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e5d85c '''역대 [[에미상|{{{#e5d85c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 || ||<#FFFFFF,#191919><-5><:> [[파일:emmylogo.png|width=160]] || ||<-5> {{{#e5d85c '''논픽션 프로그램 음향 편집 부문'''}}} || ||<:> '''제53회[br]([[2001년]])''' ||<:> {{{+1 → }}} ||<:> '''제54회[br]([[2002년]])''' ||<:> {{{+1 → }}} ||<:> '''제55회[br]([[2003년]])''' || ||<:> [[빅 앨의 대모험]] ||<:> {{{+1 → }}} ||<#FFFFFF,#191919><:> '''미국을 사로잡은 공룡''' ||<:> {{{+1 → }}} ||<:> 비스마르크호의 비밀 || ||<#0C0000><-5><:> || [[파일:51T6EHCTPSL._SY445_.jpg]] [목차] == 개요 == [youtube(fA5rWh-V6Wg)] [[2001년]] [[7월 15일]]에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된 [[공룡]] [[다큐멘터리]] [[영화]]. [[공룡대탐험]] 다음으로 평이 좋은 공룡 다큐이다.[* 두 다큐는 공통점이 있는데, 줄거리가 동일하게 트라이아스기부터 쥐라기와 백악기 말기까지 이렇게 3개의 시대를 다루었으며 극중에 등장하는 생물들중 일부 종이 중복된다.] 러닝타임은 1시간 31분 남짓이다. 북미를 주제로 해서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 말 대멸종까지 다루었으며 일부 수각류 공룡들에게 깃털을 달아줬다.[* 이는 후속작 [[공룡혹성|Dinosaur Planet]]에서도 유지된다.] 원판 나레이션은 미국의 명배우 [[존 굿맨]][* [[몬스터 주식회사]]의 [[제임스 설리반]] 역을 맡았다.]이 더빙판에서는 [[홍시호]] 성우가 맡았다. 원제는 When Dinosaurs Roamed America이며, 직역하자면 '공룡들이 미국을 배회하고 다녔을 때'. == 등장 생물 == [youtube(3yMLetwigqM)] === 트라이아스기 말기 (2억 2천만년 전) === 배경: [[뉴욕]] * [[코일로피시스]] * [[루티오돈]] * [[데스마토수쿠스]] * [[이카로사우루스]][* 또한 내래이션이 이 동물을 보고 지구상에서 처음으로 하늘을 날게 된 동물이라고 하는데 사실상 웨이겔티사우루스과(Weigeltisauridae)에 속하는 파충류들이 제일 먼저로 또 고증 오류이다.] * 트라베르소돈과 === 쥐라기 초기 (2억년 전)[* 실제로 딜로포사우루스가 이 시간대에 살지 않았고 메갑노사우루스(?) 역시 이 시간대에 살지 않았기에 등장 자체가 또 고증오류이다.] === 배경: [[펜실베이니아]][* [[딜로포사우루스]]와 [[메갑노사우루스]](?)의 경우 애리조나 주에서 공존했다는 증거가 있으며 유일하게 이 시간대에 살았던 [[안키사우루스]]는 불확실하지만 [[코네티컷]] 주에서 [[메갑노사우루스]](?)와 공존한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있다.] * [[딜로포사우루스]] * [[안키사우루스]][* 크기에 오류가 있는데 여기서는 딜로포사우루스와 키가 비슷하게 나오지만, 실제로는 딜로포사우루스보다 작고 코일로피시스와 비슷한 수준이다.] * [[메갑노사우루스]]?[* 본작에 출연한 카옌타카타이 종은 방영 당시에는 신타르수스(''Syntarusus'')로 소개되었고 같은 해에 속명이 메갑노사우루스로 바뀌었으나 이후 [[코일로피시스]]의 일종이 아니냐는 주장이 생겨 한동안 코일로피시스에 통합되었다. 그러나 2020년대 기준 코일로피시스나 메갑노사우루스에 속하는지, 아니면 별개의 종인지에 대하여 결론이 제대로 나지 않아 분류가 불분명한 종이다.] === 쥐라기 말기 (1억 5천만년 전)[* 미국 유타 주에 위치한 공룡국가기념물(Dinosaur National Monument)을 배경으로 하였다.] === 배경: [[유타 주|유타]] * [[알로사우루스]] * [[케라토사우루스]] * [[드리오사우루스]] * [[아파토사우루스]] * [[스테고사우루스]] * [[카마라사우루스]] * [[익룡]][* 생긴 걸 보면 람포린쿠스과다.] === 백악기 말기 (9천만년 전) === 배경: [[뉴멕시코]] * [[노트로니쿠스]] * [[주니케라톱스]] * [[수스키티란누스]][* 사실 이 녀석은 [[티라노사우루스상과]]로 작중에서 나오지는 않지만 사실상 나온 녀석이다. 