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미군]]의 [[계급장]]은 [[나무]](뿌리-줄기-잎)와 [[하늘]](독수리-별)을 상징한다.[* 자세한 내용은 [[군사 계급]] 문서 참조] 계급 체계가 통일되지 않아서 서로 다른 계급이 같은 명칭을 쓰는 경우[* 이를테면 Captain이라는 단어가 육군(Troop)에서는 '[[대위]]'를, 해군(Navy)에서는 '[[대령]]'을 가리킨다. 실제 각종 매체에서 오역 빈도가 상당히 높은 계급이다. 나이 지긋한 해군 대령을 대위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가 있는가 하면, 직무에 따라 같은 계급에서도 서로 다른 대우를 받고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해군·해안경비대의 사병 계급은 직별마다 제각각이다.] 그래서 대조표가 없으면 정확한 위치를 알아보기가 어렵다. [[카투사]]로 입대했다면, 상등병일 때 Corporal이라는 부사관 취급을 받게 된다. 병장이 되면 Sergeant. 미 육군 내에서 Corporal이라는 계급은 Specialist가 진급요건을 맞췄지만 TO가 나지 않아 진급을 하지 못하는 경우, 부대 내에서 필요에 의해 부사관 권한을 주고자 할 때 달게 된다. 어떻게 보면 Sergeant보다도 달기 힘든 계급. 미군 내에서 육군 기준 병장(E-5. Sergeant.)이 되려면 최소 4년 2개월 근무한 이후에 진급하기 때문에 겨우 군생활 1년차인 병사들이 애를 먹는 경우가 꽤 많다. [* 반대로 예는 얼마나 난놈이길래 빨리 진급하냐고 놀라는 경우도 있는편]한국 카투사 병장(Sergeant)들이 무시받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한다. 이유인 즉슨, 대한민국 국군내에선 병장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1년정도이고 자동으로 진급이 되지만 미군에선 노력도 없고 운이 나쁘면 종종 진급을 못해 10년이 넘게 E4(Specialist)로 남는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진급가능한 상태가 되더라도 BLC(Basic Leader Course, 3주 정도의 부사관 교육)을 통과하지 못하면 진급을 하지 못한다. 짬으로만 보면 미국의 E5(Sergeant)은 한국의 중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옛날 영한사전에는 Corporal은 하사, Sergeant는 중사라 번역되어 있었다. 이는 영국식 영어의 영향이기도 하다. [[영국군/계급]] 문서 참조] 계급장: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United_Kingdom_and_United_States_military_ranks|항목 참조]] 해안경비대 계급: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Coast_Guard_officer_rank_insignia|장교]],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United_States_Coast_Guard_enlisted_rates|병사]] 장교 계급: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Public_Health_Service_Commissioned_Corps#Commissioned_officers|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Oceanic_and_Atmospheric_Administration_Commissioned_Officer_Corps#Commissioned_officers|NOAA 파견부대]] 준사관 계급: [[https://en.wikipedia.org/wiki/Warrant_officer_(United_States)|준사관]] 과거 미 육군 사병 계급: [[http://m.egloos.zum.com/maniac-blogging/v/5681572|항목 참조]][* 여담으로 과거 미군의 사병 계급 체계는, [[영국군/계급|영국군의 사병 계급 체계]]처럼 7계급 체계였다.] 대륙군 계급장 : [[https://en.wikipedia.org/wiki/Continental_Army#Rank_insignia|항목 참조]] == 공통 설명 == E-1, E-2 같은 알파벳과 숫자는 Pay Grade이다. 같은 Pay Grade는 기본적으로 동급이지만 E-9의 최고 계급인 각군 주임원사 및 합참주임원사는 다른 E-9보다 상급이다. 같은 Pay Grade여도 계급에 따라 권한과 지위, 보직이 다르다는 뜻이다. E는 병(Enlisted), W는 준사관(Warrant Officer), O는 장교(Officer)를 의미한다. 미군 규정상 대한민국 국군 계급도 미군 계급과 똑같이 대우하게 되어 있지만, 대한민국 국군과 미군의 여러 차이 때문에 정확히 대응되지 않는다. 미군은 입대 하자마자 바로 E-4[* [[학사]] 학위 소지자. 단, 육군의 경우 부사관 취급을 받는 Corporal이 아니라 병취급을 받는 Specialist로 시작한다.]가 될 수 있고, 4년을 근무해도 E-4에 머무르는 경우도 있다. 반면, 대한민국 국군은 바로 하사로 입대하는 제도가 있긴 하지만, 입대하자마자 바로 상병이 될 수는 없고, 이등병에서 병장까지는 2년이 안되는 짧은 기간에 자동으로 진급하는 차이가 있다. 미군은 입대 후 일병으로 진급하는데 1년이 걸리고 상병으로 진급하려면 거기서 6개월이 걸린다.[* 미 육군 기준, 훈련병(E-1)에서 이병(E-2)으로 진급하는데 6개월. 이병에서 일병(E-3)으로 진급하는데 6개월.(입대 후 도합 1년.) 일병에서 상병(E-4)으로 진급하는데 6개월.(입대 후 도합 1년 6개월.) 병장(E-5)으로 진급하려면 입대 후 도합 4년 2개월(도합 2년 6개월까지 단축 가능.)이 걸린다.][* 사실 대부분 국가들의 군대가 일병급으로 진급하는데만 입대 시점으로부터 8~9개월 내지는 1년이라는 세월이 걸린다. 한국군의 병 진급 조건이 상당히 빠른편이다. 그리고 해외 군대에서는 부사관이 되려면 병 생활을 모두 거쳐야만 한다. 다만, 한국은 [[6.25 전쟁]] 당시 한국군이 창설된지도 얼마되지 않아 부사관이 부족했기 때문에, 급히 부사관을 모집하여 충원하였다. [[부사관#s-9.1.2|그러한]] [[하사#s-2.3.1.2|제도]]가 오늘날 대한민국 국군까지 이어져 오는 것이다.] 준사관의 경우에도 한국은 보직별, 군종별로 대우가 다른 반면, 미군은 2호 준위장부터 무조건적으로 장교 신분이며 계급도 무려 '''5개로 나뉜다.''' 1호 준위~ 5호 준위장까지이다. 1호 준위는 Warrant Officer - 1 이며, 2호부터는 앞에 Chief가 붙어 CWO-2가 된다. 육군에서는 E-4부터 [[부사관]]으로 취급하고, 공군에선 E-5부터다.[* 정확히는 육군의 E-4 계급은 병 취급을 받는 Specilist와 부사관 취급을 받는 Corporal로 나뉜다.] 육군은 정복도 바지에 금색 줄이 붙는 차이가 생긴다. 사실상''' 미군의 Corporal은 보직상으로 한국군의 병 분대장급으로 쳐줘야 한다.'''[* 이런 미군과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 체계가 서로 이질적이고 역할도 잘 대응되지 않기에 대한민국 국군의 병 계급을 부사관과는 다른 독립적인 계급 체계로 간주하여 계급명 번역을 다르게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가령, 육군 기준으로 상병을 'Private Upper Class'라 하고, 병장을 'Master Private'라고 한다든지. 물론 관행으로 굳어진 거라 바꾸려는 사람은 없다.[br]뭔가 대충 짜맞춰진 것 같은 계급대응이지만 그래도 나름의 이유가 있다. 비슷하게 징병제를 시행하는 [[싱가포르군]]에서 한국군 일등병에 대응하는 일등병은 마찬가지로 Priavate First Class로 번역하지만, 상병에 대응하는 준하사(准下士)를 Lance corporal로 번역하고, 병장에 대응되는 하사(下士)를 Corporal로 선임병장에 대응 가능한 일등하사(一等下士)를 Corporal First class로 번역한다. 대한민국 국군의 부사관 계급인 하사로 계급명이 적히고 영문도 Corporal로 번역되는데다가 하사와 일등하사 모두 나토 OR-4로 묶어서 분류되어 NCO 같지만 해당 계급들은 2년 남짓한 군생활을 하는 의무복부자들이 복무실적에 따라 얻어가는 계급인 Enlistee 즉, 병이다.][* NCO는 Specialist라고 칭하며, 3급중사(三级中士, 3rd Sergeant)부터 시작된다. 