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기갑병기 설계안)] [목차] == 개요 == '''미국 기갑병기 설계안'''은 [[미국]]에서 개발된 기갑병기에 부여되는 코드번호와 코드번호가 부여된 차량들을 정리한다. Light Tank는 [[경전차]], Medium Tank는 [[중형전차]], Heavy Tank는 [[중전차]], Super Heavy Tank는 [[초중전차]], Combat Car는 전투 차량, [[GMC]]는 [[대전차 자주포]]와 자주[[평사포]], SPG는 자주평사포, [[HMC]]와 SPH는 자주[[곡사포]]로 번역한다. == T/XM 시리즈 == T 시리즈란 [[미국]]에서 개발된 기갑병기들의 '''프로토타입'''에 부여되는 코드번호와 코드번호가 부여된 차량들을 정리한다. 어느 시점인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T시리즈에서 '''XM'''으로 시제 명칭이 바뀌었다. === 목록 === * T1 전투 차량: [[M1931 크리스티]][* [[크리스티 현가장치]]를 처음 시험한 [[크리스티 M1928]]에 기반을 두고 37mm포에 360도 회전하는 포탑을 올린 전차이다. M1931 크리스티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조; [[http://www.tanks.net/interwar-tanks/m1931-christie.html|영어 번역 필요.]]] 를 미국 기병대에서 일컫는 말. [[켄터키]] 주 포트 녹스(Fort Knox, Kentucky) 기병대에 지급된 4대의 T3 중형전차다. 법률상 보병대만 전차를 소유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투 차량'이라고 불렀다고. 37mm 포 대신 [[M2 브라우닝 중기관총|0.50인치 M2 기관총]]을 탑재. [[http://www.wardrawings.be/WW2/Files/1-Vehicles/Allies/1-USA/02-MediumTanks/Christie/Data/T1.htm|제원(영어)]] * [[T1 경전차]]: 커닝햄사에서 제작한 경전차. * T1E1: M1 경전차의 프로토타입. 몇 달 후 취소되었다. * T1E2 * T1E3 * T1E4 * T1E5 * T1E6 * T1 중형전차: M1 중형전차의 시제 차량. 패커드 사의 엔진을 사용. * T1E1: 리버티 V12 엔진을 사용. * [[T1 전차|T1 중전차]]: [[M6 전차]]의 프로토타입. * T1E1: M6 중전차 제작 후, 전자식 변속기와 90mm T7 전차포를 시험한 차량. * [[T2 전차#s-4.1|T1 자주곡사포]]: T2 중형전차의 차체로 개발한 자주포. * T2 전투 차량: T1 전투 차량의 수정된 버전. 탱크의 형식을 버리고 핸들을 뒤로 옮긴 [[하프트랙]]으로 바꿨다.[* [[https://www.aviarmor.net/tww2/armored_cars/usa/combat_t2.htm|참조 및 노어 번역 필요.]]] * T2E1: T2 전투 차량에 공기 냉각 [[7기통]] 12-670 엔진을 장착. * T2 경전차 * T2E1 : M2 경전차의 시제 차량. * [[T2 전차|T2 중형전차]]: * T3 중형전차: T3 Convertible Medium Tank. [[M1931 크리스티]]를 미국 보병대에서 일컫는 말. 전부 7대 제작되었다. * [[T4 전투 차량]] [[https://www.aviarmor.net/tww2/tanks/usa/medium_m1.htm|참조 및 노어 번역 필요.]] * [[T4 전차|T4 중형전차]]: T4 Convertible Medium Tank. [[http://www.historyofwar.org/articles/weapons_medium_tank_T4_M1.html|참조 및 영어 번역 필요.]] T4 전투 차량의 발전형. * [[M2 전차|T5 중형전차]]: T5 Convertible Medium Tank. [[M2 전차]]의 시제 차량. * [[M4 셔먼|T6 중형전차]]: T6 Convertible Medium Tank. [[M4 셔먼]]의 시제 