라 [[라팔]]과 함께 도입되었다.]뿐이며, 막상 본고장인 [[러시아 항공우주군]]마저도 급감한 국방 예산으로 인해 겨우 '''8대(...)''' 정도만 운용하는 등 몹시 안타까운 실정이다. 한국 한정으로 [[맹구]]라는 [[별명]]으로 불리는데 이 별명은 주로 한국 공군의 주적인 [[북한 공군]]이 운용하는 구형 미그기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조선인민군/열악한 현실|돈 없고 교류가 막힌 북한군]]이 [[MiG-15|힘겹게]] [[MiG-17|운용하고]] [[MiG-19#s-5|있는]] [[MiG-21|고물]] [[MiG-23|미그]] [[MiG-29#s-7|전투기]]'라는 조롱조가 섞인 표현이다. 그래서 북한 밖의 나라가 운용하는 신형 미그기는 맹구라는 별명으로 잘 불리지는 않는다. == 개발 기종 목록 == [[파일:external/nl.media.rbth.ru/Mig_korean_1000.jpg]] === 프로펠러기 시대 === ==== [[MiG-1]] ==== ||[[파일:attachment/mikoyangurevich-mig1.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1)] ==== [[MiG-3]] ==== ||[[파일:attachment/mikoyangurevich-mig3.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3)] === 초기 [[제트기]] 시대 === ==== [[MiG-9]] ==== ||[[파일:attachment/I-301T.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9)] ==== [[MiG-15]] ==== ||[[파일:attachment/MiG-15novocopy.jpg|width=300]]|| || [[북한 공군]] 도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15)] ==== [[MiG-17]] ==== ||[[파일:attachment/MiG-17.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17)] ==== [[MiG-19]] ==== ||[[파일:attachment/MiG-19.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19)] === 현용 전투기 시대 === ==== [[MiG-21]] ==== ||[[파일:attachment/MiG-21.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21)] ==== [[MiG-23]] ==== ||[[파일:attachment/mig-23m-04-x.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23)] ==== [[MiG-25]] ==== ||[[파일:attachment/mig-25u-33-x1.jpg|width=300]]|| || 복좌형 사양의 사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25)] ==== [[MiG-27]] ==== ||[[파일:attachment/mig-27-50-x.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27)] ==== [[MiG-29]] ==== ||[[파일:attachment/mig-29-45-x.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29)] ==== [[MiG-31]] ==== ||[[파일:attachment/MiG-31.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31)] ==== [[MiG-33]]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33)] ==== [[MiG-35]] ==== ||[[파일:attachment/mikoyangurevich-mig35-fulcrum.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35)] ==== MiG-1.42 / MiG-1.44 ==== ||[[파일:attachment/1.44_02.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MFI)] ==== [[MiG-LMF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LMFS)] ==== [[MiG-4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41)] == 대중매체 출연 기종 중 실존하지 않는 기종들 == === [[MiG-28]] === ||[[파일:external/media.smithsonianmag.com/Topgun-F-5E-Tiger-II-2.jpg|width=3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G-28)] 미제 [[F-5]]를 모방해서 만든 전투기이다. === [[파이어폭스(영화)#s-4|MiG-31 파이어폭스]] === 영화 [[파이어폭스(영화)|파이어폭스]]에 나오는 전투기이다. 5세대 전투기 수준의 기술에 뇌파 조종 기술까지 녹아 있는 사기 전투기라고 할 수 있다. === MiG-37 페렛 === [[F-19]] 사건 이후로 미국과 유럽의 일부 프라모델 업체에서 '소련에서 실제로 F-19나 F-117 같은 스텔스기를 개발한다면 뭐가 나올까?'라는 가정 하에 내놓은 가상의 전투기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소련의 설계국 및 생산공장)] [각주] [[분류:미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