여기에 권한이나 책임에 대한 것 까지 따지기 시작하면 더 복잡해진다. 대한민국 국군도 마찬가지로 병장을 직역하면 Master Private이 맞겠지만 만약 분대장이 된다면 권한은 Private이 아니라 미국의 Corporal과 비슷해진다. '''애초에 일대일 대응이 되질 않으니 별 수 없이 아래서부터 위로 대응시켜 나가는 것이다. 미군-대한민국 국군 외에도 타국-대한민국 국군도 적당히 절충해서 서로 OR코드를 맞춰간다'''. 적절하지 않은 예시지만 러시아에는 이병과 상병밖에 없다.] 보직으로 치면 SPC는 대한민국의 병장에 해당한다. 대충 미국 병장은 한국군 중사(진)정도 짬밥이고 대신 대한민국 국군은 중사와 상사 기간이 엄청나게 길다. 미군은 그 기간이 계급으로 많이 나누어져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422139|각군 주임원사보다 상위에 합참주임원사 계급'장'을 신설했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 [[미합중국 육군|육군]] ==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 E1 ||<:>Private||<:>PVT||<:>-||<:>[[훈련병]]||<:>[* Recruit라 하기도 한다. 한국군의 훈련병과 달리 이쪽은 공식 계급으로 존재. 군복(ACU)에 아무런 계급장도 달지 않고 벨크로만 남아있기 때문에 현장에선 Fuzzy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참조 정확히는 완전한 훈련병이라기보다는 훈련병 겸 이등병 같은 개념이다.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하면 바로 이등병이 되는 한국군과는 달리 미군은 이 계급으로 6개월을 보낸다.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하고 [[후반기교육]]을 받는 기간 동안 이 계급으로 지내고, 따로 후반기교육을 받지 않는 [[알보병]]들은 자대에서 한동안 이 계급으로 지내게 된다. 사실 한국군과 미군의 병, 부사관 계급을 일대일로 대응하기에는 꽤 무리수가 따른다.]|| || E2 ||<:>Private E-2||<:>PV2||<:>[[파일:external/c0be2a6f0593de8df042065e5c6054710388eba0460c9af9238f4c1b2554f467.png|width=80px]]||<:>[[이등병]]||<:>[* 이 계급으로 진급하는 데 6개월이 소요된다.][* [[KATUSA|카투사]](KATUSA)들이 후반기교육을 마치고 이등병 신분으로 자대에 배치받으면 그때부터 이 계급으로 불리게 된다.]|| || E3 ||<:>Private First Class||<:>PFC||<:>[[파일:external/428b7fc3f8e6ff49bc2006f23ca81700745cfe6930899e5acd0c5510e304b896.png|width=80px]]||<:>[[일등병]]||<:>[* 총 12개월의 TIS가 필요하며, 최소 4개월 간의 PV2 TIG가 있어야 진급 가능.][* 카투사들이 일등병으로 진급하면 이 계급을 부여받는다.]|| ||<|2> E4 ||<:>Specialist||<:>SPC||<:>[[파일:external/f2771158cdfd88cd00fa8c1a651cc578cb6944ab1e934ab41b5438ca1629afd0.png|width=80px]]||<:>[[상병]]||<:>[* 총 24개월의 TIS가 필요하며, 6개월의 PFC TIG가 필요하나 예외적으로 [[학사]] 학위 소지자들은 병으로 입대 시 이 계급으로 군 생활을 시작한다.][* 전투복에 쓰는 저시인성 계급장은 안에 들어간 문양도 같은 색상으로 하기 때문에 가까이서 봐도 부채 모양의 검은 계급장만 보인다. 가슴에 다는 포제 계급장은 아예 생략한다.]|| ||<:>Corporal||<:>CPL||<:>[[파일:external/908ff717270b6585d984ded2b7a60c42a74e19c414eb8f2a2da877ba93b97f1c.png|width=80px]]||<:>[[상병]]||<:>[* 위의 Specialist(SPC)는 병 취급을 받지만, Corporal(CPL)은 공식적으로 [[부사관]](NCO)이다. 사실상 한국군의 병 분대장으로 쳐줘도 된다. CPL은 리더십이 있거나 빠른 진급을 원하는 상병 진급자들이 주로 자원한다. 부대에 부사관이 부족하거나 SPC가 Sergeant(SGT)로의 진급 조건을 갖췄지만 TO가 나지 않을 때 이 계급을 부여하기도 한다. 이 계급이 부여되면 팀 리더(Team Leader)를 맡게된다. 4명 정도로 구성된 편제이며 우리말로 [[사격조]]라고 한다.][* 참고로 [[http://m.egloos.zum.com/maniac-blogging/v/5681572|2차 대전 때 쓰던 구 계급장의 경우 CPL 계급장 밑에 T를 달아서 썼고, Tech 5th class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지도 제작과 [[통역병]]을 맡는 기술병과인 [[티모시 E. 업햄]]의 계급장이 그렇다.][* 카투사들이 상등병으로 진급하면 위의 SPC가 아닌 이 계급이 부여된다. 미군 계급상으로 엄연히 부사관인 CPL 계급을 한국군 병사에게 부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부대에 따라서는 병장 이상의 카투사들에게 어느 정도 책임을 부여하기도 한다.]|| || E5 ||<:>Sergeant||<:>SGT||<:>[[파일:external/dd2da2ec9a952be0566e113f25d96957d2f7ce6fc07b5d2a71f45f1857fea31d.png|width=80px]]||<:>[[병장]]||<:>[* 총 34개월의 TIS와 12개월의 TIG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계급부터 자동적인 진급이 아닌 평가로 인한 진급이 이루어진다.][* Sergeant는 미군의 하사 계급을 뜻하기도 하지만 부사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부사관을 뜻하는 또 다른 영어 표현으로는 NCO('''N'''on'''C'''ommisioned '''O'''fficer)가 있다. 참고로 미군에서 상관에게 말을 해야 할 일이 생기면 부사관에게는 말끝마다 "Sergeant"라고 해야하며 장교에게는 성별에 따라 "Sir" 혹은 "Ma'am"을 붙여야 한다. 물론 친하면 그냥 LT라고 불러댄다. 우리말로 '''소댐''' 정도의 뉘앙스.][* 카투사들이 병장으로 진급하면 이 계급을 부여받지만 미군의 경우 최소 3년의 경력이 있어야 진급가능하며 기타 갖춰야할 요건도 많고 보통 5년은 걸리는 바 1년 남짓 시간만 때우는 한국군 병장과 비교불가이다.]|| || E6 ||<:>Staff Sergeant||<:>SSG||<:>[[파일:external/85d90c87292d3051757c6257bab826561f19f1739c71fa01674747120f1b83f6.png|width=80px]]||<:>[[하사]]|| || || E7 ||<:>Sergeant First Class||<:>SFC||<:>[[파일:external/931d403b9576ffcd4c05361b741fca9a15b3f2b19d7305820872d1bf961b692c.png|width=80px]]||<:>[[중사]]|| || ||<|2> E8 ||<:>Master Sergeant||<:>MSG||<:>[[파일:external/eeb0bfbb720c2b56c5498a4b11476405004243a42076d1074494b29f7aca050c.png|width=80px]]||<:>[[상사]]||<:>[* 최소 20년 이상의 군 경력을 가져야 진급이 가능하며 개편된 한국군 부사관 계급 체계에 비추어볼때 원사로 봄이 타당하다.]|| ||<:>First Sergeant||<:>1SG||<:>[[파일:external/03df06319d0c493cecfe885954367ccfc5ba66806ff569862253ded0c1b5ec6e.png|width=80px]]||<:>[[상사]]([[행정보급관]])||<:>[* [[행정보급관]]을 맡는다.] [* 직역하면 '일등상사' 정도로 해석된다.]|| ||<|4> E9 ||<:>Sergeant Major||<:>SGM||<:>[[파일:external/ee1f21904e5fedfe9071b9724e04159a33b4e854e8513a235a9ce5c2ae5f331c.png|width=80px]]||<:>[[원사]]||<:>[* 카투사들을 관리 및 감독하는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에는 지원대와 지원반이라는 편제가 존재하는데, 보통 상사가 직책을 맡는 지원반장은 Master Sergeant라고 불려야 하겠지만 카투사들을 총괄한다는 점에서 미군들은 이 계급으로 불러준다.]