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데렐라 일레븐의 등장인물 문소리, rd1=문소리(신데렐라 일레븐), other2=대한민국의 전 축구선수, rd2=문소리(축구인))] [include(틀:씨제스 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 || {{{#FFFFFF '''문소리의 주요 수상 및 수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1 [[문화훈장|{{{#EDE4D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 ||<-2> [[파일:문화옥관.jpg|width=170]] || || '''연도''' || '''2002년''' || || '''이름''' || '''문소리''' || || '''분야''' || '''배우''' || ||<-2> '''[[틀:옥관문화훈장|{{{#EDE4D3 옥관문화훈장(4등급)}}}]]''' || ---- ||<-5> {{{+1 '''{{{#white,#191919 역대}}}''' [[대종상|{{{#0275d8 [[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daejongawards.png|width=50]] || ||<-5> {{{#white,#191919 '''여우주연상'''}}} || || ''' 제40회 [br] ([[2003년]]) ''' || {{{+1 → }}} || ''' 제41회 [br] ([[2004년]]) ''' || {{{+1 → }}} || ''' 제42회 [br] ([[2005년]]) ''' || || [[이미연(배우)|이미연]][br]([[중독(동음이의어)#s-3.1|중독]]) || {{{+1 → }}} || '''{{{#fff 문소리[br]([[바람난 가족|{{{#fff 바람난 가족}}}]])}}}''' || {{{+1 → }}} || [[김혜수]][br]([[얼굴 없는 미녀]]) || ||<-5> || ---- ||<-5> {{{#FFFFFF {{{+1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5> '''[[청룡영화상/여우주연상|{{{#FFFFFF 여우주연상}}}]]''' || || ''' [[제41회 청룡영화상|제41회]][br]([[2020년]])''' || {{{+1 →}}} || '''[[제42회 청룡영화상|제42회]][br]([[2021년]]) ''' || {{{+1 →}}} || ''' [[제43회 청룡영화상|제43회]] [br] ([[2022년]]) ''' || || [[라미란]][br]([[정직한 후보]]) || {{{+1 → }}} || '''{{{#552B8D 문소리[br]([[세자매(영화)|{{{#552B8D 세자매}}}]])}}}''' || {{{+1 →}}} || [[탕웨이]][br]([[헤어질 결심]]) || ||<-5> || ---- ||<-5> [[대한민국 영화대상|[[파일:대한민국 영화대상 로고 (2).png|width=250]]]] || ||<-5> [[파일:대한민국 영화대상 트로피.png|height=100]] || ||<-5> '''{{{#fff {{{+1 여우주연상}}}}}}''' || || || {{{+1 →}}} || '''제1회[br]([[2002년]])''' || {{{+1 →}}} || '''제2회[br]([[2003년]])''' || || ''신설'' || {{{+1 →}}} || '''문소리[br]([[오아시스(영화)|오아시스]])''' || {{{+1 →}}} || 문소리[br]([[바람난 가족]]) || ||<-5> || || '''제1회[br]([[2002년]])''' || {{{+1 →}}} || '''제2회[br]([[2003년]])''' || {{{+1 →}}} || '''제3회[br]([[2004년]])''' || || 문소리[br]([[오아시스(영화)|오아시스]]) || {{{+1 →}}} || '''문소리[br]([[바람난 가족]])''' || {{{+1 →}}} || [[전도연]][br]([[인어공주(한국 영화)|인어공주]]) || ||<-5> || ---- }}} || ||<-2> '''{{{+1 문소리}}}[* '문씨 집안과 이씨 집안 사이에서 태어난 작은 아이' 라는 뜻으로 아버지가 지었다고 한다. ^^[[https://weekly.donga.com/List/3/all/11/84199/1|관련 인터뷰]]^^][br]文素利[*훈음 본디 __소__ 이로울 __리__] | Moon Sor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8835a17-e22c-4177-aecb-d3b857053372.jpg|width=100%]]}}} || ||<|2> '''출생''' ||[[1974년]] [[7월 2일]] ([age(1974-07-02)]세) || ||[[부산광역시|(정부 직할) 부산시]] [[부산진구]] [[연지동(부산)|연지동]][br](現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부산)|연지동]])||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남평 문씨]] (南平 文氏) || || '''신체''' ||164cm, [[A형]] || ||<|2> '''가족''' ||아버지 문창준, 어머니 이향란[* 부모 모두 [[한끼줍쇼]] [[함소원]] 편에 얻어먹는 집으로 출연했다. 어머니인 이향란은 현재 시니어 모델이며 배우 활동도 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인 문창준은 개인택시 기사 출신으로 [[한나라당]] 서민정책특별위원회 택시대책위원장을 지냈다. ], 남동생 || ||배우자 [[장준환]]^^(2006년 결혼 ~ 현재)^^[br]딸 장연두^^(2011년 8월 4일생)^^ || || '''학력''' ||부산연지국민학교 {{{-2 (전학)}}}[br][[서울삼전초등학교|서울삼전국민학교]] {{{-2 (졸업)}}}[br]석촌중학교 {{{-2 (졸업)}}}[br][[잠실여자고등학교]] {{{-2 (졸업)}}}[br][[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2 (교육학 / 학사)}}}[br][[중앙대학교 대학원|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 (영상예술학 / 석사)}}} || || '''종교''' ||[[불교]] || || '''소속사''' ||[[씨제스 스튜디오]]|| || '''데뷔''' ||[[2000년]] 영화《[[박하사탕(영화)|박하사탕]]》[br]{{{-2 '''(데뷔일로부터''' '''[dday(2000-01-01)]일, [age(2000-01-01)]주년''')}}} || || '''MBTI''' ||[[INFJ]][* [[https://now.naver.com/l/1744072#|관련 영상]]][* 2023년 5월 9일 기준 ] || || '''링크''' ||[[http://c-jes.com/portfolio_page/moon-so-r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A pioneering artist who is unafraid of the new, taking Korean cinema to a new height. >한국 영화의 격을 높이는 아티스트, 새로움을 두려워하지 않는 개척자. > >The secret charm of Moon lies in how she uses her body in detail. The actor tunes up her body with extremely intricate details depending on the character she plays. They reveal the stunning level of details Moon pursues. >문소리의 은밀한 매력은 그가 육체를 사용하는 디테일에 있다. 