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2A3C 2%, #F09C68 2%, #F09C68 4%, #5F5596 4%, #5F5596 6%, #E62A3C 6%, #E62A3C);" {{{#ffec4b ''' 미겔 무뇨스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 || || {{{#!folding ▼ ||<-4> {{{#333,#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ccc '''대표팀'''}}} || || [[틀: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1대~40대)|[[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62A3C; font-size: 0.9em;" [[틀: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1대~40대)|{{{#ffec4b '''스페인'''}}}]]}}}[br]{{{-2 35대, 38대}}} || || || || ||<-4> {{{#333,#ccc '''클럽'''}}} || || [[틀:레알 마드리드 CF 감독(1대~40대)|[[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font-size: 0.9em;" [[틀:레알 마드리드 CF 감독(1대~40대)|{{{#fcaf17 '''레알 마드리드'''}}}]]}}}[br]{{{-2 22대, 25대}}} || [[틀:세비야 FC 감독(41대~80대)|[[파일:세비야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font-size: 0.9em;" [[틀:세비야 FC 감독(41대~80대)|{{{#eb2626 '''세비야'''}}}]]}}}[br]{{{-2 47대}}}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e5e5e5 ''' 스페인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guel Munoz Monzun Color.jpg|width=100%]]}}} || ||<-2> {{{#000,#e5e5e5 ''' 이름 ''' }}} || {{{+1 '''미겔 무뇨스'''}}}[br]'''Miguel Muñoz''' || ||<-2> {{{#000,#e5e5e5 ''' 본명 ''' }}} ||미겔 무뇨스 모순[br]Miguel Muñoz Mozún || ||<-2> {{{#000,#e5e5e5 ''' 출생 ''' }}} ||[[1922년]] [[1월 19일]] / [br] {{{-1 [[스페인]] [[마드리드|마드리드지방 마드리드시]]}}} || ||<-2> {{{#000,#e5e5e5 ''' 사망 ''' }}} ||[[1990년]] [[7월 16일]] (향년 68세) / [br] {{{-1 [[스페인]] [[마드리드|마드리드지방 마드리드시]]}}} || ||<-2> {{{#000,#e5e5e5 ''' 국적 ''' }}}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width=28]] [[스페인 왕정 복고|스페인]]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width=28]] [[스페인 제2공화국]] →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28]] [[스페인국]]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8]] [[스페인]] || ||<-2> {{{#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65cm || ||<-2> {{{#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미드필더]] / ^^은퇴^^)[br][[축구감독]] || ||<|2> {{{#000,#e5e5e5 ''' 소속 ''' }}} || {{{#000,#e5e5e5 ''' 선수 ''' }}} ||[[CD 로그로녜스]] (1943~1944)[br][[레알 라싱]] (1944~1946)[br][[RC 셀타 데 비고]] (1946~1948)[br]'''[[레알 마드리드 CF]] (1948~1958)''' || || {{{#000,#e5e5e5 ''' 감독 ''' }}} ||[[레알 마드리드 CF]] (1959)[br][[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AD 플루스 울트라]] (1959~1960)[* 이 클럽은 카스티야의 전신으로, 4부 리가에 해당하는 테르세라 디비시온(Tercera División)에 주로 참가하다 1947년에 레알 마드리드에 선수를 공급하는 클럽이 되기로 공식 합의하여 지금의 카스티야가 되었다.][br]'''[[레알 마드리드 CF]] (1960~1974)'''[br][[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대표팀]] (1969)[br][[그라나다 CF]] (1975~1976)[br][[UD 라스팔마스]] (1977~1979)[br][[세비야 FC]] (1979~1982)[br]'''[[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대표팀]] (1982~1988)''' || ||<-2> {{{#000,#e5e5e5 ''' 국가대표 ''' }}} ||7경기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1948~1955)^^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1959년]]과 [[1960년]]부터 [[1974년]]까지 [[레알 마드리드 CF]]를, [[1979년]]부터 [[1982년]]까지 [[세비야 FC]] 감독을 맡았다. 스타 플레이어 출신 감독의 성공적인 예시 중 시초 격인 인물이다.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장 기간 감독직을 수행한 감독이자 전성기를 이끌었던 감독이며, 최초로 선수와 감독으로서 모두 [[빅 이어]]를 들어올린 감독이다. [[프리미어 리그]]에 [[알렉스 퍼거슨]]이, 이탈리아 [[세리에 A]]에 [[아리고 사키]]가, 독일 [[분데스리가]]에 [[우도 라테크]]이 있다면 스페인 [[라리가]]에는 미겔 무뇨스가 있다고 할 만큼 레알 마드리드와 스페인을 대표하는 명장이다. 