차량. * [[T7 전투 차량]]: * [[T7 / M7|T7 중형전차]]: * [[M22 로커스트|T9 경전차]]: [[M22 로커스트]]의 시제 차량. * [[T14|T14 중전차]]: * [[스튜어트 전차|T18 자주곡사포]]: M3 스튜어트에 75mm 곡사포를 탑재. * [[T20|T20 중형전차]]: [[M4 셔먼]]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T20#s-3.2|T21 경전차]] : [[T20]]을 기반으로 한 [[경전차]] 모델. * [[T20#s-3.3|T22 중형전차]] * [[T20#s-3.4|T23 중형전차]] * [[T20#s-3.5|T25 중형전차 / 대전차 자주포]] * [[T20#s-3.6|T26 중전차]] * T26E1 : 1944년 2~5월에 운용한 M26 퍼싱의 프로토타입 * T26E2: M45 중전차, T26E1의 차체에 105mm 곡사포를 탑재. * T26E3: 실전배치한 [[M26 퍼싱]] * T26E4: 슈퍼 퍼싱, T26에 추가장갑을 덧붙여 제작하였다. * T26E5: 점보 퍼싱, 점보 셔먼의 후계종으로 T26을 기반으로 장갑을 두껍게 제작하였다. * [[T28|T28 초중전차]] : 미국의 초중전차 계획. * [[T29|T29 중전차]] * T29E1: 월탱에 나오는 스톡 포탑 생각하면 된다. * T29E3: 양안합치식 거리측정기와 약간 개량한 주포를 탑재한 버전. * [[T30|T30 중전차]]: T29 중전차에 155mm 주포를 장착. * T30E1: 개량된 155mm T7E1 주포와 자동장전장치가 도입된 바리에이션. * T30 자주곡사포: [[M3 하프트랙]]을 기반으로 한 자주포. * [[T32|T32 중전차]]: M26 퍼싱과 T26E5 점보 퍼싱을 참고로 재설계하여 제작한 중전차. * T32E1: 약점부위인 차체 전면기관총 제거 버전. * [[T34|T34 중전차]]: T29에 120mm 주포를 장착. * T37 경전차: M24 채피를 대체할 차기 경전차 계획. * [[T40#s-2|T40 중형전차]]: [[M26 퍼싱]]의 발전형 주행시험용 차량. [[M46 패튼]]이 채용되면서 사라진 중형전차. * [[T40#s-1|T40 대전차 자주포]]: [[M3 리]]를 기반으로한 [[대전차 자주포]], 제식명칭은 M9이다. * T41 경전차: T37 경전차 계획의 발전. T41 경전차와 T42 중형전차, T43 중전차는 같은 시기에 설계되었다. * T41E1: [[M41 워커 불독]] * [[T42|T42 중형전차]]: 포탑은 M47 패튼의 개발에, 차체는 T69에서 쓰인다. * [[T49 GMC|T42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의 프로토타입 전차들인 T49 / T67 대전차 자주포들의 초기형태인 대전차 자주포이다. * T43 중전차: [[M103 전차]]의 프로토타입. * T43E1 * [[T49 경전차]]: [[M41 워커 불독]]의 포탑을 늘리고 90mm주포를 장착한 전차. * [[T49 GMC|T49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의 프로토타입 중 하나. * [[T54|T54 중형전차]]: 요동포탑과 자동장전기를 탑재한 중형전차. * T54E1: [[T54]]의 주포가 T140에서 T140E2로 변경되었다. * T54E2: [[T54]]의 차체에 일반포탑과 T140E3주포 수동식으로 변경되었다. * [[스튜어트 전차|T56 자주평사포]]: M3A3 스튜어트의 차체에 3인치 평사포를 장착한 자주포. * [[T57|T57 중전차]]: [[M103 전차]]의 차체에 요동포탑과 120mm 오토로더 주포를 탑재. * T58 중전차: [[M103 전차]]의 차체에 요동포탑과 155mm 오토로더 주포를 탑재. * [[T49 GMC|T67 대전차 자주포]]: T49 대전차 자주포의 발전형, [[M18 헬캣]]의 프로토타입 중 하나. * [[T69|T69 중형전차]]: T42 중형전차의 차체에 요동 포탑과 자동 장전기를 탑재한 중형전차다. * [[M18 헬캣|T70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 * [[T71 경전차]]: [[M41 워커 불독]]을 대체하기위해 설계된 경/공수전차. * T71E1 * [[M36 잭슨|T71 대전차 자주포]] * T71E1: [[M36 잭슨]]의 프로토타입. * [[T77]]: T57포탑과 자동장전장치, T48차체를 합친 중형전차 * T78 : [[M24 채피]]의 시제기인 T24의 차체에 [[M36 잭슨]]의 포탑과 90mm 주포를 탑재한 대전차 자주포 계획. * [[스튜어트 전차|T82 자주곡사포]]: M5A1의 차체에 105mm 곡사포를 탑재. 