|| ||<:>Command Sergeant Major||<:>CSM|| [[파일:미육군원사계급장.png]] ||<:>원사[br]([[주임원사]])||<:>[* 대한민국 국군은 휘장으로 구분]|| ||<:>Sergeant Major of the Army||<:>SMA||<:>[[파일:external/51d8e8603ac81e7c60d6c1e527cbebef945e64eb30be1f32f8c03198a93e30ed.png|width=80]]||<:>원사[br]([[육군주임원사]])|| ||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SEAC||<:>[[파일:B122B198-AEDC-460D-A7BE-C7343AAA5822.png|width=80px]]||<:>원사[br]([[합참주임원사]])|| || || W1 ||<:>Warrant Officer 1 || WO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WO1.svg.png]] ||<|5> [[준위]] ||<|5><:>[* 한국군 준위와는 다르게 5개의 계급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 W2 ||<:>Chief Warrant Officer 2 || CW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CW2.svg.png]]|| || W3 ||<:>Chief Warrant Officer 3 || CW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CW3.svg.png]]|| || W4 ||<:>Chief Warrant Officer 4 || CW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CW4.svg.png]]|| || W5 ||<:>Chief Warrant Officer 5 || CW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CW5.svg.png]]|| || O1 ||<:>Second Lieutenant||<:>2LT||<:>[[파일:US_Army_O1_(Army_greens).svg.png]]|| [[소위]] || [* 일명 [[버터|버터바]]. 한국군에서 짬찌 소위를 쏘가리라고 부르듯 미군에서는 버터바라고 부른다.] || || O2 ||<:>First Lieutenant||<:>1LT||<:>[[파일:US_Army_O2_(Army_greens).svg.png]]|| [[중위]] || [* 여담으로 한국군 이등병 계급장과 비슷해서 카투사들이 계급장을 돌려달고 중령으로 셀프 초고속 진급하는 장난을 치는 경우가 제법있다. 뒤의 대위도 일병계급장과 유사하여 종종 장난을 치기도 하는편 가끔 미군이 이런 장난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는편.] || || O3 ||<:>Captain||<:>CPT||<:>[[파일:US_Army_O3_(Army_greens).svg.png]]|| [[대위]] || || || O4 ||<:>Major||<:>MAJ||<:>[[파일:US_Army_O4_(Army_greens).svg.png]]|| [[소령]] || || || O5 ||<:>Lieutenant Colonel||<:>LTC||<:>[[파일:US_Army_O5_(Army_greens).svg.png]]|| [[중령]] || || || O6 ||<:>Colonel||<:>COL||<:>[[파일:US_Army_O6_(Army_greens).svg.png]]|| [[대령]] || || || O7 ||<:>Brigadier General||<:>BG||<:>[[파일:US_Army_O7_(Army_greens).svg.png]]|| [[준장]] || || || O8 ||<:>Major General||<:>MG||<:>[[파일:US_Army_O8_(Army_greens).svg.png]]|| [[소장(계급)|소장]] || || || O9 ||<:>Lieutenant General||<:>LTG||<:>[[파일:US_Army_O9_(Army_greens).svg.png]]|| [[중장]] || || || O10 ||<:>General||<:>GEN||<:>[[파일:US_Army_O10_(Army_greens).svg.png]]|| [[대장(계급)|대장]] || || 예복(구 정복)인 청색 ASU 정복에 부착하는 장교의 계급장은 [[병과]]마다 바탕의 색이 다르며, [[준장]]부터는 병과 구분이 없어진다. 본 문단의 계급장은 2020년부터 도입된 신형 정복용이다. == [[미합중국 해군|해군]] ==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5> E1 ||<:>Seaman Recruit||<:>SR||||<|5><:>-||<|5><:>[[훈련병]]||<|5> || ||<:>Hospitalman Recruit||<:>HR|| ||<:>Fireman Recruit||<:>FR|| ||<:>Airman Recruit||<:>AR|| ||<:>Constructionman Recruit||<:>CR|| ||<|5> E2 ||<:>Seaman Apprentice||<:>SA||<|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2_SM_USN.svg.png|width=80px]]||<:><|5>[[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N_-_Seaman_Apprentice.png|width=80px]]||<|5><:>[[이등병]]||<|5> || ||<:>Hospitalman Apprentice||<:>HA|| ||<:>Fireman Apprentice||<:>F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2_FM_USN.png|width=80px]]|| ||<:>Airman Apprentice||<:>A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2_AM_USN.png|width=80px]]|| ||<:>Constructionman Apprentice||<:>C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2_CM_USN.png|width=80px]]|| ||<|5> E3 ||<:>Seaman||<:>SN||<|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3_SM_USN.svg.png|width=80px]]||<|5><:>[[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N_-_Seaman.png|width=80px]]||<|5><:>[[일등병]]||<|5> [* [[학사]] 학위를 취득한 뒤에 입대하면 해당 계급으로 시작한다.] || ||<:>Hospitalman||<:>HN|| ||<:>Fireman||<:>F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_FM_USN.png|width=80px]]|| ||<:>Airman||<:>A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_AM_USN.png|width=80px]]|| ||<:>Constructionman||<:>C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_CM_USN.png|width=80px]]|| || E4 ||<:>Petty Officer Third Class||<:>PO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3_NOGC.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3_collar.png|width=80px]]||<:>[[상등병]]|| || || E5 ||<:>Petty Officer Second Class||<:>PO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2_NOGC.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2_collar-2.png]]||<:>[[병장]]|| || || E6 ||<:>Petty Officer First Class||<:>PO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1_NOGC.