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문현역'''}}} || ||<-3> [[파일:Busan2.svg|width=30]] || || [[장산역|{{{#!html
장산 방면}}}]][[지게골역|지게골]][br]← 0.8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html
2호선
(216)
}}}]] || [[양산역|{{{#!html
양산 방면}}}]][[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국제금융센터·[br]부산은행]][br]0.8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문현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Munhyeon || || [[한자]] ||<-2> 門峴 || || [[간체자]] ||<-2> 门岘 || || [[가나(문자)|가나]] ||<-2> [ruby(門峴, ruby=ムンヒョ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전포대로]] 지하17 ([[문현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문현관리역 / [[제2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width=150]]]]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2001년 8월 8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심도: 17.95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ttachment/Munhyeon.jpg|width=100%]]}}}|| || '''{{{#FFF [[스크린도어|{{{#FFF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및 구 역명판}}}'''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16번.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전포대로]] 지하17 ([[문현동]]) 소재. 2001년 8월 8일 개통되었으며 역명은 동명칭인 [[문현동]]을 따라 지정되었다. 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 투어|스탬프]]의 배경은 인근에 있는 '안동네벽화마을'이다. 사실 안동네벽화마을은 다음 역인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에서 거리가 훨씬 가깝지만, 접근도로가 문현역 쪽으로 나 있어 문현역 스탬프에 새겨넣은 듯하다. == 역 정보 == 문현[[지하차도]] 인근에 역사가 위치한 특성상 승객수요에 걸맞지 않게 승강장이 넓다.[* 심지어는 만남의 광장이 있고 여러 벤치가 놓여져 있다. 이렇게 넓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한산하다. 환승역이 되면 한산함에서 벗어날 수도.] 이 역에서 [[지게골역]] 방향으로 [[드리프트]]가 나 있으며[* 문현역 승강장이 이 드리프트에 걸쳐있어서 곡선 승강장이 돼서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다.] 이 구간은 [[부산 도시철도]] 전체 구간 내에서 수영-민락-센텀시티-벡스코 3연타 드리프트와 이른바 '전포 드리프트'로 유명한 [[서면역]]~[[전포역]] 구간 다음으로 시끄럽기로 악명높다. 이 때문인지, 양산행 열차가 이 역에 들어오기 전에 드리프트를 지나는 소리가 합쳐저서 '''안내방송이 아예 들리지 않는다.''' 마지막에 나오는 문현축산물 종합유통센터 광고만 들린다. 2012년 12월부터 [[엘리베이터]] 가동과 동시에 게이트를 분리해서 재배치하였다. 이렇게 되면 보통은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해지는데[* 비슷하게 변경된 같은 노선의 역으로는 [[감전역]], [[구남역]], [[수정역]]이 있다.] 이 역은 중간 계단이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할 수 있다. 위로 [[전포대로]]가 지나는데 전포대로가 매우 넓어 횡단보도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주민들은 왕래할 때 문현역 지하통로를 자주 사용한다. 현재 엘리베이터 설치 중인 육교는 아파트가 몰려있는 지역과 거리가 있어 주민들이 잘 이용하지 않는다.[* 때문에 엘리베이터 설치 당시 엘리베이터 설치 반대 현수막이 걸리기도 했다.] 근미래에 [[C-BAY-Park선]]이 개통하면 환승역이 된다. == 역 주변 정보 == [[동천(부산)|동천]]과 가까우며, 이 역 근처에 문현[[지하차도]]와 삼성아파트, 삼성 힐타워, 태영 데시앙, 대우 이안, 한화 꿈에그린, 보람더하임등 아파트 단지들이나 그 뒷편으로는 [[성동중학교]]와 단독주택들이 밀집한 지역이라 주로 아파트 주민이나 해당 주택의 주민들이 문현역을 이용하는 편이다. 인근에 베스티움 아파트가 있다. 3번 출구로 나가서 [[동천(부산)|동천]]을 지나는 작은 다리를 건너면 부산시민회관이 있다. 이름만 봐서는 [[문현금융단지]]가 이 역 옆에 있을 것 같지만 사실은 한 정거장 더 간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실제로 [[문전역]]에서 역명을 교체할 때 후보였다. [[부산국제금융센터|국제금융센터]]역으로 지정하려고 했다가 [[BNK부산은행|부산은행]]본점이 위치한 특성상 같이 역명으로 정해졌다.]과 붙어 있다. 그리고 [[부산은행]] 본점이 [[부산국제금융센터]] 바로 옆에 새로 이전해 오면서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문전역]]은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개명한다. 2021년 11월 28일, OCN드라마 [[우월한 하루(드라마)]] 촬영이 있었다. == 일평균 이용객 == 문현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2호선|[[파일:Busan2.