정글전 전용으로 설계한 계획. * [[T92 경전차]]: [[M41 워커 불독]]을 대체하기위해 설계된 경/공수전차. * [[T92 자주포|T92 자주곡사포]]: 240mm [[M1 블랙드래곤 곡사포]]를 탑재한 자주포. * T93 자주곡사포: T92 자주포의 차체에 203mm(8인치) M1 곡사포를 탑재한 자주포. * T94 박격포: [[M40/M43]]의 차체에 250mm/254mm/10-in급의 박격포를 탑재. * [[T95|T95 중형전차]] * [[T95#s-2.1|T95E1~12]] * [[T28|T95 자주평사포]]: [[T28]] 개발중 바뀐 이름. 초중전차가 아니라 자주포로 봐야 한다는 법률 때문. * [[T99|T99 중전차]] * [[T110|T110 중전차]] * --T110E3--: 다섯 번째 T110 계획안. 고정 전투실과 120mm 주포를 장착하였다. * --T110E5--: 여섯 번째 T110 계획안. 회전 포탑이 생기고 탄약수가 하나 줄었다. == M 시리즈 == M 시리즈란 [[미국]]에서 개발된 '''제식채용'''한 기갑병기에 부여되는 코드번호와 코드번호가 부여된 차량들을 정리한다. 제식 채용했다고 전부 대량생산한 것은 아니다. === 목록 === 편의상 후에 붙은 별칭은 " "(큰따옴표) 안에 적는다. * [[T1 경전차|M1 경전차]] * [[M1 전차|M1 중형전차]]: M1921과 그 형태가 유사하다. 1927년 5월에 테스트를 통과해 제식 채용되었으나, [[미국 전쟁부]]는 1932년까지 실전이 아닌 테스트용으로만 썼다. * [[M1 전투 차량]] * [[M1 에이브람스|M1 주력 전차 "에이브람스"]]: 105mm M68A1 강선포가 장착된 기본 모델. * IPM1: 포탑 전면 장갑이 강화되었으며 서스펜선 및 스커트를 개선, 탄약 적재량이 증가하였고, 후방 기동륜이 교체되었다. * M1A1: 주포가 M256 120mm 활강포로 교체되었고 핵전쟁 상황을 상정한 화생방 방호장치가 탑재, IPM1의 '롱 터렛'을 장착, 서스펜션 개선, 탄약 저장실과 연료통 부분의 분리 기능, 고장 감시 시스템 탑재, 그리고 SINGCARS(Single Channel Ground and Airborne Radio System) 무선 시스템이 탑재된 모델. * M1A1HA: 기존의 복합장갑을 열화우라늄을 사용한 복합장갑으로 대체한 모델. * M1A1HC: 2세대 열화우라늄 복합장갑, 디지털 엔진 컨트롤 기능 및 기타 전자 장비들을 개선한 모델. 해병전차 사양은 수중도하가 가능하다. * M1A1D: 지휘통제 시스템을 디지털화한 모델. * M1A1AIM: 전방 감시 적외선 장치(FLIR), 50구경 기관총용 열감지 조준경 장착 등의 전자장비를 대대적인 개량한 모델. * M1A1SA: 위의 M1A1AIM에서 기존의 2세대 복합장갑을 3세대 열화우라늄 복합장갑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 외의 소소한 개량이 이루어진 모델. * M1A2: 벨리아머를 추가하여 하부 장갑이 강화되었으며, 조종수용 열영상 장비(DTV), 차내 정보 시스템(IVIS), 전차장용 열영상 장비(CITV), 관성항법장치(POSNAV), 각 승무원용 디스플레이 장착, 그리고 전차장의 무기 통제 시스템 등 많은 부분이 추가된 모델. * M1A2 SEP: 미 육군의 디지털 전투 시스템에 맞춘 개량형. * M1A2 SEPv2: 기존 SEP보다 CPU 등의 전자장비들이 개선되었으며, 덕분에 장비의 명령 처리속도와 용량이 늘어서 네트워크 사용이 더 수월해진 모델. * M1A2 SEPv3(M1A2C): 기존에 ECP-1 업그레이드라고 