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연방 행정부)] [[파일:미국 에너지부 휘장.svg|width=25%&align=center]] || {{{+1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 [목차] == 소개 == '''미합중국 에너지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DoE) 또는 '''미합중국 동력부'''는 [[미국]]의 [[국가행정조직]]으로, 미국내 [[에너지]]에 대한 업무와 더불어 원자력 안보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 한국에 과거 존속했던 [[동력자원부]](1977 ~ 1993)와 유사하며, 미국 이외의 기능별 국가행정조직에서는 [[상공부]] 또는 [[자원부]]의 부속기관에 대응한다. 현재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및 자원 부문과[[원자력안전위원회]]의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일단 기구 자체는 1977년에 [[지미 카터]] 대통령에 의해 세워졌으나, 사실 전신은 [[맨해튼 계획]] 이후 원자력 업무를 담당한 원자력 규제 위원회(Atomic Energy Commision)이다. 이 AEC가 나중에 원자력 규제 위원회가 되었는데, [[오일 쇼크]]가 닥치자 1977년 당시 지미 카터 대통령은 The Department of Energy Organization Act of 1977이란 법을 제정하여 에너지부를 만들게 된다. == 핵무기 == 전신이 전신인 만큼 에너지부의 업무중엔 미국 [[핵무기]]의 관할 및 군사용 [[원자로]] 제작이 있다. [[미군]]이 굴리는 모든 핵무기와 원자로는 에너지부 소유로, 미군은 에너지부의 재산을 빌려다가 쓰는 것이다. 물론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도 다 에너지부 소관이다. 정확하겐 에너지부 산하의 [[NNSA]] 소관. 이런 핵무기 연구를 위해서 에너지부는 아래에서도 설명하고 있는 수 많은 국립 연구소 네트워크를 굴리고 있다. 보통 미국의 핵무기는 [[로스 앨러모스|로스 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에서 설계/개발하고, 샌디아 국립연구소에서 이와 관련된 엔지니어링을, 주요 부품은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오크리지 연구소 근처에 위치한 Y-12 핵무기 공장, 캔자스 시티 플랜트에서 제작한후 실험은 [[네바다 핵실험장]]에서 한후 Pantex 공장에서 조립하여 실전에 들어가게 된다. 관련 정보는 [[국가정보장실|ODNI]]의 정보공동체 소속 기관이자 에너지부 산하 정보기관인 에너지부정보실([[OICI]])에서 다룬다. == 국립연구소 == 위에서도 말했듯이 에너지부는 산하에 [[연구소]]를 두고있으며, 핵무기 연구뿐만 아니라 여러 과학 연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당연하게 예산은 NNSA쪽이 엄청나게 많다~~ 현재 17개의 국립연구소가 있으며 에너지부의 일뿐만 아니라 여러 과학 분야에 관심을 쏟고 있다. 당연히 해당 시설을 사용하거나 해당 기관 채용 시 상당한 수준의 신분 검증이 이루어진다.[* 미국 안보의 핵심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서에는 미국 [[시민권]]이 필수로 요구된다.] 한국의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고급화된 개념이라 볼 수 있다. 한국과 비교하자면, 연구 역량과 규모 면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 미국의 국립연구소는 건물 수준이 아니라 도시 하나가 '''통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많은 경우 실제로 직접 핵무기를 만들던 또는 만드는 곳들이다.] 일단 전쟁 중 국가의 존명을 건 --[[GG]]를 받아내기 위한-- [[맨해튼 계획|작전]]을 위해 [[천조국]]의 과학기술력을 갈아 넣은 기관들이며, 따라서 거의 모든 기관이 핵 연구에 관련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위엄은 [[주기율표]]의 아래쪽 [[원소]]들 이름들[* [[과학사]] 및 미국 지리 공부에 도움이 된다.]만 잘 읊어봐도 대략 느낄 수 있다. 현재는 기관별로 연구분야가 세분화되어 있는 한국 정출연들과 달리 미국 국립연구소는 각기 광범위하며 복합적인 분야를 연구한다.[* 아래 리스트 중 입자 가속기 연구소나 NNSA 산하 연구소는 여전히 핵 분야에 주력한다.] 이 연방 국립 연구소들에서 많은 [[https://science.osti.gov/About/Honors-and-Awards/DOE-Nobel-Laureates|노벨상 수상자]]들을 배출해냈다. 이들 국립연구소 중 [[아르곤 국립 연구소]]는 영화 '[[체인리액션]]'에 등장하는데, 영화 안에서 시설이 [[개발살]]난다.