그녀는 캐릭터에 따라 극도로 세밀하게 육체를 조율한다. 그게 '배우 문소리의 격'이다. >---- > '200 Korean Actors 캠페인 - Moon Sori' 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소리_라이프.gif|width=100%]]}}} || || {{{#white '''▲ 드라마 《[[라이프(드라마)|{{{#FFFFFF 라이프}}}]]》 中'''}}} ||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감독]], [[작가]], [[프로듀서]]. [* [[2021년]] [[12월]] 기준으로 배우, 감독은 물론 작가, 프로듀서까지 네 개의 직업을 가지고 있는 아주 스펙트럼이 넓은 사람이다.] == 배우 활동 == [[1999년]] [[김지운]] 감독이 연출하고 [[신하균]]과 공연한〈사랑의 힘〉이라는 단편영화에 출연했지만, 영화가 정식으로 개봉되지 못했다. 이후 같은 해인 1999년에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영화)|박하사탕]]》[* 오디션 경쟁률 2000:1 ]을 통해 스크린에 데뷔함과 동시에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된다. [[2002년]] 같은 감독(이창동)과 남자주연배우(설경구)와 함께 한 영화 《[[오아시스(영화)|오아시스]]》에서 [[뇌성마비]] 장애인[* 한 [[신경외과]] 의사는 저서에서 이 영화를 보면서 문소리의 연기가 워낙 출중하여 진짜로 [[뇌성마비]]가 있는 배우를 캐스팅한 줄 알았다고 했다. 이것은 관객들도 마찬가지였다.]을 연기했고,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신인배우상'''을 받게 되면서 여러 언론의 찬사를 받으며 [[연기력]]으로 인정받는다. [[2004년]]에는 [[송강호]]의 제안으로《[[효자동 이발사]]》에 출연하여 흥행 배우의 반열에도 올라섰다. 그 이후로는 흥행과 거리가 있는 작품들에 주로 출연해 왔으나 [[금요일엔 수다다]]에서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그동안 [[손익분기점]]을 못 넘은 작품이 비운의 수작 《[[사과(영화)|사과]]》를 제외하고는 없다고 하며 손익분기점이 높은 대규모 스케일의 작품보다는 소소한 작품들 위주의 행보를 보인 덕분이다. 절정의 [[연기력]]을 보여주는 영화에 비해 드라마와는 인연이 없다는 평을 받는다. [[2007년]]에는《[[태왕사신기]]》의 여주인공으로 출연했으나 [[배용준]]과 [[이지아]]만큼 분량이 크지 않았다. 그 때 그녀가 출연한 영화가 [[핸드볼]] 선수로 분한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이다. [[2008년]] 주인공으로 출연한 [[MBC]] 드라마 《내 인생의 황금기》에서는 심지어 [[연기력]] 논란에 시달렸다. 과장이 아니라 당시 해당 드라마에서 밋밋하고 불안한 시선을 동반한 표정 연기나 아무 어조가 없는 대사 전달, 발성 등 최악의 연기를 보였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위의 연기력 논란에 대한 옹호 의견을 보자면 연극배우 출신으로서 폭넓은 감정과 비교적 긴 인터벌을 통해 연기가 발현되는 타입이라서, 쪽대본 드라마에서는 그의 연기 스타일이 적절하지 않은 듯하다. 그 이후로는 드라마 출연을 자제하는 듯 했지만, [[2013년]]과 [[2016년]] 다시 드라마에 출연했고 예전보다는 훨씬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0년]]대 들어서선 [[홍상수]] 감독의 영화에도 자주 출연했으며 배역의 크기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 꾸준히 얼굴을 비추고 있다. [[2016년]]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대한민국]] 배우로선 최초로 심사위원 자격으로 참가하여 일정을 소화하였다. [[대학원]]을 다니면서 단편영화 몇 편을 감독했는데, 나름 호평을 받았다. [[2017년]]에는 그중 몇 편[* 2 편은 2014년 '여배우', 2015년 '최고의 감독'이다.]을 모아 만든 장편 《[[여배우는 오늘도]]》를 정식 개봉하기도 했다. 문소리 본인이 대변하는 [[한국]] 여배우들의 현실적이고 생활적인 모습들을 담은 영화다. == 출연 작품 == === 영화 === ##주연, 조연으로 기재된 영화만 표에 작성 바랍니다. 단역, 특별출연, 우정출연, 카메오 등은 취급하지 않습니다. ##개봉된 장편영화만을 기재합니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color: #fff" {{{#!folding Filmography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박하사탕(영화)|[[파일:external/img.movist.com/43_p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오아시스(영화)|[[파일:external/fdb69d87a1c7f2b5316aa44da7e594e333c2d6b119d92ff38dba8880847609bc.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바람난 가족|[[파일:영화 바람난 가족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효자동 이발사|[[파일:external/76412a8b8884d8b27564b84fb2f6eaf64b3087a7016a33b6b4e12721285da462.jpg|width=100%]]]]}}} || || [[박하사탕(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박하사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0. 1. 1'''}}}[br]{{{-3 이창동 감독 / 윤순임 역}}} }}} || [[오아시스(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오아시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2. 8. 15'''}}}[br]{{{-3 이창동 감독 / 한공주 역}}} }}} || [[바람난 가족|{{{#!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바람난 가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3. 8. 