알려져 있었던 버전으로 합동 전술 무전 장비 (Joint Tactical Radio System), AN/VLQ-12 원격 조종식 사제 폭발물 대응 전자전 장비 버전 등이 개량되었다. * M1A2 SEPv4(M1A2D): M1A3 프로젝트 취소로 인한 공백을 메우기 위한 개량형으로 목표물 자동 추적 장치, 기상 센서 (Meteological sensor) 등이 개량. * M1A3: 신형 120mm 44구경장 XM360E1 저반동 활강포와 자동장전장치를 탑재한 바리에이션이었지만 실제로 생산되지는 않았다. * M1 TTB: 무인 포탑 실험 차량. * M1 CATTB/"Thumper": 140mm 활강포와 자동장전장치, 중장갑을 얹은 차량. * M1 "Grizzly": M1ABV가 나오기 전에 기존의 노후화 된 M728 CEV를 대체할 모델로 개발되었으나 럼스펠트 국방장관에 의해 배치할 계획이 취소되었다. 이후 M1ABV가 개발되어 미군에 도입되었다. * M1ABV(M1150): 지뢰제거전차가 나오기 전 노후된 M728 CEV를 대체할 모델. * [[M2 경전차]] * [[M2 전차|M2 중형전차]] * [[M2 브래들리|M2 보병전투차 "브래들리"]] * [[M3 리|M3 중형전차]] * [[스튜어트 전차|M3 경전차]] * M3s * M3A1 * M3A1s * M3A3 * [[M3 브래들리|M3 기병전투차]] * [[M4 셔먼|M4 중형전차]] * [[M4A1]]: [[M4 셔먼]]의 차체가 주조식차체, 둥글둥글한 형태 * [[M4A2]]: [[M4 셔먼]]의 차체가 용접식, 디젤엔진 2개를 연결 * [[M4A3]]: [[M4 셔먼]]의 최대양산형,M4A2 셔먼의 엔진 교체. * M4A3E2 "점보 셔먼": [[M4 셔먼]]을 기반으로 차체장갑을 늘렸다. * M4A3E4: [[M4 셔먼]]의 75mm 장착형 포탑에 76mm 포를 장착 * M4A3E8 "이지에잇": [[M4 셔먼]]의 현가 장치를 HVSS로 개선하고 주포를 76mm로 교체 * [[M4A4]]: M4에 크라이슬러 A57 멀티뱅크 엔진을 장착 및 차체연장 * M4A4E9: 보병지원용으로 M4A4 차체에 HVSS 현가장치와 105mm M2 곡사포를 장착한 모델. * M4A6 * M4 지휘통제차: M113 기반의 지휘통제차 M577을 대체하기 위해 MLRS 차대로 개발된 차량. * [[스튜어트 전차|M5 경전차 "스튜어트 VI"]] * M5A1 "스튜어트 VII" * [[M6 전차|M6 중전차]] * M6A1 * M6A2E1: T29 포탑을 시험하기 위해 T1E1 중전차에서 개량. * M6 야전방공차 '라인배커': 브래들리 보병전투차에서 TOW를 스팅어 지대공 미사일로 바꾼 야전방공차. * [[M6 스태그하운드|M6]] * [[T7 / M7|M7 중형전차]] * [[M7 프리스트|M7 자주곡사포]] * M7 화력지원차: M113 기반의 M981 FIST-V를 대체하기 위해 만든 차량. 브래들리의 TOW 무장창이 전용 관측장비로 대체된 것이 식별포인트. * [[M8 스콧|M8 "스콧"]]: M5 스튜어트의 차체에 75mm 단포신 곡사포를 탑재. * M8A1 GMC: M8 스콧에 75mm M3 대전차포 탑재 * [[M8 뷰포드|M8 "뷰포드"]] * [[M8 그레이하운드|M8]] * [[M8 그레이하운드|M20 유틸리티 카]] * [[M8 그레이하운드|T18E2 "보어하운드"]] * [[T40|M9 대전차 자주포]] * [[M9 ACE|M9 장갑 전투 불도저 "ACE"]] * [[M10 GMC|M10 대전차 자주포]] * [[M12 GMC|M12 자주평사포]] * [[M18 헬캣|M18 대전차 자주포 "헬캣"]] * [[M18 핼캣|슈퍼 핼캣(프로토타입)]] * [[M18 핼캣|블랙캣]] * [[M22 로커스트|M22 경전차 "로커스트"]]: 경/공수전차. * [[M24 채피|M24 경전차]] * [[M26 퍼싱|M26 중전차/중형전차 "퍼싱"]]: [[T20]] 설계안의 파생형 중에 하나로 T25와 동시에 진행된 프로젝트로 T25의 장갑강화형으로 기획되었다. 