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在喆 [[1883년]] ~ [[1955년]] [[7월 20일]] [목차] == 개요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조선|조선]]의 [[기업인]], [[지주]]. 본관은 [[남평 문씨|남평]](南平)[* 순질공파-경숙공-옹-강진-월파공파 30세 재(在) 항렬.], 초명은 문치명(文致明)이었으나 [[1905년]]을 전후해 문재철로 개명했다. == 생애 == [[1883년]] [[전라도]] [[나주시|나주목]] [[암태면|암태도]] 수곡리(現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수곡리)에서 아버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4040400209202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4-04-04&officeId=00020&pageNo=2&printNo=1315&publishType=00020|문군옥]](文君玉, 1848 ~ ?)[* 족보명은 문태현(文泰炫).]과 어머니 [[전주 이씨]](? ~ 1900. 8. 29)[* 이용서(李龍瑞)의 딸이다.] 사이에서 4형제 중 장남으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5164|태어났다]]. 그의 일가는 암태도에서 [[바닷물]]로 [[소금]]을 제조하는 [[염전]]을 경영하면서 선상무역을 통해 부를 쌓아갔고, [[1897년]] 목포 개항과 함께 문재철이 목포로 이주하여 대지주가로 성장시켰다. [[1902년]] [[5월 4일]] [[혜민원]] 주사(惠民院主事)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9_05A_04A_00100_2006_193_XML|임용되었으나]], 그해 6월 8일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9_06A_08A_00040_2006_193_XML|사직하였다]]. [[1905년]]에는 [[순릉]](純陵)의 비각을 짓고 표지석을 세우는 데에 공로가 있어 품계가 기존의 9품에서 6품으로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2_12A_25A_00150_2006_206_XML|승급했다]]. [[1910년]]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뒤 식민 통치 자문을 위해 [[조선총독부]] 산하에 [[중추원(일제강점기)|중추원]]이 설치되고, 각 [[도(행정구역)|도]]에는 참여관과 참사관, 각 군에는 참사라는 직책이 신설되었다. 문재철은 [[지도군]] 참사(參事)를 지낸 것을 시작으로 1919년부터 1920년까지 무안군 참사를, [[1930년대]]에는 전남도회 의원 및 도평의원 등을 역임하며 지역 유지로 활동했다. 이 기간 중 사업도 계속 확대되어 대자본가로 성장할 수 있었다. [[1919년]] 목포창고주식회사 취체역에 취임했고, [[1923년]] 남일운수주식회사 취체역 사장을 지내며 물류업을 겸해, [[1920년대]] 후반 문재철의 지주 경영지는 약 300만 평에 달했다. [[1920년대]] 중반 문재철 일가의 본거지였던 암태도를 시작으로 도초도, 자은도, 지도 등에서 계속 대규모 소작쟁의가 일어났는데, 문재철은 농장식 경영으로 이에 적절히 대처하고 [[1935년]] 선일척산주식회사를 설립하는 등 [[1930년대]] 후반 활발하던 간척지 개간사업을 주도했다. [[1940년]] 당시 문재철이 소유한 토지는 약 500만 평으로 집계된다. 이와 같은 경영방식은 한국 [[자본주의]]의 시초로 평가받고 있다. 문재철은 [[1920년대]] 일제의 저미가정책으로 수익의 감소분을 충당하기 위해 소작료를 증수하려 하였고, 암태도에서 7~8할의 소작료를 징수하였다. [[일제강점기]]의 소작료는 보편적으로 5할이었던 것에 비하면 과중한 소작료였고, 이러한 고율의 소작료에 시달리던 암태도 소작인들은 [[1923년]] [[9월]] 서태석의 주도로 '암태소작회'를 결성하고, 지주 문재철에 대하여 4할로 내려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문재철은 이윤상의 문제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격분한 암태소작회는 문재철 부친의 송덕비를 무너뜨리고, 문재철이 고용한 폭력배와 충돌하는 등 사태가 커지게 된다. 암태도 주민들의 단식농성과 처절한 투쟁 끝에 [[일본 제국 경찰|일본 경찰]]의 중재로 문재철은 암태도 농민들의 요구사항을 수용하게 된다. [[암태도 소작쟁의]]는 [[1920년대]] 대표적인 소작쟁의로 전국적인, 특히, 서해안 여러 섬의 소작쟁의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지주와 그를 비호하는 일제 관헌에 대항한 항일운동이었다. 또한, 근현대사 최초의 성공적인 노사분규의 사례로 기록되고 있다. [[1941년]] [[윤치호]]가 [[태평양 전쟁]] 지원을 위해 결성한 흥아보국단의 전라남도 도위원을 지냈고, 조선임전보국단의 평의원도 역임하는 등 여러 친일 단체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그러면서도 [[1941년]] 목포에 문태학원을 설립해 [[문태고등학교]]를 세우는 등 민족교육[* 문태고는 [[일제강점기]] 말기에 [[창씨개명]]을 하지 않아도 입학할 수 있었다고 한다.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74497|#]]] 사업을 벌였다. 어떤 이유에서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암태도 소작쟁의 이후 문재철은 소작인 대표였던 [[서태석]]을 통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기도 하였다.[* [[신안군]] [[암태면]] 단고리 출신의 암태청년회장을 지낸 [[독립유공자]]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20|박복영]](朴福永)의 증언에 따르면, 문재철은 벼 200가마, 보리 100가마, 밀 50가마를 독립운동자금으로 내놓았다고 한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2061700329207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2-06-17&officeId=00032&pageNo=7&printNo=8220&publishType=00020|1972년 6월 17일 경향신문 기사]])] [[8.15 광복]] 후에도 문태중학교와 문태고등학교의 교장으로 재임하다가 [[1955년]] [[7월 20일]] [[목포시]] [[북교동]] 137번지 [[https://naver.me/x3iGdKKs|문태학원 이사장댁]]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507230020920101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5-07-23&officeId=00020&pageNo=1&printNo=9973&publishType=00020|사망했다]]. 사후 문태학원은 셋째 아들 문영호(文英鎬, 1920. 11. 7 ~ )와 며느리 박서지[* [[밀양 박씨]] 박용재(朴龍在)의 딸이다.], 문영호의 차남 문익수(文益洙, 1953. 5. 5 ~ )[* 고려대 체육교육과 교수 및 체육위원장 역임]가 차례로 물려받았다. == 여담 == * 상술한대로, 본디 일제를 등에 업고 농민들의 고혈을 쥐어짜내던 악질 유지였으나 후일 민족교육사업,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금 조달 등의 공로가 인정되어 [[친일인명사전]]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친일인명사전을 발간한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내세운 '선친일 후항일' 원칙에 따른다면 제외되는 것이 논리적으로는 맞는 일이다. [[친일반민족행위자|친일]]에서 항일로 넘어간 사례가 원체 적은데다가, 교과서에도 실린 [[암태도 소작쟁의]]에서 악질 지주로 묘사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대목이다. * [[1993년]] [[2월 23일]] 사립 중·고등학교를 설립해 인재 양성에 헌신한 교육유공자로서 [[국민훈장]] 동백장을 [[http://news.kmib.co.kr/article/viewDetail.asp?newsClusterNo=01100201.19930224000001804|추서받았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남평 문씨]][[분류:신안군 출신 인물]][[분류:1883년 출생]][[분류:1955년 사망]][[분류:국민훈장 동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