15'''}}}[br]{{{-3 임상수 감독 / 은호정 역}}} }}} || [[효자동 이발사|{{{#!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효자동 이발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5. 5. 5'''}}}[br]{{{-3 임찬상 감독 / 김민자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랑해, 말순씨|[[파일:사랑해, 말순씨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파일:06031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가족의 탄생(영화)|[[파일:movie_ima78g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파일:8UqtgQq.jpg|width=100%]]]]}}} || || [[사랑해, 말순씨|{{{#!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사랑해, 말순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5. 11. 3'''}}}[br]{{{-3 박흥식 감독 / 김말순 역}}} }}} ||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6. 3. 16'''}}}[br]{{{-3 이하 감독 / 조은숙 역}}} }}} || [[가족의 탄생(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가족의 탄생'''}}}}}}]]{{{#!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6. 5. 18'''}}}[br]{{{-3 김태용 감독 / 미라 역}}} }}}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8. 1. 10'''}}}[br]{{{-3 임순례 감독 / 미숙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과(영화)|[[파일:external/8cd5f30fb12be86ce4831f98f988a3bf48eb3a687dbb73135d7ea0f5bc67bfe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날아라 펭귄|[[파일:날아라펭귄영화.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하하하(영화)|[[파일:external/69ec9c4213ce43b95946afaf46e883d7addcf0f0060542bb9ca819cf9b34274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다른나라에서|[[파일:external/8b068c5cf7059eefb85f8ac389593e3e2ee039a7faaff7450863cde7438f3a08.jpg|width=100%]]]]}}} || || [[사과(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사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8. 10. 16'''}}}[br]{{{-3 강이관 감독 / 현정 역}}} }}} || [[날아라 펭귄|{{{#!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날아라 펭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09. 9. 24'''}}}[br]{{{-3 임순례 감독 / 송희정 역}}} }}} || [[하하하(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하하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0. 5. 5'''}}}[br]{{{-3 홍상수 감독 / 왕성옥 역}}} }}} || [[다른나라에서|{{{#!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다른나라에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조연'''}}}}}} {{{#202020 {{{-2 '''2012. 5. 31'''}}}[br]{{{-3 홍상수 감독 / 금희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분노의 윤리학|[[파일:분노의 윤리학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스파이|[[파일:external/image.cine21.com/16_02_32__520dce88b581e%5BF230,329%5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관능의 법칙|[[파일:external/img.movist.com/54_p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만신(영화)|[[파일:attachment/mansin.jpg|width=100%]]]]}}} || || [[분노의 윤리학|{{{#!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분노의 윤리학'''}}}}}}]]{{{#!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3. 2. 21'''}}}[br]{{{-3 박명랑 감독 / 김선화 역}}} }}} || [[스파이(2013)|{{{#!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스파이'''}}}}}}]]{{{#!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3. 9. 5'''}}}[br]{{{-3 이승준 감독 / 영희 역}}} }}} || [[관능의 법칙|{{{#!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관능의 법칙'''}}}}}}]]{{{#!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4. 2. 13'''}}}[br]{{{-3 권칠인 감독 / 조미연 역}}} }}} || [[만신(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만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4. 3. 6'''}}}[br]{{{-3 박찬경 감독 / 70년대 김금화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자유의 언덕|[[파일:external/c7de51f2178a4d36f42d22fc2e1ece9c420c5809e2473fd9d892cc55a8da321c.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필름시대사랑|[[파일:영화 필름시대사랑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특별시민|[[파일:특별시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여배우는 오늘도|[[파일:여배우는 오늘도(포스터).jpg|width=100%]]]]}}} || || [[자유의 언덕|{{{#!