개발이 진행되는 중 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전선수요가 발생하게 되었고, T25를 대신하여 장갑이 강화된 T26E1을 T26E3으로 표준화하고 M26으로 채택하여 1944년 9월 병기국에서 분류를 중전차[* 중형전차로 운용 중인 M4 셔먼 계열과의 구분을 목적으로 함.]로 변경하여 생산하고 실전에 투입되었다. 이후 종전 후인 1946년 7월에 중형전차로 재분류되었고 6.25 전쟁 등에도 참전하였으며 프랑스, 벨기에 등의 우방국에도 공여되었다. * M31 구난전차: M3 리의 주포와 부포를 가짜 포로 교체하고 크레인을 단 구난전차. * M33 트랙터: M3 리의 포탑을 떼고 강력한 윈치를 장착한 대포 견인용 트랙터. * M35 2½톤 트럭 * [[M36 잭슨|M36 대전차 자주포 "잭슨"]] * [[M37 HMC|M37 자주곡사포]] * [[M40/M43|M40 자주평사포]]: M4A3E8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된 155mm 주포를 탑재한 자주포 * [[M41 워커 불독|M41 경전차 "워커 불독"]] * M41A1: 유압식 포탑을 전기식으로 대체, 시스템 개선을 통해 76.2mm 주포탄 탑재량을 57발에서 65발로 증가. * M41A2: 컨티넨탈 AOS 895-3 6기통 휘발유 엔진으로 교체, 해당 엔진은 연료직접분사식 엔진으로 기존의 M41 전차에도 적용. * M41A3 : M41A1을 연료직접분사식 엔진으로 교체한 버전. * [[M41 HMC|M41 자주곡사포]] * M42 더스터 자주대공포 * [[M40/M43|M43 자주곡사포]]: M4A3E8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된 차체에 203mm 주포를 탑재한 자주포 * [[M44 SPH|M44 자주곡사포]] * [[M26 퍼싱|M45 중전차]] * [[M46 패튼|M46 중형전차 "패튼"]] * [[M47 패튼|M47 중형전차 "패튼"]] * [[M48 패튼|M48 중형전차 "패튼"]] * M48C: 훈련용 M48 * M48A1: 전차장 큐폴라와 조종수용 해치를 변경한 사양. * M48A1E1: 1960년도에 제작한 기술실증전차이다. 궤도를 M60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교체한 후 M60의 광학식 거리 측정기, 디젤 엔진, 105mm M68을 장착했다. 그 결과로 항속거리, 기동성, 화력, 연비 모두가 증가했다. 에버딘 실험장에서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 M48의 현대화 계획이 승인됐으나 이미 M60의 배치가 시작되었으므로 양산으로 이어지지는 못했고, 이 녀석의 연구 결과는 M48A5에서 구현했다 * M48A1E2 : M48A1E1과 같은 현대화 개수형 시제품으로 역시 기술실증전차이다. 그래서 이 연구 결과는 90mm M41 계열 주포와 디젤 엔진 장착형인 M48A3와 같다. 단, M48A3는 궤도까지 바꾸진 못해서 리턴롤러가 5개에, 큐폴라의 높이가 높아졌다. 대신 전차장이 전차 아래까지 큐폴라를 통해 볼 수 있게 되었다. * M48A2: 가솔린 직분사 엔진 사양. * M48A2C: M48A2에 신형 M17 영상합치식(Coincidence) 거리측정기를 탑재한 개량형. 케터필러의 텐션 조절용 보조바퀴 감소 및 궤도지지롤러 감소와 같은 마이너 체인지도 적용되었다. * M48A2GA2: 주포를 레오파르트 1과 같은 105mm L7A3 강선포로 바꾸고 대공기관총도 MG3로 변경하는 개량을 실시한 서독군 사양. * M48A3: M48A1을 베이스로 M60의 파워팩을 탑재하도록 개조한 형식. 드디어 연비 문제가 해결되었다. * M48A3 mod. B: 베트남전의 전훈을 받아들여 A1의 총탑에 비젼 블럭을 삽입하고 높이를 올려 내부 시야를 개량한 버전. 추가 후미등도 설치되었다고 한다. 장갑 추가 등의 마이너 체인지. 