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1_Collar_Silver_USN.png|width=80px]]||<:>[[하사]]|| || || E7 ||<:>Chief Petty Officer||<:>[[CPO#해군의 선임 부사관|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PO_GC.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PO_collar.png|width=80px]]|| [[중사]] ||<:>[* 미 해군은 CPO부터 장교와 유사한 형태의 근무복을 입는다. PO1까지는 수병과 동일한 복장. 한국 해군도 과거에는 중사까지 수병과 동일한 복장을 하였다.][* 한국 해군에서 CPO라고 하면 원사/상사를 지칭함. 한국 해군 중사들은 외국 해군에 자신을 CPO라고 소개하지 않음.]|| ||<|2> E8 ||<:>Senior Chief Petty Officer||<:>S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SCPO_GC.svg.png|width=80px]]||<|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SCPO_collar.png|width=80px]]||<|2><:>[[상사(계급)|상사]]|| || ||<:>Command Senior Chief Petty Officer ||<:>CMDCS||<:>[[파일:2000px-CMDCS.svg.png|width=80px]]|| || ||<|6> E9 ||<:>Master Chief Petty Officer||<:>M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CPO_GC.svg.png|width=80px]]||<|4><:>[[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CPO_collar.png|width=80px]]||<|4><:>[[원사(계급)|원사]]|| || ||<:>Command Master Chief Petty Officer||<:>CMDC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MCPO.svg.png|width=80px]]|| || ||<:>Force Master Chief Petty Officer||<:>FORCM||<|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FMCPO.svg.png|width=80px]]|| || ||<:>Fleet Master Chief Petty Officer||<:>FLTCM|| ||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Navy||<:>MCPO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CPON.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CPON_collar.png|width=80px]]||<:>원사[br]([[해군주임원사]])|| ||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SEAC||<:>[[파일:미합중국 합참주임원사 계급장(해군).png|width=80px]]||<:>[[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80px]]||<:>원사[br]([[합참주임원사]])|| || || W1 ||<:>Warrant Officer 1|| WO1 ||<:><-2>[[파일:2000px-US_Navy_WO1_insignia.svg.png|width=50]]||<|5> [[준위]] ||<|5> || || W2 ||<:>Chief Warrant Officer 2 || CWO2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Navy_CW2_insignia.svg.png]]|| || W3 ||<:>Chief Warrant Officer 3 || CWO3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Navy_CW3_insignia.svg.png]]|| || W4 ||<:>Chief Warrant Officer 4 || CWO4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Navy_CW4_insignia.svg.png]]|| || W5 ||<:>Chief Warrant Officer 5 || CWO5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Navy_CW5_insignia.svg.png]]|| || O1 ||<:>Ensign||<:>ENS||<:><-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1_insignia.svg.png]]|| [[소위]] || || || O2 ||<:>Lieutenant (Junior Grade)||<:>LTJG||<:><-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2_insignia.svg.png]]|| [[중위]] || || || O3 ||<:>Lieutenant||<:>LT||<:><-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3_insignia.svg.png]]|| [[대위]] || || || O4 ||<:>Lieutenant Commander||<:>LCDR||<:><-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4_insignia.svg.png]]|| [[소령]] || || || O5 ||<:>Commander||<:>CDR||<:><-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5_insignia.svg.png]]|| [[중령]] || || || O6 ||<:>Captain||<:>CAPT||<:><-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6_insignia.svg.png]]|| [[대령]] || || || O7 ||<:>Rear Admiral (Lower Half)||<:>RDML||<:><-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7_insignia.svg.png]]|| [[준장]] || || || O8 ||<:>Rear Admiral (Upper Half)||<:>RADM||<:><-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8_insignia.svg.png]]|| [[소장(계급)|소장]] || || || O9 ||<:>Vice Admiral||<:>VADM||<:><-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9_insignia.svg.png]]|| [[중장]] || || || O10 ||<:>Admiral||<:>ADM||<:><-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10_insignia.svg.png]]|| [[대장(계급)|대장]] || || 부사관 계급장 중단의 그림은 [[직별]]과 업무마다 다르다. 사진의 교차된 닻은 [[갑판병]] 직별이며, 다른 직별 표식은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United_States_Navy_ratings|여기]]를 참고. 한국군과 미군의 여러 차이 때문에 한미연합사에서 공식적으로 작성한 계급비교표와 실제 체감하는 현실이 서로 맞지 않는다. 실제 현실에서 군 생활 2년 남짓한 한국 해군 병장이 위 표대로 자신을 PO2라고 소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미군은 훈련병에서 시작해서 하사가 되는 반면 한국군은 하사로 입대가 가능하고, 미 해군은 신병훈련을 마치면 학력과 경력에 따라 바로 E3부터 군생활이 가능하지만 교육기간 포함해서 첫 계약기간이 6년인 병과들이 주로 받는 혜택. BM(갑판병) 같은 계급은 대부분 E1 시작이다. 