마르카에서 수여하는 스페인 1~2부 리그 통합 감독상인 '트로페오 미겔 무뇨스'의 모티브가 되었다. 또한 그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역사상 선수와 감독으로서 모두 우승을 차지한 최초의 인물이다.[* 선수와 감독으로 모두 우승한 인물은 [[조반니 트라파토니]], [[요한 크루이프]], [[카를로 안첼로티]], [[프랑크 레이카르트]], [[펩 과르디올라]], [[지네딘 지단]], 그리고 이 사람까지 합해서 일곱 명 뿐이다.] == 선수 경력 == 그는 감독으로 더욱 유명하지만, 선수 시절에도 이미 대단한 스타 플레이어였다. 1922년에 마드리드에서 태어난 무뇨스는 어린 나이에 일찌감치 축구에 빠져들었다. 165cm의 단신 미드필더로 1943년에 CD 로그로녜스에서 현역 생활을 시작한 그는 [[라싱 산탄데르]]를 거쳐 1946년에 당시 [[셀타 비고]]의 감독이었던 [[리카르도 사모라]]를 만난 후 선수로서 빛을 보기 시작했다. 그는 1948년에 셀타 비고의 라리가 4위와 [[코파 델 레이]] 준우승을 이끌며 레알 마드리드에 스카우트되었고, 스페인 국대에도 선발되었다. 이후 10년 동안 레알 마드리드 멤버로 총 275경기를 뛰고 팀의 주장까지 역임하기도 했다. [[https://www.realmadrid.com/sobre-el-real-madrid/el-club/historia/jugadores-de-leyenda-futbol/miguel-munoz-mozun|#]] 전설적인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와 [[페렌츠 푸스카스]]와 함께 뛰면서 1955-56 시즌부터 1957-58 시즌까지 레알 마드리드의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 컵]] 3연패를 도왔다. 저승사자 군단의 일원이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가 얼마나 대단한 선수였는지 대략적으로나마 알 수 있다. 특히 1955년에 유러피언 컵 초대 대회에서 세르베테와의 첫 경기에서 첫 골을 기록하여 레알 마드리드의 유럽 정복사에 첫 발자국을 남긴 무뇨스는 1957년에 팀의 주장으로 유러피언 컵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 지도자 경력 == [[파일:external/www.fifa.com/2068173_full-lnd.jpg|width=400]] 1958년에 36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한 무뇨스는 이듬해에 레알 마드리드의 감독직을 맡기 시작했다. 선수로써 3년간 유러피언 컵을 연속으로 들어올린 그는 1959-60 시즌 도중에 친정팀인 레알 마드리드의 임시 감독으로 돌아와 전설적인 저승사자 군단의 챔피언스 리그 5연패를 달성하는 업적을 이룩한다. 이렇게 해서 그는 선수와 감독으로 유러피언 컵을 제패한 첫 인물이 되었다. 같은 시기에 현역 시절 4번의 [[라리가]] 우승에 이어 감독으로써도 라리가 9회 우승을 지휘하였는데 이는 아직도 깨지지 않는 최다 우승 기록으로 남아 있다. 그는 총 16시즌 동안 레알 마드리드 감독직에 앉으면서 1960년 첫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으로 첫 세계 챔피언 등극을 비롯해 총 15개의 우승 트로피를 레알 마드리드 우승 진열장에 전시해낸 그는 팀 역사상 최고의 감독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기에 손색이 없다. 이후 스페인 대표팀의 감독을 역임하여 1984년 유로 결승행을 이끌기도 했다. 상대는 [[미셸 플라티니]]가 이끄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였다. 그런데 당시 미셸 플라티니는 1986년 월드컵의 [[디에고 마라도나]]에 비견되는, 가히 전설적인 활약상을 펼치고 있었고, 결국 스페인이 0-2로 패해 준우승을 거두게 된다. == 수상 == === 선수 === * [[레알 마드리드 CF]] (1948~1958) * [[라리가]]: 1953-54, 1954-55, 1956-57, 1957-58 *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 컵]]: 1955-56, 1956-57, 1957-58 * 코파 라티나: 1955, 1957 === 감독 === * [[레알 마드리드 CF]] (1959 / 1960~1974) * [[라리가]]: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6-67, 1967-68, 1968-69, 1971-72 * [[코파 델 레이]]: 1961-62, 1969-70 *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 컵]]: 1959-60, 1965-66 * [[인터컨티넨탈컵]]: 1960 == 둘러보기 == [include(틀: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참가 감독)] [각주] [[분류:1922년 출생]][[분류:1943년 데뷔]][[분류:1958년 은퇴]][[분류:1990년 사망]][[분류:마드리드 출신 인물]][[분류:스페인의 축구선수]][[분류:스페인의 축구감독]][[분류: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라싱 데 산탄데르/은퇴, 이적]][[분류:RC 셀타 데 비고/은퇴, 이적]][[분류:레알 마드리드 CF/은퇴, 이적]][[분류: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역대 감독]][[분류:레알 마드리드 CF/역대 감독]][[분류:그라나다 CF/역대 감독]][[분류:UD 라스팔마스/역대 감독]][[분류:세비야 FC/역대 감독]][[분류: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참가 감독]][[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 다회 우승 선수]][[분류:UEFA 유로 준우승 감독]][[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 다회 우승 감독]][[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 다회 준우승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