가장 잘 알려진 M48A3 버전. * [[M48A3K]]: 사격통제장치를 개선한 남한군 사양. * M48A4: M48에 M60 포탑을 올린 차량. * M48A5: M68 105mm 주포를 장비한 버전. * M48A5 "MOLF": 그리스군이 운용하던 M48A5에 레오파르트 1A5의 EMES-18 사통을 장착한 버전. * M48A5T: 터키군의 M48A5 개량형. A5T1은 MTU사의 디젤 엔진, M60A1의 사통, 페시브 형식 야시장비를 장착하였고 A5T2는 M60A3의 사통에 열영상장치를 장착하였다. * [[M48A5K]]: 반응장갑 등을 장착하지 않은 M48 패튼 계열의 끝판왕. M48A5에 레이저 거리측정기, 측풍 감지기, 디지털 탄도컴퓨터 사격통제장치, 사이드스커드, 우르단 큐폴라를 장착한 대한민국 국군 사양. * M48A5K2 : M48A5K와 마찬가지로 사이드스커트가 추가되었으며 전차장 큐폴라가 M48A5PI와 동일하게 우르단 큐폴라로 교체되었으며 M60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 M48A5KW: 미군이 M48A5 패튼을 운용하다가 퇴역하여 전시에 운용할 목적으로 비축한 물자(WRSA)를 대한민국 국군이 사온 것으로 사이드스커트만 제외하면 M48A5K2와 동일하다. * M48DB : 기존의 M48에 도저블레이드(삽날)를 장착한 개량형 * M49 연료수송차 * [[M50 온토스|M50 자주무반동포 "온토스"]] * M51 중구난전차 : 1954~55년 동안 M103을 구난하기 위해 제작되어 1956~58년에 걸쳐 개량, 187량 제작. * [[M52 SPH|M52 자주곡사포]] * [[M53/M55|M53 자주곡사포]]: [[M47 패튼]]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된 155mm 주포를 탑재한 자주포 * [[M53/M55|M55 자주곡사포]]: [[M47 패튼]]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된 203mm 주포를 탑재한 자주포 * [[M56 스콜피온|M56 대전차 자주포 "스콜피온"]] * M58 연막 생성 차량 "울프" * [[M59 APC|M59]] * [[M60 전차|M60 주력 전차]] * M60A1 "라이즈": 롱노즈 포탑을 장비한 개량모델. 현재는 퇴역하고 극소수만 훈련용 전차로 전용되었다. * M60A2 "스타십": 152mm 건런처 시스템과 [[MBT-70]]의 기술을 대량 도입한 전차. * M60A3 "TTS": M60A1의 화력 통제장치를 개선하고 신뢰성을 높인 모델. * M60A4 : 포탑을 용접 형태로 바꾸고 사이드 스커트를 장착한 프로토타입. * M60-2000: M60 차체에 M1 에이브람스 포탑을 올린 시험차량. * M60 교량전차 "AVLB" * M60 지뢰제거차 "AVLM" * M67 화염방사전차 "Zippo": 화염 방사 M48 * M84 107mm 자주박격포 * M88A2 구난전차 "허큘리스" * [[M103 전차|M103 중전차]] * M103A1 : 1959년, 미 해병대가 T43E1에서 219량 개량, T52 거리측정기와 M14 탄도컴퓨터 탑재, 동축기관총 1정 제거, 새로운 전기식 포탑구동장치, 포탑 바스켓 탑재 * M103A2 : 1964년, 미 해병대가 153량 개량, 새로운 750마력 AVDS-1790-2 엔진 탑재, M15 기계식 거리측정기를 M24 합치식 거리측정기로 변경. 미 해병대에서 1973년까지 마지막으로 운용. 몇몇의 퇴역차량은 1977년에 사격연습 표적으로 개조되어 토우 대전차 미사일의 연습 표적으로 사용. * M104 교량전차 "울버린" * M106 자주박격포 * [[M107|M107 자주평사포]] * [[M108|M108 자주곡사포]] * [[M109|M109 자주곡사포]] * M109A1: 초기 M109에서 운용한 단포신 23구경장 M126 곡사포에서 포신 길이가 늘어나고 39구경장으로 증가한 155mm M185 곡사포를 장착하여 최대 사거리가 18.1km로 늘어난 모델. * M109A2: 가용성 및 유지보수 등이 대폭 개량된 버전. * M109A3: M109A1과 M109A1B를 M109A2의 성능에 맞게 개수한 버전. * M109A4: 기존의 M109A2 계열과 M109A3 계열에 NBC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엔진 시동 장비 등이 개선되어 응급 상황시 기동력도 향상시킴 버전. * M109A5: 기존의 155mm 39구경장 단포신 M185 및 장포신 M178 곡사포를 1980년대부터 39구경장 155mm M284 신형 곡사포로 대체하였으며 엔진 마력도 405hp에서 440hp 엔진으로 개선된 버전. * [[M109A6 팔라딘|M109A6 "팔라딘"]]: 포탄 적재함 확장, 스페이드 제거, 장갑 개량, 자동 사격통제장치 등 여러 업그레이드가 적용된 버전. * M109A7: M109 자주포의 노후화, 크루세이더 취소, 엑스칼리버 포탄의 대량도입 불발에 따라 기존 M109 자주포를 새로 현대화한 버전. BAE 시스템즈에서 업그레이드를 맡았다. * M109A8: 개발중. 