한국군은 이등병부터 군생활을 하는 등 서로 많은 차이가 있다. == [[미합중국 해병대|해병대]] ==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 E1 ||<:>Private||<:>Pvt||<:>-||<:>[[훈련병]]||[*참조]|| || E2 ||<:>Private First Class||<:>PF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2.svg.png|width=80px]]||<:>[[이등병]]|| [* [[학사]] 학위 소지자가 입대하면 이 계급으로 시작한다고 한다. 그냥 [[대한민국 해병대|한국 해병대]]의 미국 버전이라 보면 될 듯 하다.] || || E3 ||<:>Lance Corporal||<:>LCp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3.svg.png|width=80px]]||<:>[[일등병]]|| || || E4 ||<:>Corporal||<:>Cp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4.svg.png|width=80px]]||<:>[[상등병]]|| || || E5 ||<:>Sergeant||<:>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5.svg.png|width=80px]]||<:>[[병장]]|| || || E6 ||<:>Staff Sergeant||<:>S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6.svg.png|width=80px]]||<:>[[하사]]|| || || E7 ||<:>Gunnery Sergeant||<:>Gy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7.svg.png|width=80px]]||<:>[[중사]]|| || ||<|2> E8 ||<:>Master Sergeant||<:>M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8-MSG.svg.png|width=80px]]||<|2><:>[[상사(계급)|상사]]|| || ||<:>First Sergeant||<:>1stS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8-1SG.svg.png|width=80px]]|| || ||<|4> E9 ||<:>Master Gunnery Sergeant||<:>MGy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9-MGyS.svg.png|width=80px]]||<:>[[원사(계급)|원사]]|| [* 계급장 중앙의 표식이 마치 [[파인애플]]처럼 생겼기 때문에 넷상에서 해당 계급명인 Master Gunnery Sergeant 또는 MGySgt에 [[파인애플|Pineapple]]을 덧붙여 검색하면 관련된 여러 밈을 찾아볼 수 있다. 참고로 계급장 중앙의 실제 표식은 과거 [[전열보병]] 시절 사용했던 [[수류탄]]의 심지가 불타 들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게임 [[봄버맨]]에 나오는 그런 폭탄을 생각하면 된다.] || ||<:>Sergeant Major||<:>SgtMaj||<:>[[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9-SGM.svg.png|width=80px]]||<:>원사[br]([[주임원사]])|| || ||<:>Sergeant Major of the Marine Corps||<:>SgtMajM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9-SGMMC.svg.png|width=80px]]||<:>원사[br]([[해병대주임원사]])|| ||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 ||<:>SEAC ||<:>[[파일:미합중국 합참주임원사 계급장(해병대).svg|width=80px]]||<:>원사[br]([[합참주임원사]])|| || || W1 ||<:>Warrant Officer 1|| WO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WO1.svg.png]]||<|5> [[준위]] ||<|5> || || W2 ||<:>Chief Warrant Officer 2 || CWO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CWO2.svg.png]]|| || W3 ||<:>Chief Warrant Officer 3 || CWO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CWO3.svg.png]]|| || W4 ||<:>Chief Warrant Officer 4 || CWO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CWO4.svg.png]]|| || W5 ||<:>Chief Warrant Officer 5 || CWO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CWO5.svg.png]]|| || O1 ||<:>Second Lieutenant||<:>2nd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1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소위]] || || || O2 ||<:>First Lieutenant||<:>1st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2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중위]] || || || O3 ||<:>Captain||<:>Cap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3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대위]] || || || O4 ||<:>Major||<:>Maj||<:>[[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4_shoulderboard-2.svg.png]]|| [[소령]] || || || O5 ||<:>Lieutenant Colonel||<:>Lt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5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중령]] || || || O6 ||<:>Colonel||<:>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6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대령]] || || || O7 ||<:>Brigadier General||<:>B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7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준장]] || || || O8 ||<:>Major General||<:>Maj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8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소장(계급)|소장]] || || || O9 ||<:>Lieutenant General||<:>Lt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9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중장]] || || || O10 ||<:>General||<:>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10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대장(계급)|대장]] || || 원래 육군과 해병대의 Private First Class는 같은 등급이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병 계급을 새로 추가하면서 육군은 PFC 밑에 새로운 계급을 만들고, 해병대는 PFC 위에 새 계급을 만드는 바람에 Private First Class의 Pay Grade가 서로 달라졌다. Lance(창술)나 Gunnery(포술) 같은 용어는 배에서 직접적인 전투를 담당하는 해병대의 역할에서 기인한 듯하다. == [[미합중국 공군|공군]] ==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 E1 ||<:>Airman Basic||<:>AB||<:>-||<:>[[훈련병]]|| || || E2 ||<:>Airman||<:>Am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2_USAF_AM.svg.png|width=80px]]||<:>[[이등병]]|| || || E3 ||<:>Airman First Class||<:>A1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3_USAF_AM1.svg.png|width=80px]]||<:>[[일등병]]||[* [[학사]] 학위가 있으면 E-4([[상등병]])부터 시작하는 육군과는 다르게, 공군에서는 [[학사]] 학위가 있어도 병으로 입대하면 이 계급부터 시작하게 된다.]