무슨 말이냐 하면 작중에서 이름이 불분명한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의 공룡들이 나오는데, 이는 한 때에 랩터의 일종으로 분류되던 화석이 배경인 뉴멕시코의 지층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큐의 제작 도중 이 녀석이 랩터가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지만 애니메이션이 거의 완성 단계였기에 그 랩터 모델링들을 버릴 수 없었던 제작진들은 그나마 오류를 포장하기 위해 뜬금없이 이름이 불분명한 코일루로사우루스류를 등장시킨 후 그 공룡들의 화석을 고생물학자가 소개하는 장면을 집어넣었는데 실은 그 화석이 랩터로 착각되었던 화석이었다(...). 그리고 그 화석은 훗날 [[티라노사우루스상과]]의 것으로 밝혀졌고 2019년 5월 6일이 되어서야 [[수스키티란누스]]라는 정식 명칭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 백악기 말기 (6천 5백만년 전)[* 비조류 공룡들의 정확한 멸종 시기는 6천 6백만년전이다. 2013년에 밝혀진 사실이기에 [[시대착오적]] 오류라고 할 수 있다.] === 배경: [[사우스다코타]] * [[티라노사우루스]] * [[트리케라톱스]] * [[오르니토미무스]](?)[* [[헬크릭층]]의 오르니토미무스는 현재 분류상 불분명한 점이 많다고 한다. [[스트루티오미무스]]라는 의견도 있고, 아예 다른 종이라는 의견도 있다.] * [[에드몬토사우루스]][* 방영 당시에는 아나토티탄으로 소개되었다.] * [[케찰코아틀루스]] == 고증 오류 == * 안키사우루스가 메갑노사우루스보다 몸집이 3배나 크게 나오고 딜로포사우루스와 몸집이 비슷하게 나오지만 실제로는 메갑노사우루스와 몸집이 비슷했고 딜로포사우루스보다 훨씬 작았다. * 극 중 딜로포사우루스와 메갑노사우루스가 둘다 케라토사우리아에 속하는 근연 관계라 소개된다. 현재 두 종은 각각 딜로포사우루스과와 코일로피시스과로 근연 관계가 아닌 것으로 분류된다. * 케라토사우루스가 자신이 속한 케라토사우리아중 마지막 종으로 소개되었다. 실제로는 쥐라기부터 백악기까지 번성한 아벨리사우루스상과가 이 분류에 속한다. * 대본 실수일 확률이 높지만 스테고사우루스의 꼬리에 나 있는 골침의 길이가 각각 4인치(10cm)로 나오는데, 실제로는 약 1m에 달한다. * 딜로포사우루스의 볏 뒤쪽이 뿔처럼 삐죽 튀어나와 있는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2020년에 밝혀지길, 이들의 볏 뒤쪽은 따로 드러나는 것이 아닌, 이 부위와 볏을 이어주는 연조직이 존재했다고 한다. * 티라노사우루스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다는 언급이 있으나 현재는 사장된 가설이다. * 데스마토수쿠스가 오늘날의 멧돼지와 비슷한 울음소리를 낸다. 이들이 원시 파충류라는 점은 감안하면 적절치 않은 고증이다. * 이카로사우루스가 최초로 하늘을 날게 된 동물이라 언급하는데, 웨이겔티사우루스과에 속하는 파충류들이 가장 먼저 비행을 하게 되었기에 사실상 잘못된 언급이다.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들이 사냥할 때, 뒷발톱을 이용해 사냥하는 모습을 보인다. 실제 이들의 뒷발톱은 사냥감의 가죽을 찢는 용도가 아닌 오늘날 맹금류처럼 사냥감의 살을 붙잡는 용도였다. * 극 중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시대에 속씨식물이 나오고 백악기 북아메리카에 벼과 식물이 나오지만, 속씨식물은 화석 기록상 백악기 초기 무렵에나 등장하였으며 벼과 식물도 백악기 말기 인도 부근을 중심으로 분포해 있었다. == 여담 == [youtube(Mltyhuh6Fy4?list=PL7yK2FOx9qTo9iYdZaVHa5_KrAQKVWDGW)] 웅장한 배경 음악들이 많은 호평을 받았는데, 따로 음악 음반을 발매하진 않았다고 한다. 대신 [[유튜브]]에 공식 OST 모음집이 존재한다.[* 작곡가의 이름은 크리스토퍼 프랭크(Christopher Franke).] 결말부에 [[티라노사우루스]]의 두개골 주변에 속씨식물이 피어있고 [[푸르가토리우스]]가 뼈 주변을 들락거리는데 이 장면은 CG가 아니다. 푸르가토리우스 역을 맡은 동물은 [[주머니쥐]].[* 정확히 말하자면 버지니아주머니쥐. 주머니쥐 중 유일하게 북아메리카에 사는 종이다.] 이 다큐에 등장한 일부 공룡들의 효과음은 이후 후속작인 [[공룡혹성|Dinosaur Planet]]에서 재사용되었다. [[한반도의 공룡]]의 [[친타오사우루스(한반도의 공룡 시리즈)|친타오사우루스]]도 이 다큐에 나온 [[스테고사우루스]]의 효과음을 사용한다. 그리고 에드몬토사우루스와 랩터, 케찰코아틀루스의 모델링은 같은 방송사의 다큐인 Valley of the T. rex에서 재활용한다. [[분류: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분류:디스커버리 채널]][[분류:공룡 다큐멘터리]][[분류:공룡을 소재로 한 영화]][[분류:2001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