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자유의 언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4. 9. 4'''}}}[br]{{{-3 홍상수 감독 / 영선 역}}} }}} || [[필름시대사랑|{{{#!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필름시대사랑'''}}}}}}]]{{{#!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5. 10. 22'''}}}[br]{{{-3 장률 감독 / 병원 청소부 역}}} }}} || [[특별시민|{{{#!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특별시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7. 4. 26'''}}}[br]{{{-3 박인제 감독 / 정제이 역}}} }}} || [[여배우는 오늘도|{{{#!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여배우는 오늘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7. 9. 14'''}}}[br]{{{-3 문소리 감독 / 문소리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리틀 포레스트(한국 영화)|[[파일:리틀포레스트메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파일:3023056415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배심원들|[[파일:배심원들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메기(영화)|[[파일:메기(2019).jpg|width=100%]]]]}}} || || [[리틀 포레스트(한국 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리틀 포레스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8. 2. 28'''}}}[br]{{{-3 임순례 감독 / 혜원 엄마 역}}} }}} ||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8. 11. 8'''}}}[br]{{{-3 장률 감독 / 송현 역}}} }}} || [[배심원들|{{{#!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배심원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9. 5. 15'''}}}[br]{{{-3 홍승완 감독 / 김준겸 역}}} }}} || [[메기(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메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19. 9. 26'''}}}[br]{{{-3 이옥섭 감독 / 이경진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자매(영화)|[[파일:세자매(영화)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파일: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_메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울대작전|[[파일:서울대작전_메인포스터.jpg|width=100%]]]]}}} || || || [[세자매(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세자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21. 1. 27'''}}}[br]{{{-3 이승원 감독 / 미연 역}}} }}} ||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조연'''}}}}}} {{{#202020 {{{-2 '''2022. 4. 27'''}}}[br]{{{-3 김지훈 감독 / 건우 엄마 역}}} }}} || [[서울대작전|{{{#!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서울대작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c4c4c; font-size: 0.75em" {{{#fff '''주연'''}}}}}} {{{#202020 {{{-2 '''2022. 8. 26'''}}}[br]{{{-3 문현성 감독 / 강인숙 역}}} }}} || || }}}}}}}}} || ||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99년]] || '''[[박하사탕(영화)|박하사탕]]''' || '''윤순임''' || 장편 상업영화 데뷔작 || || [[2000년]] || 블랙 컷 || 미숙 ||<|3> 단편 || ||<|2> [[2001년]] || 외계의 제19호 계획 || 처녀귀신 || || 봄산에 || 정우 || || [[2002년]] || '''[[오아시스(영화)|오아시스]]''' || '''한공주''' || || || [[2003년]] || '''[[바람난 가족]]''' || '''은호정'''[* 본래 이 배역은 [[김혜수]]가 출연 계약을 했지만 이후 [[장희빈(KBS)|장희빈]]을 선택해버리면서 [[문소리]]가 낙점되었다.] || || || [[2004년]] || '''[[효자동 이발사]]''' || '''김민자''' || || ||<|2> [[2005년]] || '''사랑해, 말순씨''' || '''김말순''' || || ||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 || 문소리 || 다큐멘터리 || ||<|2> [[2006년]] ||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 || '''조은숙''' || || || '''[[가족의 탄생(영화)|가족의 탄생]]''' || '''미라''' || || ||<|2> [[2008년]]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 '''한미숙''' || || || '''[[사과(영화)|사과]]''' || '''현정''' || || ||<|4> [[2009년]] ||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 내레이션 || 다큐멘터리 || || [[잘 알지도 못하면서]] || 서울 여자 || 단역, 목소리 출연 || || [[날아라 펭귄]] || 송희정 || 옴니버스 || || 디 엔드 || || 단편 || ||<|3> [[2010년]] || [[작은 연못#s-2]] || 피난민 || 단역 || || '''[[하하하(영화)|하하하]]''' || '''왕성옥''' || || || [[하녀(2010)|하녀]] || 의사 || || || [[2011년]] || '''[[마당을 나온 암탉(애니메이션)|마당을 나온 암탉]]''' || '''잎싹''' || 목소리 