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상A)] ||<-2> [[파일:external/www.hsbaseball.kr/symbol71.jpg|width=100]] || ||<-2> '''[[물금고등학교]] 야구부'''[br](Mulgeum High School) || || '''창단''' || [[2015년]] [[9월 21일]] || || '''소속 리그''' || 경남권 || || '''감독''' || 강승영 || ||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0회 || || '''홈페이지''' || [[http://www.mulgeum.hs.kr/?SCODE=S0000000925&mnu=M001007018|##]] || ||<-2> [include(틀:지도, 장소=물금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 || - || -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 || 1회(2023) || -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 - || -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 || - || -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 - ||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소재 [[물금고등학교]]에 위치한 [[야구]]부. 2013년, 2014년 양산 원동중학교가 대통령배 전국중학야구대회에서 2년 연속으로 우승하고 많이 강해졌지만 양산시에 고교야구부를 가진 고등학교가 하나도 없어서 유망주들이 타 지역으로 빠져 나가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아쉬워한 양산야구협회가 적극적으로 나섰고 마침 원동중학교 야구부 창단 문제로 양산에 자주 내려오던 [[허구연]]이 여기에 힘을 합치며 양산교육지원청에서 지원을 하기로 결정, 2015년에 [[물금고등학교]]에 야구부가 창단되었다. 창단 직후에는 연습장이 따로 없어서 교내 [[운동장]]에서 연습했지만, 당시 [[롯데 자이언츠]] 출신의 [[강민호]]선수(2018년 이후 [[삼성 라이온즈]] 소속)와 [[양산시]]가 함께 만든 [[강민호 야구장]]이 [[https://www.youtube.com/watch?v=CG-9URxCnFM|건설되면서]], 이곳을 연습 구장 겸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물금고등학교]] 운동장의 경우 면적이 매우 협소하여 야구부 훈련 진행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부울경]] [[KNN|제3구단]] [[넥센 히어로즈]]의 전임 주장이자 [[부산광역시|부산]] 출신의 [[이택근]] 선수가, 야구 용품을 이 학교에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0107000369|후원하였다]]. [[노장진]]의 아들 노학준이 경주중학교를 졸업한 뒤 이 학교로 진학해 외야수 겸 투수로 뛰었다. 그러나 프로 지명을 받지 못했고 2018년 말~2019년 초에 [[질롱 코리아]]에서 뛰었으며 2019년 8월 29일부로 [[NC 다이노스]]에 [[육성선수]]로 입단했다. 2021년엔 [[김영웅(야구선수)|김영웅]]이 나타나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고 결국 2차 1라운드 전체 3순위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했다. 양산 원동중학교, 김해 내동중학교, 창원 [[신월중학교]], [[마산동중학교]], 거제 외포중학교 등 경남지역 5개 중학야구팀 학생선수들이 진학하고 있다. 특히 원동중에서 진학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 연도별 성적 == 2017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는 이진성의 완봉승과 노학준의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으로 1회전에서 [[성지고등학교 야구부|성지고]]를 6-0으로 꺾었다. 2회전에서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수원유신고]]에 2-7로 패했다. 봉황대기에서는 [[라온고등학교 야구부|송탄제일고]]에 1회전에서 2-4로 패했다. 2018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1회전 [[영선고등학교 야구부|고창영선고]]를 7-3으로 이기고, 2회전에서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마산용마고]]와 1박2일 서스펜디드 게임을 한 끝에 12-14로 아쉽게 패했다. 청룡기 32강, 황금사자기 2회전(vs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제물포고]]), 봉황대기 2회전(vs [[강릉고등학교 야구부|강릉고]])에서 탈락했다. 2019년 시즌을 앞두고는 16강 진출을 목표로 잡았다. 황금사자기 1회전에서 [[부천고등학교 야구부|부천고]]에 승리를 거두며 황금사자기 통산 첫 승을 거뒀다. 2회전 [[충훈고등학교 야구부|충훈고]]와의 경기에 3번의 승부치기 끝에 6-9로 패하며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2020년 청룡기에서는 32강전에서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공주고]]에 1-9로 패했다. 같은 해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화순고등학교 야구부|화순고]], [[경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경기상업고]], [[경기고등학교 야구부|경기고]]를 꺾고 8강전에 진출했다. [[배재고등학교 야구부|배재고]]와의 8강전에서는 7-1로 앞서다가 7회말에 대거 8실점을 하며 아쉽게 패했다. 2023년은 그야말로 황금기를 보내고 있다. 청룡기 2회전에서 [[인상고등학교 야구부|인상고]]를 9-2로 이겼고 16강에서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와 난타전 끝에 14-12로 꺾었으며[* 3회초에만 11점을 내주며 다 넘어갔던 경기였으나 대역전승을 거뒀다. 더군다나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는 이마트배 우승팀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 황금사자기 우승팀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를 연이어 물리치고 올라온 팀이었다.] 8강에서는 강력한 우승후보였던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마저 11-9로 격파해내[* 사실 진작 강우 콜드게임으로 끝났을 경기였으나 7회말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 공격에서 연이은 사사구 허용으로 동점이 된 뒤 비로 더 이상 경기가 진행되지 않아 서스펜디드 게임으로 넘어간 것이다.] 창단 최초로 전국대회 4강에 진출하였다. 그 이후 [[경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경기상고]]를 상대로 13-5로 이겨내며 창단 첫 전국대회 결승 진출 기록까지 남겼다.[* 상대인 [[경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경기상고]] 역시 창단 최초로 전국대회 4강 진출이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후원회장이 목동 야구장으로 커피차를 보냈을 정도.] 결승전에서는 [[장충고등학교 야구부|장충고]]를 연장 접전 끝에 이긴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와 맞붙었으나 접전 끝에 4-1로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창단 이래 최고의 해를 보냈으나 2024년도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아무도 지명을 받지 못했다.[* 그나마 졸업생인 동아대 투수 손주환이 지명을 받았다.] == 출신선수[* 나무위키에 등록된 선수 한정. 졸업 연도 순.] ==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노학준]] || 외야수 || 2020년 육성선수 입단 ||[[질롱 코리아]](2018~2019) - [[NC 다이노스|NC]](2020) || || [[손주환(야구선수)|손주환]] || 투수 || [[KBO 리그/2024년/신인드래프트|2024년 6라운드]] ||수성대-동아대-[[NC 다이노스|NC]](2024~) || || [[김영웅(야구선수)|김영웅]] || 내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1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22~) ||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양산시 연고 구단]][[분류:2015년 창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