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물왕도마뱀}}}(워터 모니터)[br]Water monito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워모4.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Varanus salvator'' '''[br]Laurenti, 176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파충강(Repti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뱀목(Squamat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왕도마뱀과(Varan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왕도마뱀속(Varanus) || || '''아속''' ||소테로사우루스아속(Soterosaurus) || || [[생물 분류 단계#아종|{{{#000 '''종'''}}}]] ||물왕도마뱀 (''V. salvator'') || [[파일:물왕도마뱀.jpg]] [[영어]]: Water monitor [[힌디어]]: एशियाई जल मॉनिटर [[인도네시아어]]: Biawak air [[말레이어]]: Biawak Air [[태국어]]: เหี้ย [[베트남어]]: Kỳ đà hoa [[중국어]]: 圆鼻巨蜥 [[일본어]]: ミズオオトカゲ [목차] [clearfix] == 개요 == [[왕도마뱀]]의 일종. 영어이름은 워터모니터라고도 한다. [[동남아시아]], [[중국]]남부, [[인도]], [[스리랑카]]에 서식한다. '''세계에서 [[코모도왕도마뱀]] 다음으로 2번째로 큰 도마뱀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선 애완용으로 사육하는 이들도 있다. 수명은 10~20년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초고가의 명품 가방으로 유명한 [[에르메스]]에서는 물왕도마뱀 가죽 버킨백을 만들며 가격은 약 1억 5천만원... == 생김새 == 크기는 최대 1.5~2m가 흔하지만 3.2m까지 자란 개체도 있었으며 체중은 수컷을 기준으로 20~50kg이다. 몸은 굵고 육중하며 튼튼한 비늘로 덮여져 있고, 검은색이나 갈색으로 하얀색이나 황색의 작은 반점이 들어간 개체가 대다수지만 아종이나 지역에 따라 무늬가 다르다. 꼬리는 물속에서 물살을 가르며 헤엄치는 것에 적합하다. [[파일:워모3.jpg]] 프로필 사진의 준성체 개체만 보면 체감이 안 되겠지만, '''진짜 크다.''' 얼핏 이거 코모도 아냐? 싶을 정도로 크게 자란다. 최대 개체의 체중은 코모도왕도마뱀 최대 개체의 절반 정도지만. [[파일:워모1.jpg]] [[파일:big-water-monitor-varanus-salvator-swimming-canal-sunny-day-huge-may-frightening-you-accident-125094891 (1).jpg]] 이름처럼 물을 좋아하며 헤엄도 잘 친다. 어릴 때는 몸에 노란 무늬가 있는데 커지면서 사라진다. == 생태 == 삼림 등에 서식한다. [[수영]]에 능숙한 동물로, 날카로운 발톱을 이용해 땅에 구멍을 파서 굴로 만들거나, 나무 위로 오르기도 한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먹이로는 [[쥐]] 등의 소형 포유류, [[새|조류]], [[파충류]], [[양서류]], [[갑각류]], 동물의 알, 사체, 사람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때로는 두마리 이상이 협력하며 사냥하기도 하는데, 한마리가 파충류를 유인할 때, 다른 한마리가 알을 빼앗는 경우도 있다.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땅 속에 15개 이상의 알을 낳는다. == 사육 == 2015년 7월 현재 국제적 멸종위기종 법령이 개정됨에 따라 [[사육시설등록]]이 필요하다. (높이 약 1.5미터, 넓이 3제곱미터 이상) '신청하려면 10만 원도 내야된다'라는 비판이 [[파충류 애호가]]들 사이에 있었지만 '''지금 키워지는 대부분의 왕도마뱀이 좁은 사육장에서 과도한 먹이를 공급받으며 대다수가 비만 같은 성인병과 스트레스로 단명'''하는 데다 어찌저지 장성하더라도 '''사람을 공격하는 등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 또한 있기 때문에 결코 무리한 결정이 아니었다. 어쨌든 해당 법령 때문에 이전부터 물왕도마뱀을 키우고있던 오너라면 모를까 현 시점에서는 물왕도마뱀 사육법이라는 말 자체가 국내에선 무의미해졌다. [[이구아나]]와 같은 케이스. 그나마 해당 법령 공포 이후 아예 애호가 커뮤니티에서 언급조차 안 되는 이구아나와는 달리 물왕도마뱀은 이따금 입방아에 오르는 편이다. 미국 플로리다주에서는 외래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물리게 되면 큰 상처가 날 수 있어 주의를 요구한다고 한다. 또한 [[나일왕도마뱀]]과 교배하여 이상한 [[잡종]]을 낳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it&no=13686|국내에서 디시 갤러리를 통해 누군가가 사육을 인증했다.]] [[https://blog.naver.com/0004497/221254272401|그리고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고 한다.]] 또한 이전에 [[코엑스 아쿠아리움]]과 [[서울대공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도 사육 했었으나 폐사했다. 현재 일산 쥬라리움에 사육중이다. 동물애호가들에게 혹평받는 환경을 지닌 쥬라리움에서 그나마 몇안되는 호평받는 환경에서 사육중이다. [[파일:826bcb6b284ee3ec04aa954f68926531.jpg]] 새끼 때부터 사육장의 많은 비중을 물로 하는 것을 추천하며 해외에선 새끼 때 사육장을 저리 꾸미기도 한다고 한다. [[분류:소테로사우루스아속]][[분류:애완동물/뱀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