출연 || || [[2012년]] || [[다른나라에서]] || 금희 || || ||<|3> [[2013년]] || '''분노의 윤리학''' || '''김선화''' || || || '''[[스파이(2013)|스파이]]''' || '''안영희''' || || || 베니스 70 : 미래 재장전 || 문소리 || 단편, 옴니버스 || ||<|6> [[2014년]] || '''[[관능의 법칙]]''' || '''조미연''' || || || '''[[만신(영화)|만신]]''' || '''김금화''' || || || '''[[자유의 언덕]]''' || '''영선''' || || || 아카이브의 유령들 || || 단편, 옴니버스 || || 여배우[*A 2017년에 다른 2편의 단편을 더해서 [[여배우는 오늘도]]라는 하나의 장편으로 개봉하였다.] || 문소리 ||<|2> 단편, 감독, 각본 || || 여배우는 오늘도[*A] || 문소리 || ||<|3> [[2015년]] || 동행 || || 단편 || || 최고의 감독[*A] || 문소리 || 단편, 감독, 각본 || || 필름시대사랑 || 병원 청소부 || || ||<|2> [[2016년]] || '''[[아가씨(영화)|아가씨]]''' || '''이모''' ||<|2> 특별출연 || || [[가려진 시간]] || 민경희 || ||<|4> [[2017년]] || [[특별시민]] || 정제이 || || || '''[[여배우는 오늘도]]''' || '''문소리''' || 감독, 각본[* 2014년, 2015년에 만든 단편영화 '여배우', '여배우는 오늘도', '최고의 감독' 3편을 모아 완성한 장편이다.] || || [[전체관람가(JTBC)/방영목록#s-1.2|아빠의 검]] || 퇴근하는 마담 || || || [[1987(영화)|1987]] || 호헌철폐 선창자 || 특별출연[* 거의 목소리 출연이나 다름없다. 문소리라고 말하지 않으면 모를 정도로 희미하게 나왔다. 동시에 데모씬 보조출연진 연기지도도 했다.] || ||<|2> [[2018년]] || '''[[리틀 포레스트(한국 영화)|리틀 포레스트]]''' || '''혜원 엄마''' || || ||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 '''송현''' || || ||<|2> [[2019년]] || '''[[배심원들]]''' || '''김준겸''' || || || '''[[메기(영화)|메기]]''' || '''이경진''' || || || [[2020년]] || 에듀케이션 || || 지도교수 || ||<|2> [[2021년]] || '''[[세자매(영화)|세자매]]''' || '''전미연''' || 공동 프로듀서 || || 갈매기 || || 지도교수 || ||<|3> [[2022년]] ||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 '''안애숙''' || || || 홈리스 || || 지도교수 || || '''[[서울대작전]]''' || '''강인숙'''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 [[2023년]] || [[좋.댓.구]] || 문소리 || 독립, 특별출연 || === 드라마 === ||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 [[2007년]] ||<|2>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태왕사신기]]''' || '''가진'''/'''서기하''' || || || [[2008년]] || 내 인생의 황금기 || 이황 || || || [[2013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드라마 페스티벌]] - 하늘재 살인사건''' || '''정분''' || 단막극 || || [[2016년]]~[[2017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푸른 바다의 전설]] || [[푸른 바다의 전설/등장인물#s-5.2|사월/안진주]] || || || [[2018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라이프(드라마)|라이프]]''' || '''[[오세화]]''' || || ||<|2> [[2020년]]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보건교사 안은영(드라마)|보건교사 안은영]] || 화수 || 특별출연 || ||<|2>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SF8#s-3.8|SF8 - 인간증명]] || 가혜라 || 앤솔로지 || || [[2021년]] || '''[[미치지 않고서야(드라마)|미치지 않고서야]]''' || '''[[미치지 않고서야(드라마)/등장인물#당자영|당자영]]''' || || ||<|2> [[2023년]]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퀸메이커]] || [[퀸메이커/등장인물#오경숙|오경숙]] || || ||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40]]]] || [[레이스(드라마)|레이스]] || 구이정 || || ||<|2> [[2024년]]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지옥(시즌 2)|지옥 2]] || ||<|2> 특별출연 ||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정년이(드라마)|정년이]] || [[정년이(드라마)/등장인물#주변인물|서용례]] || || 미정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폭싹 속았수다]] || [[폭싹 속았수다/등장인물#애순|애순]] || || === 방송 === ||
'''방영연도''' || '''방송사''' || '''제목''' || '''비고''' || || [[2003년]] ||<|2> [[한국교육방송공사|[[파일:EBS 로고(2001-2004).svg|width=40]]]] ||<|2> 시네마 천국 || 진행[* [[김태용]] 영화감독과 공동 진행.] || ||<|2> [[2004년]] || 게스트 (500회 특집)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사과나무 - 내 인생의 사과나무 || 게스트 || || [[2006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 게스트[* 영화 '여교수의 은밀한 매력' 홍보차 [[지진희]]와 동반 출연.] || ||<|2> [[2008년]] ||<|2>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무릎팍도사]] || 게스트 || || [[공감토크쇼 놀러와]] || 게스트[*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홍보차 [[김지영(1974)|김지영]], [[김정은(배우)|김정은]]과 동반출연.] || ||<|2> [[2014년]]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런닝맨]] || 게스트[* 영화 '관능의 법칙' 홍보 차 [[엄정화]], [[조민수(배우)|조민수]]와 동반출연.] || || [[매직 아이#s-3]] || 진행 || || [[2017년]] ||<|2>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전체관람가(JTBC)|전체관람가]] || || || [[2018년]] || [[방구석1열]] || 게스트[* 8월 24일분. 