|| || E4 ||<:>Senior Airman||<:>Sr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4_USAF_SAM.svg.png|width=80px]]||<:>[[상등병]]|| || || E5 ||<:>Staff Sergeant||<:>S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5_USAF_SSGT.svg.png|width=80px]]||<:>[[병장]]|| || || E6 ||<:>Technical Sergeant||<:>T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6_USAF_TSGT.svg.png|width=80px]]||<:>[[하사]]|| || ||<|2> E7 ||<:>Master Sergeant||<:>M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7a_USAF_MSGT.svg.png|width=80px]]||<|2><:>[[중사]]|| || ||<:>First Sergeant||<:>1st 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7b_USAF_1STSGT1.svg.png|width=80px]]|| || ||<|2> E8 ||<:>Senior Master Sergeant||<:>SM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8a_USAF_SMSGT.svg.png|width=80px]]||<|2><:>[[상사(계급)|상사]]|| || ||<:>First Sergeant||<:>1st 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8b_USAF_1STSGT2.svg.png|width=80px]]|| || ||<|6> E9 ||<:>Chief Master Sergeant||<:>CM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9a_USAF_CMSGT.svg.png|width=80px]]||<|2><:>[[원사(계급)|원사]]|| || ||<:>First Sergeant||<:>1st 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9b_USAF_1STSGT3.svg.png|width=80px]]|| || ||<:>Command Chief Master Sergeant||<:>CC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9c_USAF_CCMS.svg.png|width=80px]]||<:>원사[br]([[주임원사]])|| ||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ief of the National Guard Bureau||<:>SEA||<:>[[파일:USAF_Senior_Enlisted_Advisor_for_the_National_Guard_Bureau.svg.png|width=80px]] ||<:>원사[br]([[주방위군주임원사]])|| || ||<:>Chief Master Sergeant of the Air Force||<:>CMSAF||<:>[[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9d_USAF_CMSAF.svg.png|width=80px]]||<:>원사[br]([[공군주임원사]])|| ||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SEAC||<:>[[파일:미합중국 합참주임원사 계급장(공군).png|width=80px]] ||<:>원사[br]([[합참주임원사]])|| || || O1 ||<:>Second Lieutenant||<:>2nd 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_shoulderboard.svg.png]]|| [[소위]] || || || O2 ||<:>First Lieutenant||<:>1st 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2_shoulderboard.svg.png]]|| [[중위]] || || || O3 ||<:>Captain||<:>Cap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3_shoulderboard.svg.png]]|| [[대위]] || || || O4 ||<:>Major||<:>Maj||<:>[[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4_shoulderboard.svg.png]]|| [[소령]] || || || O5 ||<:>Lieutenant Colonel||<:>Lt 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5_shoulderboard.svg.png]]|| [[중령]] || || || O6 ||<:>Colonel||<:>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6_shoulderboard.svg.png]]|| [[대령]] || || || O7 ||<:>Brigadier General||<:>Brig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7_shoulderboard.svg.png]]|| [[준장]] || || || O8 ||<:>Major General||<:>Maj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8_shoulderboard.svg.png]]|| [[소장(계급)|소장]] || || || O9 ||<:>Lieutenant General||<:>Lt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9_shoulderboard.svg.png]]|| [[중장]] || || || O10 ||<:>General||<:>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0_shoulderboard.svg.png]]|| [[대장(계급)|대장]] || || 현재 미 공군은 [[준사관]] 계급이 없다. == [[미합중국 우주군|우주군]] ==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 E1 ||<:>Specialist 1||<:>Spc 1||<:>[[파일:미 우주군 이병.png|width=80px]]||<:>[[훈련병]]|| || || E2 ||<:>Specialist 2||<:>Spc 2||<:>[[파일:미 우주군 일병.png|width=80px]]||<:>[[이등병]]|| || || E3 ||<:>Specialist 3||<:>Spc 3||<:>[[파일:미 우주군 상병.png|width=80px]]||<:>[[일등병]]|| || || E4 ||<:>Specialist 4||<:>Spc 4||<:>[[파일:미 우주군 상급상병.png|width=80px]]||<:>[[상등병]]|| || || E5 ||<:>Sergeant||<:>Sgt||<:>[[파일:미 우주군 병장.png|width=80px]]||<:>[[병장]]|| || || E6 ||<:>Technical Sergeant||<:>TSgt||<:>[[파일:미 우주군 하사.png|width=80px]]||<:>[[하사]]|| || || E7 ||<:>Master Sergeant||<:>MSgt||<:>[[파일:미 우주군 중사.png|width=80px]]||<:>[[중사]]|| || || E8 ||<:>Senior Master Sergeant||<:>SMSgt||<:>[[파일:미 우주군 상사.png|width=80px]]||<:>[[상사(계급)|상사]]|| || ||<|3> E9 ||<:>Chief Master Sergeant||<:>CMSgt||<:>[[파일:미 우주군 