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동강구역의 행정구역)] ||<-4>
{{{-2 {{{#000000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000000 평양시}}}]] [[대동강구역|{{{#000000 대동강구역}}}]]의 [[행정동|{{{#000000 동}}}]]'''}}}}}}[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000 '''{{{+1 문수동}}}'''[br]紋繡洞[br]{{{-2 Munsu-dong}}}}}}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평양 문수동, 너비=100%, 높이=250px)]}}} || ||<-2> {{{#fff '''구역 소재지'''}}} ||<-2> ''미상'' || ||<-2> {{{#fff '''지역'''}}} ||<-2> [[평안도|관서]] || ||<-2> {{{#fff '''면적'''}}} ||<-2> 미상 || ||<-2> {{{#fff '''시[* 편의상 기재]'''}}} ||<-2> [[평양시]] || ||<-2> {{{#fff '''구[* 편의상 기재]'''}}} ||<-2> [[대동강구역]] || ||<-2> {{{#fff '''시간대'''}}} ||<-2> UTC+9 || ||<-2> {{{#fff '''인구'''}}} ||<-2> 미상 || ||<-2> {{{#fff '''인구밀도'''}}} ||<-2> 미상 || ||<-2> {{{#fff '''당위원장'''}}} ||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 [[김능오]] || ||<-2> {{{#fff '''인민위원장'''}}} ||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 [[차희림]] || [목차] == 개요 == 북한 평양시 대동강구역의 동. == 연혁 == 1960년대에는 [[사동구역]] 소속의 문수일동 및 문수이동이였으나, 문신동과 합쳐지면서 지금의 문수동이 되었다. == 시설 == 외국인건물지구라는 곳이 아예 따로 있으며 이곳에 주북 스웨덴대사관, 주북 독일대사관, 주북 영국대사관, 주북 인도네시아대사관 및 주북 폴란드대사관 등 외국대사관, [[https://dprkorea.un.org/en/about/our-team|UN대표부]], 구호단체[* [[고난의 행군]] 당시 많은 구호 NGO가 북한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북한의 구호물자 빼돌리기에 질려버려 [[옥스팜]] 등 일부 구호단체는 이미 북한에서 철수했으며, 그나마 남아있던 구호단체들도 2019년경 대북제제가 심해지면서 상당수가 북한에서 철수했다.] 및 공관들이 이곳에 다 밀집되어 있다.[* 대사관 밀집지역은 북한 주민들이 마음대로 드나들 수 없으며, 곳곳에 경비병이 있어 방문객을 검문한다. 단, 외국인과 함께하면 출입할 수 있다.] 그 외에 남산병원 등 의료 시설이 있다고 한다. [[천도교#북한|조선천도교회 중앙지도위원회]]가 여기에 위치해있다. [[http://www.hmh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7049|#]] 4층 건물에 100석 규모의 예배공간이 있다고 한다. == 교통 == [[탑제거리]], [[산원거리]] 등에 둘러싸여 있으며, 철도는 없으나 버스 노선이 있다. == 남북통일 이후 == 주북 대사관들이 통폐합되거나 영사관으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분류:평양시의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