남편 장준환, [[전여빈]]과 함께 출연.] || ||<|3> [[2019년]]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내가 사랑한 아리랑 || || || [[다큐멘터리 3일]] [br] 여기, 그들이 있다 - 국립중앙의료원 72시간 || 내레이션 ||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가시나들]] || 고정 출연 || || [[2019년]]~[[2020년]][* 2019년 12월 29일~2020년 1월 5일, 2주 방영.]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집사부일체]] || 사부 출연[* 남편 장준환과 함께 출연.] || ||<|4> [[2021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아는 형님]] ||<|2> 게스트[*B 영화 '세 자매' 홍보차 [[장윤주]] [[김선영(배우)|김선영]]과 함께 출연.] || || [[E채널|[[파일:E채널 로고.svg|width=30]]]] || [[노는 언니]]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width=40]]]] || [[카카오TV 모닝]] - [[톡이나 할까?]] || 게스트 ||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전지적 참견 시점]] || 게스트[* 영화 '세 자매' 홍보차 출연] || ||<|2> [[2022년]] || [[티빙|[[파일:TVING 로고.svg|width=40]]]] || [[전체관람가+: 숏버스터]] || || || [[디스커버리 채널 코리아|[[파일:디스커버리 채널 로고.svg|width=55]]]] || 잠적 || 출연 || === 라디오 === ||
'''방영연도''' || '''방송사''' || '''제목''' || '''비고''' || || [[2016년]] || [[EBS FM|[[파일:EBS FM 로고.svg|width=40]]]] ||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 게스트 || ||<|3> [[2019년]] || [[SBS 파워FM|[[파일:SBS 파워FM 로고.svg|width=40]]]] || [[두시탈출 컬투쇼]] || 게스트[*A 영화 '배심원들' 홍보차 [[박형식]]과 함께 출연.] || || [[KBS 2FM|[[파일:logo-coolfm.png|width=40]]]] || [[사랑하기 좋은날|사랑하기 좋은날 이금희입니다]] || 게스트 || || [[SBS 러브FM|[[파일:SBS 러브FM 로고.svg|width=40]]]] || [[언니네 라디오]] || 게스트[*A] || === CF === * [[2004년]] : [[르노삼성]] [[SM5]] [youtube(DMBUucc_RVQ)] * [[2015년]] : [[카카오 T]] [youtube(9_fOOx6mOiQ)] * [[2016년]] : [[KB국민카드]] * [[2020년]] : [[오퓨리]] [youtube(pj5B4GCeQx8)] * [[2022년]] : [[KB국민카드]] [youtube(auwMTDy6a4w)] [youtube(DMfhIvekZGU)] * [[2022년]] : [[캠페인무비히어로]][* 캠페인 광고다]. [youtube(K8uyUOGWgaw)] === 공연 ===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06년]] || 슬픈연극 || 심숙자 || 대학로 정보소극장 || || [[2006년]] || 거기 || 김정 || 대학로 예술마당 2관 || || [[2010년]] || 광부화가들 || 헬렌 서덜랜드 || 명동예술극장 || || [[2016년]] || 빛의 제국 || 장마리 || 명동예술극장 || || [[2018년]] || 낫심 || ||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 || || [[2019년]] || 사랑의 끝[* 2016년, 연극 빛의 제국을 연출한 아르튀르 노지시엘이 빛의 제국에 출연했던 문소리, 지현준과 다시 한 번 함께 작업하기를 먼저 제안했다고 한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2951688&memberNo=37451778|네이버 포스트]]] || 여자 || 우란문화재단 우란2경 || || [[2022년]] || 광부화가들[* 광부화가들 초연(2010)이후 12 년 만에 참여] || 헬렌 서덜랜드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 수상 경력 == ||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8> [[2002년]] || '''제59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 '''신인배우상''' ||<|10> '''[[오아시스(영화)|오아시스]]''' || || '''제10회 [[춘사국제영화제|이천춘사대상영화제]]''' || '''올해의 여우주연상''' || || '''제2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여우주연상''' || || 제23회 [[청룡영화상]] || 신인여우상 || || 제5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 올해의 신인연기자상 || || '''[[문화체육관광부|문화관광부]]''' || '''옥관문화훈장^^(4등급)^^''' || || '''제3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연기상''' || || '''[[씨네21/올해의 영화·영화인#s-3.1|씨네21 영화상]]''' || '''올해의 여자배우''' || ||<|8> [[2003년]] || '''제29회 시애틀 국제영화제''' ||<|4> '''여우주연상''' || || '''제13회 스톡홀롬 국제영화제''' || || '''제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9> '''[[바람난 가족]]''' || || '''제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 || '''제11회 [[춘사국제영화제|이천춘사대상영화제]]''' || '''올해의 여우주연상''' || || '''제6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 '''올해의 여자연기자상''' || || '''제4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연기상''' || || '''[[씨네21 영화상]]''' || '''올해의 여자배우''' || ||<|3> [[2004년]] || '''제1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 '''최고의 