원사.png|width=80px]]||<:>[[원사(계급)|원사]]|| || ||<:>Chief Master Sergeant of the Space Force||<:>CMSSF||<:>[[파일:미 우주군 주임원사.png|width=80px]]||<:>원사[br]([[우주군주임원사]])|| ||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SEAC||<:>[[파일:미합중국 합참주임원사 계급장(우주군).png|width=80px]]||<:>원사[br]([[합참주임원사]])|| || || O1 ||<:>Second Lieutenant||<:>2nd 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_shoulderboard.svg.png]]|| [[소위]] || || || O2 ||<:>First Lieutenant||<:>1st 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2_shoulderboard.svg.png]]|| [[중위]] || || || O3 ||<:>Captain||<:>Cap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3_shoulderboard.svg.png]]|| [[대위]] || || || O4 ||<:>Major||<:>Maj||<:>[[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4_shoulderboard.svg.png]]|| [[소령]] || || || O5 ||<:>Lieutenant Colonel||<:>Lt 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5_shoulderboard.svg.png]]|| [[중령]] || || || O6 ||<:>Colonel||<:>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6_shoulderboard.svg.png]]|| [[대령]] || || || O7 ||<:>Brigadier General||<:>Brig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7_shoulderboard.svg.png]]|| [[준장]] || || || O8 ||<:>Major General||<:>Maj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8_shoulderboard.svg.png]]|| [[소장(계급)|소장]] || || || O9 ||<:>Lieutenant General||<:>Lt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9_shoulderboard.svg.png]]|| [[중장]] || || || O10 ||<:>General||<:>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0_shoulderboard.svg.png]]|| [[대장(계급)|대장]] || || 2021년 2월 1일부로 계급명이 확정되었다. 공군에서 독립했고 미합중국 공군부 소속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계급명이나 계급장이 공군과 같았으나, 훈련병부터 상등병까지의 계급명을 공군의 Airman 대신 Specialist로 사용하고, 병장을 공군의 Staff Sergeant 대신 그냥 Sergeant로 호칭한다. 공군과 마찬가지로 준사관은 없다. 2021년 9월 21일 새로운 공식 미 우주군 병 및 부사관 계급장이 제정되었다. 장교는 공군과 동일하다. == [[미합중국 해안경비대|해안경비대]] == ||<:>'''코드'''||<:>'''계급명'''||<:>'''약칭'''||<:><-2>'''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 E1 ||<:>Seaman Recruit||<:>SR||<:>[[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USCG_SR.svg.png|width=80px]]||<:>-|| [[훈련병]] || || ||<|3> E2 ||<:>Seaman Apprentice||<:>S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CG_SA.png|width=80px]]||<|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N_-_Seaman_Apprentice.png|width=80px]]||<|3><:>[[이등병]]||<|3><:>|| ||<:>Fireman Apprentice||<:>F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FA.png|width=80px]]|| ||<:>Airman Apprentice||<:>A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AA.png|width=80px]]|| ||<|3> E3 ||<:>Seaman||<:>S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SM.svg.png|width=80px]]||<|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N_-_Seaman.png|width=80px]]||<|3><:>[[일등병]]||<|3><:>|| ||<:>Fireman||<:>F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FM.png|width=80px]]|| ||<:>Airman||<:>A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AM.png|width=80px]]|| || E4 ||<:>Petty Officer Third Class||<:>PO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PO3.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G-PO3.png|width=80px]]||<:>[[상등병]]|| || || E5 ||<:>Petty Officer Second Class||<:>PO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PO2.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G-PO2.png|width=80px]]||<:>[[병장]]||<:>|| || E6 ||<:>Petty Officer First Class||<:>PO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PO1.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G-PO1.png|width=80px]]||<:>[[하사]]||<:>|| || E7 ||<:>Chief Petty Officer||<:>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CPO.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CPO_Collar.png|width=80px]]||<:>[[중사]]||<:>|| || E8 ||<:>Senior Chief Petty Officer||<:>S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SCPO.