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f24, #ed1f24)" '''{{{#FFFFFF 미국의 사회주의 정당}}}'''}}} || ||<|4> '''창당''' ||<|4> {{{+1 →}}} ||<|4><#8D342E> {{{#FFFFFF '''사회당'''}}} ||<|4> {{{+1 →}}} || [[미합중국 사회당|사회당]] || || 사회민주당 || || [[미국 공산당|공산당]] || || 민주사회주의 조직위 || ||<-2>
[[파일:180px-Socialist_Party_of_America_-_Logo.gif|width=200]] [* 보면 알겠지만 현재 미국 사회당의 로고는 여기에 색을 입히고 오른쪽의 손을 검게 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2><#8D342E> {{{#white '''Socialist Party of America'''}}} || || '''슬로건''' ||'''WORKERS OF THE WORLD UNITE[br][[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 '''창당일''' ||[[1901년]] [[7월 29일]] || || '''해산일''' ||[[1972년]] [[12월 31일]] {{{-2 (미국 사회민주당으로 재창당)}}} || || '''후속 정당''' ||미국 사회민주당 {{{-2 (재창당)}}}[br][[미합중국 사회당]] {{{-2 (당내 좌파)}}} || || '''이념''' ||[[사회주의]][br][[진보주의]][br][[생디칼리슴|더리온주의]] || || '''의장''' ||[[베이어드 러스틴]] {{{-2 (해체 당시)}}} || || '''상원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f24 0%, #ddd 0%)" '''0석 / 100석 (0.0%)'''}}} || || '''하원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f24 0%, #ddd 0%)" '''0석 / 435석 (0.0%)'''}}} || || '''주지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f24 0%, #ddd 0%)" '''0석 / 50석 (0.0%)'''}}} || || '''당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4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8D342E; font-size: .9em" {{{#ffffff 적갈색 (#8D342E, Brown Red)}}}}}} || || '''국제조직''' ||제2인터내셔널[br]노동과 사회주의 인터내셔널[br][[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목차] [clearfix] == 개요 == 1901년 설립된 [[미국]]의 사회주의 정당, 1901년부터 1972년까지 존속했다. 현재의 [[미합중국 사회당]]은 이 당의 후신 정당이며 1972년에 사회민주당으로 당명을 개정했다. == 상세 == 미국 사상 가장 최대 크기의 사회주의 정당이었다. 사회주의 정당인 만큼 주 지지층은 노동계층. 전신은 다니엘 드 레온[* 훗날 미국내 주류 사회주의로 떠오르는 드레온주의의 창시자. [[생디칼리슴]] 이념을 지녔으나 정작 본인은 아나키스트들에 대해 부정적이었다.]이 세운 미국 사회민주당으로, 이후 풀먼 파업등으로 인지도가 올라간 유진 V. 데브스가 당수직에 오르게된다. 1919년에 [[러시아 혁명]]이 터지자 당 내의 공산주의자들이 따로 [[미국 공산당]]으로 갈라져 나가고 온건사회주의 내지 민주사회주의 경향을 띄게 되었다. 1956년을 마지막으로 후보를 내놓지 않았고 사회민주주의 경향성의 영향으로 1972년 미국 사회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 이에 반발한 이들이 [[미합중국 사회당]]을 창당해 기존 사회당을 이었다. 후에 해당 사회당은 해산한다. [[업튼 싱클레어]][* 후에 민주당으로 당적 변경.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흑색선전으로 인해 낙선.]와 [[헬렌 켈러]]가 이 당의 당원이었다. == 역대 대통령 후보 == * 1900년 [[유진 데브스]] * 1904년 유진 데브스 * 1908년 유진 데브스 * 1912년 유진 데브스 * 1916년 앨런 L. 벤슨 * 1920년 유진 데브스 * 1924년 [[로버트 M. 라폴레트]][* [[위스콘신]]을 홈스테이트로 삼은 전 공화당원으로, 24년도에는 진보당이라는 제3당 후보로 출마했다. 미국 내에 [[진보주의]]를 뿌리내리기 위해서 사회당은 대선에서 그를 지지했다.] * 1928년 [[노먼 토머스]] * 1932년 노먼 토머스 * 1936년 노먼 토머스 * 1940년 노먼 토머스 * 1944년 노먼 토머스 * 1948년 노먼 토머스 * 1952년 달링턴 후브스 * 1956년 달링턴 후브스 보면 알겠지만 [[유진 데브스]]와 노먼 토머스가 꽤나 오랫동안 출마했다. == 역대 부통령 후보 == * 1900년 잡 해리먼[* Job Harriman] * 1904년 벤저민 핸포드 * 1908년 벤저민 핸포드 * 1912년 에밀 세이델 * 1916년 조지 R. 커크패트릭 * 1920년 시모어 스테드먼 * 1924년 버튼 K. 휠러[* 진보당 후보 지지선언, [[제 2차 세계대전]] 불간섭주의자이면서 동시에 좌파인 사람인데 [[The Plot Against America]]에서는 불간섭주의자라는 이유로 [[반유대주의]]자인 [[찰스 린드버그]]의 부통령으로 등장한다(...).] * 1928년 제임스 A. 마우러 * 1932년 제임스 A. 마우러 * 1936년 조지 A. 넬슨[* [[농부]]이자 [[노동조합]] 지도자.] * 1940년 메이너드 C. 크루거 * 1944년 달링턴 후브스 * 1948년 터커 P. 스미스 * 1952년 새뮤얼 H. 프리드먼 * 1956년 새뮤얼 H. 프리드먼 == 관련 문서 == * [[미국/정치]] * [[미국의 사회주의]] * [[미국의 진보주의]] == 둘러보기 == [include(틀:미국 사회주의 관련 문서)] [include(틀:미국의 주요 정당)] [[분류:민주사회주의 정당]][[분류:미국의 없어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 [[분류:1901년 정당]][[분류:1972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