여자배우상''' || || '''제41회 [[대종상 영화제]]''' || '''여우주연상''' || || '''제1회 대한민국대학영화제''' || '''최고의 여배우상''' || || [[2006년]] || '''제47회 데살로니키 국제 영화제''' || '''여우주연상''' || '''[[가족의 탄생(영화)|가족의 탄생]]''' || || [[2008년]] || [[MBC 연기대상]] || 여자 우수연기상 || '''[[내 인생의 황금기]]''' || || [[2010년]] || '''제19회 [[부일영화상]]''' || '''여우주연상''' || '''[[하하하(영화)|하하하]]''' || ||<|2> [[2016년]] || 제18회 정동진독립영화제 || 땡그랑동전상 || '''최고의 감독''' || || '''제7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 제3회 스타라이트 시네마 어워즈''' || '''인터내셔널상''' || || ||<|2> [[2017년]] || 제1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 여우조연상 || '''[[아가씨(영화)|아가씨]]''' || || 제5회 [[Marie Claire|마리끌레르]] 아시아 스타 어워즈 || 특별상 || '''[[여배우는 오늘도]]''' || ||<|4> [[2018년]] || 제2회 [[더 서울 어워즈]] || 드라마부문 여우조연상 || '''[[라이프(드라마)|라이프]]''' || || '''제38회 하와이국제영화제''' || '''공로상''' ||<|3> '''[[여배우는 오늘도]]''' || || '''제2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제38회 [[황금촬영상]] || 촬영감독이 뽑은 여자인기상 || ||<|4> [[2021년]] || '''제41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2> '''여우주연상''' ||<|4> '''[[세자매(영화)|세자매]]''' || || '''제42회 [[청룡영화상]]''' || || '''제22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연기상''' || || 제41회 [[황금촬영상]] || 심사위원 특별상 ||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000 - 2008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탈당 || || [include(틀:진보신당)] || 2008 - 2012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2 - || 해산 || == 단행본 == 출간, 수록 년도순 배열. === 단독 저서 === === 공동 저서 === * 부디 계속해주세요(한일 젊은 문화인이 만나다) (2018/03) [* 일본의 영화 감독인 니시카와 미와와 만나서 대화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이 책은 문소리, 니시카와 미와 말고도 8 명의 인물들이 나오는데, 총 10 명이 이 책의 공동 저서다.] * 세 자매 이야기(시나리오부터 제작기, 인터뷰, 현장 스틸, 영화평까지) (2021/01) [* 영화 세자매 감독인 이승원과 공동 저자.] * 세 발로 하는 산책 (2021/09) [* 올케 류영화와 공동 저자.] [* 책의 일러스트는 강숙이라는 작가가 맡았다. 강숙 작가는 '여배우는 오늘도'에 나오는 친구 역할을 맡은 사람 중 한 명이다. 영화를 계기로 친해졌고, 강숙이 자연스럽게 달마, 보리의 그림들을 그렸기에 본인은 강숙 작가가 맡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출판사인 마음산책에 강숙이 그린 그림을 보냈는데 출판사 마음산책은 마음에 들어했고, 그렇게 강숙 작가가 맡을 수 있었다고 하며 강숙 작가 말로는 그 과정이 힘들었다고 한다. 내용의 일부 출처는 북토크.] == 여담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DangerousVastSoreTramp, 합의사항1='시상식 중 이태원 사고 관련 발언'은 논란 및 사건사고 또는 비판으로 작성할 수 없다. 이러한 발언 자체를 했다는 객관적 사실은 여담 문단에 작성 가능했다)] * 극단 차이무 출신. * 남편이 《[[지구를 지켜라!]]》,《[[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1987(영화)|1987]]》을 감독한 [[장준환]] 감독이다. [[정재일]]의 '눈물 꽃'이라는 뮤직비디오에서 문소리가 주연을 맡았고, 장준환 감독이 연출을 했다. 결혼식 사회는 아나운서 [[이금희]]가 맡았다. * 초등학교 5학년 때 부모님과 함께 서울로 상경했다. * 영화 《오아시스》를 위해, 뇌성마비 장애를 가진 분들을 찾아가서, 친해지려고 노력을 했다고 한다. 사실 그 전에 문소리는 교육봉사활동을 하고 있었으나, 봉사활동과 다르게 친해지는 게 어려웠다고. "언니 사는 것도 좀 보고 싶어요." 라며 하룻밤 재워달라고 부탁했는데, 하룻밤 자는 건 그렇게 달랐다고 한다. 밥이 안 넘어갔고, 결국 안 되겠다 싶어 집에 돌아간 후에 스스로에게 실망하고, 이창동 감독에게 못하겠다고 전했는데 이창동 감독은 오히려 우리 모두가 비슷할 거라며, 달래주셨다고 한다. [[https://youtu.be/w5FRF_aErHM|관련 영상]] * 영화 《오아시스》의 한공주를 맡았을 때 6개월 이상 턱관절을 한쪽으로 쓰다 보니, 턱은 돌아가고, 어깨는 한쪽으로 올라가(견갑골, 쇄골 불균형) 지금도 계속 운동을 하고 있다고 한다. [[https://youtu.be/w5FRF_aErHM|관련 영상]] * [[설경구]]와 영화에서 세 번이나 커플로 만났으며 《박하사탕》, 《오아시스》, 《스파이》. 실제로도 설경구와 친하다고 한다. 설경구 인터뷰에서 작품을 같이 하지 않더라도 개인적으로 만나는 사이라고. [[송강호]]는 문소리가 설경구한테만 오빠라 하고 자기한텐 여전히 깍듯이 선배님이라고 해서 섭섭하다고 한다. 그러나, 2017년에 촬영된 영화 (개봉은 2022년)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에서 가해자 부모와 피해자 부모로 만나게 되었는데 아무래도 역할이 역할인지라 개인적으로 만나지 못 했다고 한다. [[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2204251105026710|설경구 인터뷰]] * 과거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당원이었다. 이는 [[성균관대학교|성대]] 선배인 [[박용진(정치인)|박용진]]의 영향이 컸다고 밝힌바 있다. 실제로 성대 시절에는 [[운동권]] 쪽에 있었다고 한다. 시위 하다가 유치장 신세를 지기도 했다고. 지금은 당적이 없다고 한다. 그래도 경험이 경험인지라, 남편의 연출작인 [[1987(영화)|1987]]에서 배우들에게 시위 장면을 지도해 주었다고 한다. * 필모그래피에 노출과 베드신이 나오는 영화가 많다. 