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SCPO_Collar.png]]||<:>[[상사(계급)|상사]]||<:>|| ||<|7> E9 ||<:>Master Chief Petty Officer||<:>M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svg.png|width=80px]]||<|6><:>[[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_Collar.png|width=80px]]||<|6><:>[[원사(계급)|원사]]||<|7><:>|| ||<:>Command Master Chief Petty Officer||<:>CM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CMC.svg.png|width=80px]]||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 Reserve Force||<:>CGRF-MC||<|4><:>[[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CG_%28reserve%29.svg.png|width=80px]]||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 Area||<:>Area CMC||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 DCO||<:>||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 DCMS||<:>||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MCPOC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CG.svg.png|width=80px]]||<:>[[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CG_Collar.png|width=80px]]||<:>[[원사(계급)|원사]][br]([[해안경비대주임원사]])|| || W2 ||<:>Chief Warrant Officer 2 || CWO2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CG_CW2_insignia.svg.png]]||<|3> [[준위]] ||<|3> || || W3 ||<:>Chief Warrant Officer 3 || CWO3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CG_CW3_insignia.svg.png]]|| || W4 ||<:>Chief Warrant Officer 4 || CWO4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CG_CW4_insignia.svg.png]]|| || O1 ||<:>Ensign||<:>ENS||<:><-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1_insignia.svg.png]]|| [[소위]] || || || O2 ||<:>Lieutenant (Junior Grade)||<:>LTJG||<:><-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2_insignia.svg.png]]|| [[중위]] || || || O3 ||<:>Lieutenant||<:>LT||<:><-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3_insignia.svg.png]]|| [[대위]] || || || O4 ||<:>Lieutenant Commander||<:>LCDR||<:><-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4_insignia.svg.png]]|| [[소령]] || || || O5 ||<:>Commander||<:>CDR||<:><-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5_insignia.svg.png]]|| [[중령]] || || || O6 ||<:>Captain||<:>CAPT||<:><-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6_insignia.svg.png]]|| [[대령]] || || || O7 ||<:>Rear Admiral (Lower Half)||<:>RDML||<:><-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7_insignia.svg.png]]|| [[준장]] || || || O8 ||<:>Rear Admiral (Upper Half)||<:>RADM||<:><-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8_insignia.svg.png]]|| [[소장(계급)|소장]] || || || O9 ||<:>Vice Admiral||<:>VADM||<:><-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9_insignia.svg.png]]|| [[중장]] || || || O10 ||<:>Admiral||<:>ADM||<:><-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10_insignia.svg.png]]|| [[대장(계급)|대장]] || || 바탕색이 청색인 것과 주요 상징물이 방패라는 점만 빼면 해군과 대동소이하다. 미 해군과 동일하게 군사주특기와 결합한 계급명칭을 사용하고, 계급장에도 군사주특기를 표시한다. 준사관 중 W1과 W5에 해당하는 계급이 없다. 한국의 [[해양경찰청]]과 미국의 해안경비대는 각자 나라에서 맡는 임무가 유사하다는 점을 빼면 서로 다른 게 많은 조직이다. 일단 결정적으로 한국 해양경찰은 '''경찰'''이고, 미국 해안경비대는 '''군대'''다. 나라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계급 체계도 인력 양성 및 임용 체계도 당연히 경찰식과 군대식으로 아예 다를 수밖에 없다. == 현재 사용하지 않는 계급 == === [[원수(계급)|원수]] === ||||||||||<:> [[미군]] 원수 계급장 || ||<:> [[미합중국 육군|육군]] ||<:> [[미합중국 해군|해군]] ||<:> [[미합중국 공군|공군]] || ||<:> General of the Army ||<:> Fleet Admiral ||<:> General of the Air Force || ||<:> [[파일:US_Army_O11_(Army_greens).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Army-USA-OF-10.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11_insignia.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1_shoulderboard_with_seal.svg.png]]|| 원수 계급은 현행법상 군 최고 계급으로 평시에는 지정되지 않는 계급이다. 아래는 역대 원수 명단. *[[미합중국 육군]] *[[더글러스 맥아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오마 브래들리]] *[[조지 C. 마셜]] *[[미합중국 해군]] *[[어니스트 킹]] *[[윌리엄 리히]] *[[윌리엄 홀시]] *[[체스터 니미츠]] *[[미합중국 공군]] *[[헨리 아놀드]] === [[대원수]] === 과거에 존재했던 계급, 해군 수장이 상당히 특이한데 [[제독]]의 수장에 붙는 광선이 한 개가 더 붙는다. 역대 미군 대원수들이 계급을 수여받았던 시대에는 공군이라는 군종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공군 출신 대원수는 없다. ||||||||||<:> [[미군]] 대원수 계급장 || ||<:>군종 ||<:> [[미합중국 육군]] ||<:> [[미합중국 해군]] ||<:> [[미합중국 공군]] || ||<|2> 계급장 ||<:> General of the Armies/Generalissimo ||<:> Admiral of the Navy/Admiralissimo ||<:> General of the Air Forces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Army-USA-OF-11.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US_Admiral_of_Navy_insignia.svg.png]][[파일:6StarSleeveUSN.jpg|width=150px]] || 없음 || || 견장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_Army_O12_shoulderboard_rotated_%281981-2015%29.png|width=150px]]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_Navy_O12_infobox.png|width=150px]]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_Air_Force_O12_shoulderboard_rotated.png|width=150px]] || *[[미합중국 육군]] *[[존 조지프 퍼싱]] *[[조지 워싱턴]]: 진급일 상 퍼싱보다 선임임이 명시되어 있다. *[[율리시스 S. 그랜트]] *[[미합중국 해군]] *[[조지 듀이]] [[분류:미군]][[분류:군 계급]][[분류:군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