[* ~~국민들의 세금이 증발한 것과 더불어~~ 과학 발전이 지체되었습니다 + 그게 자랑이라고 연구소 홈페이지에 실어놨다.] 그리고 국립 연구소가 중요한 밥줄인 도시도 몇군데 된다. [[로스 앨러모스]][* [[뉴멕시코]] [[앨버커키]] 근처]라든가 오크리지[* [[테네시]] [[녹스빌]] 근처]가 대표적으로, 상기된 [[맨해튼 계획]]과 같은 비밀 프로젝트를 위한 연구소를 짓고 거기에 참여하는 연구원들을 --부려먹으--거주시키려고 만든 [[비밀도시|도시]]들이다.[* 그래서 덩치가 도시급인데 오크리지 캠퍼스 하나만 해도 140㎢ ([[성남시]] 면적)이고 연구소 건물 부지만 해도 약 40㎢ ([[광명시]]보다 크고 [[오산시]]보다 살짝 작음)가 된다.][* 근처 도시 주민들도 이 비밀도시들이 뭘하는 곳이었는지 원폭 이후에야 알았다. [[https://www.knoxnews.com/story/life/2017/04/20/papers-pixels-war-rations-come-town-knoxville-1940s/100573512/|기사]]] [[로스 앨러모스]] 연구소에서 [[우라늄]]탄 [[리틀 보이]][* [[히로시마]]에 투하]와 [[플루토늄]]탄 [[팻 맨]][* [[나가사키]]에 투하]을 설계하였고, 오크리지에서 농축된 우라늄이 전자에, 핸포드 사이트[* 현재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 연구소가 위치해 있다.]에서 농축된 플루토늄이 후자에 들어갔다. 오크리지 사이트가 점점 확장되면서 [[녹스빌]] 도시권에 너무 근접하게 되어 주민들의 안전 문제가 제기되면서,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오펜하이머]]의 추천 하에 플루토늄탄 연구는 도시권에서 더 떨어진 [[로스 앨러모스]]에서 진행하였다 ([[https://www.nationalww2museum.org/war/articles/making-public-what-was-once-secret-los-alamos-and-manhattan-project|해당 기사]]).[* 실제로 오크리지는 녹스빌에서 차로 30분, 로스 앨러모스는 앨버커키에서 차로 2시간 정도 거리에 있다.] === 국립연구소 목록 === [[파일:doe-laboratories-map.jpg]] [[https://www.energy.gov/science/science-innovation/office-science-national-laboratories|자세한 연구소 리스트와 위치]]는 다음과 같다. * Office of Science 산하 * '''에임스 연구소 (Ames National Laboratory)''' [[아이오와 주립대]]에서 운영하며, 맨해튼 프로젝트의 일부로 순수한 [[우라늄]]을 확보하려는 목적의 "에임스 프로젝트"를 모태로 만들어진 연구소다. 현재는 각종 국가 안보 관련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재료, 에너지원, 환경 기술 등을 연구한다. 2022년부로 Ames Laboratory에서 Ames "National" Laboratory로 공식명칭이 바뀌었다. * '''[[아르곤 국립 연구소|아르곤 연구소]] (Argonne National Laboratory)''' [[시카고 대학]]에서 운영하며 기초과학, 환경과학 등을 주력으로 연구한다. 시카고 대학은 몰론 [[노스웨스턴 대학교]], [[UIC]], [[UIUC]] 등과 같은 [[일리노이]]주의 주요 대학들과 공동 연구를 많이 진행한다. * '''브룩헤이븐 연구소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롱아일랜드]]에 위치한 연구소로 과거 미군 기지였다. 현재는 [[스토니브룩 대학교]] 운영 하에 핵에너지와 환경 기술 등을 주력으로 연구한다. [[뉴욕]] 및 [[뉴잉글랜드]] 지역의 유일한 종합[* [[입자가속기]] 연구소는 주로 관련 연구에 집중한다.] 국가 연구소이다. *''' [[페르미랩|페르미 입자가속기 연구소]] (Fermi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입자가속기]]의 일종인 [[사이클로트론]]를 발명한 [[어니스트 로렌스]] 교수가 주도하여 만든 버클리 방사선 연구소가 전신이며 그의 이름을 땄다. [[UC 버클리]]에서 운영하며 샌프란시스코만을 바라보는 언덕 위에 위치한다. 광학, 유전학, 나노과학, 컴퓨터과학, 에너지를 연구한다. 당연히 UC 버클리를 필두로 [[UCSF]], [[UC 데이비스]], [[스탠퍼드 대학]]을 비롯한 Bay Area 지역 대학과의 공동연구가 많다. 원소 [[아스타틴]], [[넵투늄]], [[플루토늄]], [[퀴륨]], [[아메리슘]], [[버클륨]], [[캘리포늄]], [[아인슈타이늄]], [[페르뮴]], [[멘델레븀]], [[노벨륨]], [[로렌슘]], [[러더포듐]], [[더브늄]], [[시보귬]], [[오가네손]], [[테크네튬]]을 발견하거나 이에 관여한 곳이다.[* 사이클로트론 자체가 이런 연구를 위한 장비라고 봐도 된다.] * '''오크리지 연구소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맨해튼 계획]] 본부가 있었으며 최대 규모의 종합연구소다.