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6,607명 || || || 2003년 || 7,445명 || || || 2004년 || 7,079명 || || || 2005년 || 7,122명 || || || 2006년 || 6,666명 || || || 2007년 || 6,813명 || || || 2008년 || 7,798명 || || || 2009년 || 8,130명 || ||}}}}}}}}} || || 2010년 || 8,504명 || || || 2011년 || 9,059명 || || || 2012년 || 9,046명 || || || 2013년 || 9,594명 || || || 2014년 || 9,792명 || || || 2015년 || 9,784명 || || || 2016년 || 9,911명 || || || 2017년 || 9,437명 || || || 2018년 || 9.768명 || || || 2019년 || '''10,192명''' || || || 2020년 || 7,911명 || || || 2021년 || 8,343명 || || || 2022년 || 9,036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문현동]]은 [[남구(부산)|남구]], [[수영구]], [[해운대구]]에서 부산 [[원도심(부산)|원도심]]인 동구로 넘어가는 길목이다. 하지만 문현역은 하루 평균 1만 명 정도의 수요를 잡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문현교차로가 아닌 [[전포대로]] 밑에 역사가 위치해 있기 때문으로, [[감만동]]이나 [[우암동(부산)|우암동]] 등지에서 넘어오는 수요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장산 방면에서 오는 부산역-남포동 환승 수요 역시 놓치고 있다는 점이 수요가 저조한 원인이다. 2호선이 문현교차로에서 ㄴ자로 꺾어지는 데다 교차로 밑으로는 지하차도, 위로는 [[번영로(부산)|번영로]] 고가도로가 지나기 때문에 지금의 위치에 어쩔 수 없이 지어졌으나, [[종합운동장역(부산)|종합운동장역]]이나 [[미남역]], [[수영역]]처럼 교차로 부근 출입구라도 연결을 했다면 지금보다는 더 많은 승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었기에 아쉬운 부분이다.[* 이는 [[화명역(도시철도)|화명역]]도 마찬가지로 와석교차로 반대편에 출입구를 건설하여 연결을 했더라면 반대편 와석교차로 연선 수요도 더욱 확실하게 잡을 수 있었을 것이다.] 특히 번영로 고가차도는 도로 남쪽 지역에서 역으로 가는 길을 완벽하게 단절하는 효과를 줘서, 바로 옆 범일교 너머에 수많은 기업체가 있고 교차로 주변에도 주상복합단지가 우후죽순 들어서는 호재를 맞고 있음에도 수혜를 제대로 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1995년 착공 당시에도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951226000170|인근 주민들이 이 역의 위치를 조정해달라는 청원서를 시의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시철도가 지나가지 않는 [[우암동(부산)|우암동]], [[감만동]]에서의 환승 수요를 전혀 잡아내지 못하는 치명적인 원인이 된다. 단적인 예로 [[우암로(부산)|우암로]]를 지나는 [[부산 버스 23|23번]], [[부산 버스 26|26번]], [[부산 버스 68|68번]], [[부산 버스 134|134번]], [[부산 버스 138-1|138-1번]], [[부산 버스 168|168번]], [[부산 버스 남구3|남구3번]] 모두 문현역을 지나가지 않는다! 이들 모두 문현교차로는 반드시 거치지만 문현역과 환승 연계가 되지 않으며 심지어 문현역을 지나가면서도 정류장에 서지 않는 노선도 있다. 이를 보면 우암동과 감만동의 환승 수요를 충분히 잡을 수 있는 위치임에도 한 끝 차이로 이를 놓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만약 [[우암로(부산)|우암로]] 경유 버스와 환승 연계가 이루어졌다면 문현역의 수요는 지금의 2배 가까이 늘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4 문현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4 문현역 역명판.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andicam 2023-10-02 03-25-07-576.jpg|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지게골역|지게골]]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 || {{{#ffffff 상}}} ||<|2>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경성대·부경대역|경성대부경대]]·[[수영역|수영]]·[[벡스코역|벡스코]]·[[해운대역|해운대]]·[[장산역|장산]] 방면|| || {{{#ffffff 하}}} ||[[서면역|서면]]·[[사상역(도시철도)|사상]]·[[덕천역|덕천]]·[[호포역|호포]]·[[양산역|양산]] 방면|| 역이 문현 드리프트의 끝에 걸쳐져 있어서, 역 위의 [[전포대로]]가 직선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곡선 승강장으로 지어져 있다. 이로 인해 승강장과 열차 사이가 상당히 넓다. 큰 단차로 인해 발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릴 때 조심하라는 안내 방송이 나온다. 강희선 성우의 발빠짐 주의 안내방송도 나온다.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남포역(부산)|남 포]] || ◁ || [[서면역|서 면]] || ▷ || [[온천장역|온천장]]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 [[동백역(부산)|동 백]] || ◁ || {{{#c0c0c0 문 현}}} || ▷ || [[사상역(도시철도)|사 상]]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수영역|수 영]] || ◁ || [[연산역(부산)|연 산]] || ▷ || [[미남역|미 남]]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5> {{{#c0c0c0 없 음}}}[* 다만 4호선을 이용해 미남,동래역 하차시 1구간 인정됨.]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벡스코역|벡스코]] || ▷ || [[오시리아역|오시리아]] || == 연계 교통 == * 문현역(정류장 번호: 07-042) * [[부산 버스 24]] - 용호동행 * 삼성아파트(문현역)(정류장 번호: 07-041) * [[부산 버스 24]] - 서면행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부산 버스 남구5]]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2호선]][[분류:남구(부산)]][[분류:전포대로]][[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