한 인터뷰에서 본인이 말한 바로는 초기에 그런 촬영이 있을 땐 멘탈이 엄청나게 흔들렸다고 하는데,[*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자신의 전라 상태와 성적인 연기를 많은 스태프들이 전부 보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이제는 늘 마음을 굳게 먹고 촬영에 임한다고 한다.[* 다행히 그 이전에 연기력으로 주목을 더 받은 배우라, 노출로만 출연 영화가 관심을 받거나 이미지가 굳어지는 일은 없었다.] * 임신했을 당시에도 《다른나라에서》라는 영화에 출연했는데, 임산부로 나왔다. 훗날 기자회견에서 [[홍상수]] 감독님 덕분에 순산했단 말을 남기기도 했다. * 영화 《오아시스》 OST 수록곡 중 '내가 만일'은 [[안치환]]의 동명의 곡을 리메이크해 문소리가 부른 버전인데, 이 버전이 [[제18대 대통령 선거]] 당시 [[문재인]] 후보의 선거 광고에 삽입되었다. * 2015년, 남편 [[장준환]]과 같이 영화사 연두를 설립하였다.[[https://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bFlOSVlWaHoxUTdibTFTQzVVQVdhUT09|#]] 대표자 명은 남편 이름인 장준환으로 되어있으며, 본인이 연출한 [[여배우는 오늘도]]의 제작, 그리고 남편인 장준환의 영화 [[1987(영화)|1987]]도 공동제작했다고 한다. 덧붙여 영화 [[세자매(영화)|세자매]]도 공동제작했다고. * 2017년에 열린 [[부산국제영화제]]에 참석해 일본의 배우 [[나카야마 미호]]와 함께 오픈 토크 시간을 가졌다. [[http://naver.me/5hxP91OZ|#]] * 술을 좋아한다. 2017년 기준, 예전에 많이 먹을 때는 독주를 좋아했고 고량주, 보드카 둘 다 도수가 높은 걸 즐겨 마셨다고. [[https://youtu.be/yhQm0cOqvng|[* 해당 영상에서는 술을 안 마신지 좀 됐다고 하지만 2023년 4월 6일 문명특급에서 나온 모습을 보면 다시 즐겨 마시는 것으로 보인다. ]]] * [[마녀사냥(JTBC)|마녀사냥]]에 출연해 "남자들이 여자를 뭘 지켜 하고 싶지 그냥, 여자가 문화재야? 뭘 지켜!"라고 말을 해서 스튜디오의 모든 사람들이 다 뒤집어졌다. * [[성균관대학교]] 졸업 후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에 지원, 합격 후 등록까지 했었다가 ,《박하사탕》의 오디션에 합격하고 진학과 영화 사이에서 고민하다가 [[이창동]] 감독과의 상의 후 영화촬영을 선택했다고 한다. 진학을 포기하고 등록금을 환불받았다고 한다.[* 북토크에서 밝힌 바로는 [[박하사탕]]에 출연하여 받는 출연료와 입학 비용이 같았다고 한다.경제적인 부분에서 고민하다 등록 포기를 한 모양으로 보인다.] 훗날 이야기를 들은 [[장항준]] 감독이 학과 후배가 될 뻔 했다며 매우 아쉬워 했다고 했다. *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에서 '송현'의 이름은 본인이 직접 개인적으로 써 왔던 이름이라고 한다. 몇 년 전에 누군가가 이름을 바꾸면 운이 따르니, 바꾸면 어떻겠느냐는 제안을 들었지만 문소리라는 이름을 쉽게 바꿀 수는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송현이라는 이름은 집에서 종종 썼는데, 인터넷으로 택배를 주문했을 때 사용했다고 한다. 이걸 감독인 장률에게 말했더니 그걸 이름으로 사용하자고 해서 사용하게 된 것이었다.[* [[http://m.cine21.com/news/view/?mag_id=91669|인터뷰]]] * 본인이 전에도 종종 낯을 가린다고 언급했지만, 2021년 1월 23일 <[[전지적 참견 시점]]>이란 프로그램에 나와[* 영화 세자매 홍보차.] 본인은 어렸을 때부터 낯을 많이 가렸다고 말했고, 심한 탓에 어렸을 때도 택시를 타질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또한, 보통 사람들은 취하게 되면 낯을 가리는 게 풀리는 게 정상인데 본인은 취하면 더 낯을 가린다고 해 스튜디오에 있는 모두를 놀라게 했다.[* [[http://stoo.com/article.php?aid=70021874095|관련 기사]]] * 2021년 1월, <[[세자매(영화)|세자매]]>에서 둘째 딸 전미연 배역을 연기하면서 김상수 프로듀서와 함께 초고 단계부터 영화 프로듀싱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세 자매 이야기>라는 책을 출간하였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526571&memberNo=40748030|관련 인터뷰]]] * 영화 세자매에서 본인이 연기하게 된 둘째 딸 전미연은 설정상 기독교 신자인데, 본인은 불교 신자이다. 영화를 위해 김선영, 장윤주가 다니는 교회를 같이 다녔다고. [* 김선영과 장윤주는 기독교 신자다.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2012300852455161&ext=na|관련 기사]]] * 지금까지 세 발로 하는 산책, 세 자매 이야기(시나리오부터 제작기, 인터뷰, 현장 스틸, 영화평까지), 부디 계속해주세요(한일 젊은 문화인이 만나다)라는 세 권의 책을 집필했다.[* 물론, '부디 계속해주세요'라는 책은 공동 저서다. 신기하게도 세 권의 책이 출판사 마음산책이다.] * 트위터의 '기 존나 쎔' 밈을 알고 있는데, SNS(트위터나 인스타그램)에 본인 이름 서치를 종종한다고 밝혔다. [[https://youtu.be/XBGlDvHMwvk|관련 영상]] * 2022년 9월 즈음, 제주도에 영화사 연두의 사무실이자 작업실을 마련하였다. [[https://youtu.be/GdkY5WByZBk|영상]] * 2022년 11월 25일 제43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시상자로 무대에 올라, [[이태원 압사 사고]]로 사망한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16112|스태프]]의 이름을 언급하며 고인을 추모했다. 그리고 "너를 위한 애도는 이게 마지막이 아니다", "진상 규명되고 책임자 처벌되고 그 이후에 더더욱 진짜 애도를 할게"라고 말했다.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068982.html|#]] * 문소리는 어느 시상식에서 있었던 겨드랑이털 노출 비하인드에 대해 밝혔다. 드레스 피팅과 셋팅을 하며 겨털을 정리하자는 스타일리스트에게 몇가닥 없고 팔을 높게 들일이 없을테니 정리하지 않았다고. 그러나 사람들에게 인사하느라 손을 번쩍 들고 말았고 그 찰나에 사진이 찍혔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062155|#]] [[분류:한국 여배우]][[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1974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남평 문씨]][[분류:부산진구 출신 인물]][[분류:석촌중학교 출신]][[분류:잠실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진보신당 출신]][[분류:민주노동당 출신]][[분류:옥관문화훈장]][[분류:씨제스 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