[* 따라서 [[애팔래치아 산맥]]의 [[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 산골짜기에 꼭꼭 숨겨놓았던 연구소다.] 현재는 재료, 신소재, 에너지, 고성능 컴퓨팅, 원자력, 중성자 과학 등을 주력으로 연구한다. 주로 남부 명문대인 [[밴더빌트 대학교]], [[조지아공대]], [[버지니아 공대]], [[테네시 대학교]], [[듀크 대학교]] 등과의 공동연구가 많다. 원소 [[테네신]], [[프로메튬]], [[모스코븀]]을 발견하거나 이에 관여한 곳이다. 2018년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https://www.yna.co.kr/view/AKR20180514046200014|북한의 모든 핵무기를 폐기하여 가져오겠다]]고 했던 장소로써, 실제로 과거 [[카자흐스탄]]과 [[리비아]]의 비핵화 작업(리비아식 모델)을 주도한 곳이다. [[3D 프린터]]로 [[원자로]] 노심을 최초로 인쇄하기도 했다. 근처엔 핵무기 부품이나 동위원소를 생산하는 Y-12 플랜트가 있다. 최근 ^^238^^[[플루토늄|Pu]]가 다 떨어진 마당이라, 오크리지 연구소에서 [[핵연료 재처리]]를 통해 다시 ^^238^^Pu를 생산하고 있다.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도 서밋 및 2023년 기준 세계 최고성능이자 최초의 엑사스케일 [[Frontier|프론티어]] 슈퍼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다. * '''퍼시픽 노스웨스트 연구소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과거 맨해튼 계획의 일원이었던 핸포드 사이트였다. 현재는 화학, 지구과학, 데이터 분석 등을 주력으로 한다. 북서부권의 유일한 종합 국가 연구소다. * '''프린스턴 플라즈마 물리 연구소 (Princeton Plasma Physics Laboratory)''' * '''슬랙 (SLAC) 입자가속기 연구소 (S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원래 이름은 Stanford Linear Accelerator Center (SLAC)였다. * '''토마스 제퍼슨 입자가속기 연구소 (Thomas Jefferson National Accelerator Facility)''' * 기타 DOE 산하 * '''아이다호 연구소 (Idaho National Laboratory)''' 최초의 [[핵잠수함]]의 연료 기술이 개발되었다. * '''에너지 기술 연구소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1900년대의 [[피츠버그]]에 석탄 기술연구소가 전신으로서 [[웨스트 버지니아]]와 [[오레곤]]에도 연구소를 두고 있다. 현재는 탄소 에너지 효율 증대, 탄소 고정, 화석연료 등을 연구한다. *''' 재생에너지 연구소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풍력, 태양광, 수소, 바이오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에 집중하는 연구소로 [[지미 카터]] 정권 때 태양광 에너지 연구소(Solar Energy Research Institute)로 설립됐었다. * '''사바나 리버 연구소 (Savannah River National Laboratory)''' * NNSA[* 핵무기 기술 이라던가 국가 안보기술을 주로 연구한다.] 산하 * '''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otory)''' 원소 [[리버모륨]], [[플레로븀]], [[모스코븀]]을 발견하거나 이에 관여한 곳이다. * '''[[로스 앨러모스]] 연구소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핵무기 설계 및 연구 시설이 몰려 있다. 맨해튼 계획 중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소장으로 있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이론 물리학자들의 연구 동이었다. * '''샌디아 연구소 (Sandia National Laboratory)''' 맨해튼 프로젝트 중 원자폭탄에 들어갈 전자회로나 기폭장치 등을 만들기 위해 "Z 부서"라는 명칭으로 1945년에 설립됐다. [[앨버커키]] 커틀랜드 [[미 공군]] 기지 내부에 본부가 있고 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 옆에 분원이 위치해 있다. 따라서 정식명칭은 Sandia National Laborator"ies"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에너지부, version=50, paragraph=3)] === 역대 장관 === || 대수 || 이름 || 재임기간 || [[분류:미국의 국가행정조직]][[분류: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