자동장전장치와 포 자체를 새로 제작하거나 개량을 통해 신형 장포신포를 도입하여 사거리를 늘릴 예정이라고 한다. * [[M110|M110 자주곡사포]] * [[M113|M113 장갑차]] * M125 81mm 자주박격포 * M132 화염 방사 차량 * [[M142 HIMARS|M142 다연장로켓포 "HIMARS"]] * M163 자주대공포 "VADS" * [[서전트 요크|M247 자주대공포 "서전트 요크"]] * [[M270 MLRS|M270 다연장로켓포 "MLRS"]] * M474 이동식 [[MGM-31 퍼싱|퍼싱 탄도미사일]] 발사대 * [[M551 셰리든|M551 공수전차 "셰리든"]] * M577 지휘장갑차 * M579 구난장갑차 "피터" * M602 2½톤 트럭 * [[카이저 M715|M715 1¼톤 트럭]] * M727 이동식 호크 대공미사일 발사대 * M728 전투공병차 "CEV" * M730 이동식 채퍼럴 대공미사일 발사대 * M741 자주대공포 * M901 TOW 대전차미사일 발사 차량 "ITV" * [[M977 HEMTT|M977 "HEMTT]]" * M977A4: M977 트럭에 알코아 디펜스사의 ArmX 알루미늄 합금 장갑이 장착된 버전. * M978 유조차 * M981 포병관측차량 "FISTV" * M983 이동식 패트리엇 미사일 발사대 * M984 견인차 * M992 탄약보급차 "FAASV" * M993 수송차 * [[험비|M998 "HMMWV"]] * M1064 120mm 자주박격포 * M1075 "CMMM" * M1117 "가디언" * M1120 "HEMTT-LHS"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26 "스트라이커"]]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27 정찰 차량]]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28 "MGS"]]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29 자주박격포]]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30 지휘장갑차]]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31 "FSV"]]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32 전투공병차 "ESV"]]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33 야전구급차 "MEV"]]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34 "ATGMV"]] * [[스트라이커 장갑차|M1135 화생방정찰장갑차]] * M1142 소방차 "TFFT" * M1150 "ABV" * M1151 "HMMWV" * M1278 "Heavy Guns Carrier" * M1279 "Utility" * M1280 "General Purpose" * M1281 "Close Combat Weapons Carrier" * [[스트라이커 장갑차|M1296 "드라군"]] * M1975 교량 가설 트럭 "DSB Launcher"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병기 둘러보기)] [[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미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