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문동주, top2=김도영)]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ResoluteWaggishMadlyMonkey, 합의사항1=표제어를 '문동주 vs 김도영'에서 '문김대전'으로 변경 및 문동주-김도영 순으로 서술)]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김15.png|width=100%]] }}} || || '''한화 이글스 No.1''' || '''KIA 타이거즈 No.5''' || || '''[[문동주|{{{#fff {{{+2 문동주}}}[br]Moon Dongju}}}]]''' || '''[[김도영|{{{#fff {{{+2 김도영}}}[br]Kim Doyeong}}}]]'''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년대]] [[KBO 리그]]의 떠오르는 신예 선수인 [[한화 이글스]] 소속 [[선발 투수]] [[문동주]]와 [[KIA 타이거즈]] 소속 [[내야수]] [[김도영]]을 경쟁 관계를 정리한 문서. == 전개 == === 고교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yr6tgh.jpg|width=100%]]}}} || || {{{#FFF '''고교 시절 김도영과 문동주'''}}} || 두 선수 모두 [[KIA 타이거즈]] 연고지인 [[광주광역시|광주]]에서 최고의 투수 유망주와 타자 유망주로 평가됐다. 초반에는 KIA가 최고 154km/h를 구사하는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광주진흥고]]의 [[문동주]]를 지명하고, [[한화 이글스/2020년|2020년 최하위]]로 전국 지명권[* 연고지 선수의 1차 지명 권리를 포기한 후 타 구단의 연고지 선수를 지명할 수 있는 권리로 전년도 8~10위 구단에게 부여된다. 이는 1차 지명 폐지 2년 전인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년 신인드래프트]]에서 처음 시행됐다.]을 보유한 한화가 [[김도영]]을 지명할 가능성이 우세했다. 그러나 김도영의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협회장기]] 대활약과 [[KIA 타이거즈/2021년/문제점|투수진에 비해 부족한 야수진 문제]]로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1차 지명]] 경쟁이 치열해지며, 1차 지명 판도가 흔들렸다. 이후 1차 지명 당일인 2021년 8월 23일, KIA가 고심 끝에 문동주 대신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21&aid=0005557607|김도영을 지명]]했고, 자연스럽게 3일 후 8월 26일 오후 3시에 한화는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11&aid=0001339919|문동주를 지명]]했다.[* 30일까지 지명할 수 있지만, 하루라도 빨리 한화에 소속감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 삼성과 협의 후 일찍 발표했다.[[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10439|#]]] 당시 KIA는 제2의 [[이종범]]이라 불리며 공수주 삼박자를 갖춘 [[5툴 플레이어|5툴]] 완성형 내야수를 얻었고, 한화는 향후 미래를 이끌어 갈 150km/h를 쉽게 던지는 에이스급 강속구 투수를 얻었다는 점에서 모두 윈윈으로 평가 받았다.[* 당시 두 구단의 내야·투수진 상황을 보면 두 선수 모두 즉시 전력감이었다.][* 그래서 KIA 팬들 중 일부는 왜 이 둘이 동시에 나왔냐며 하늘을 원망하기도(...) 했다. --둘 중 하나만 작년에 나왔더라면...-- --그래도 이의리랑 겹친다.-- 공교롭게도 이 둘 이후 광주팜에서 눈에 띄는 선수가 보이지 않자 저 둘이 기 다 빨아간거 아니냐는 개드립이 나오기도(...)] 10월 7일, 김도영은 KIA와 4억원에 입단 계약을 체결했다. 하루 뒤인 10월 8일, 문동주는 한화와 5억원에 입단 계약을 체결했다. 김도영은 이 계약으로 2001년 [[이현곤]]의 3억 5천만원을 뛰어넘은 4억원으로 KIA 야수 역대 최고 규모의 계약금을 받았고, 문동주도 한화 역대 3번째로 규모의 계약금[* 1위는 [[유창식]]의 7억원, 2위는 [[유원상]]의 5억 5천만원이다. 참고로 [[류현진]]은 2억 5천만원으로 문동주는 단순 금액으로만 2배 더 받고 입단했다.]을 받으면서 두 선수 모두 소속 구단으로부터 재능을 인정받았다. 한편 고교 시절 공식 기록 상대전적은 3타수 2안타로 김도영이 우세했다. === 프로 데뷔 이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7Uy_5cmU_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fTOn2DU3jE)]}}} || || '''문동주 입단 기념 인터뷰''' || '''김도영 입단 기념 인터뷰''' || ==== [[KBO 리그/2022년|2022년]] ==== ||<-2>
{{{#FFF '''선수별 2022년 문서'''}}} || || [[문동주/선수 경력/2022년|'''{{{#FFF 문동주}}}''']] || [[김도영/선수 경력/2022년|'''{{{#FFF 김도영}}}''']] || ---- * 시범경기: [[문동주]]가 내복사근 미세파열로 재활을 하는 동안, [[김도영]]은 시범경기 12경기에서 .432의 고타율과 OPS 1.068를 기록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각하며 개막시리즈 엔트리에 합류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김도영이 앞서나가며 신인왕이 될 것으로 점쳐졌다. * 4월: 개막 후 김도영의 시범경기 때 모습은 온데간데 없어졌다. 9일 인천 SSG전, 6경기 만에 '''데뷔 첫 안타'''와 멀티히트 경기를 달성했지만, 이후 계속 고전하며 4월 OPS .445, wRC+ 28.5를 기록했다. 재활을 마친 문동주는 29일 2군에서 프로 데뷔 첫 등판을 가졌고,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 5월: 재활을 마친 문동주가 9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됐고, 다음날 10일 잠실 LG전 8회에 데뷔 첫 등판을 가졌다. 선두타자 [[오지환]]에게 안타를 맞고, [[유강남]]을 상대로 데뷔 첫 탈삼진을 기록했지만, 이후 제구난조로 3피안타 1볼넷 3실점으로 무너졌다. 이후 [[신정락]]과 교체됐고, 승계주자 실점으로 1점 더 실점하며, 최종 ⅔이닝 4피안타 1탈삼진 1볼넷 4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7경기 더 등판한 문동주는 2홀드 ERA 8.38로 첫 한 달을 보냈다. 반면에 김도영은 주로 대타·대수비로 출전하는 와중에 월간 OPS .661를 기록하며 슬슬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 6월: 9일 데뷔 첫 선발 등판을 가진 문동주는 2이닝 4실점을 무너졌고, 이후 견갑하근 부분파열 및 혈종으로 말소됐다. 김도영은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고, 반등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 7월: 문동주는 재활 중이고, 김도영은 1일 인천 SSG전, 데뷔 첫 안타를 기록한 인천에서 '''데뷔 첫 홈런'''을 쏘아올리며 7월을 시작했고, 6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하는 등 슬슬 팬들이 기대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말미에 다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그래도 월간 OPS .930로 데뷔 후 가장 좋은 한 달을 만들었다. * 8월: 재활을 마친 문동주가 퓨처스에서 선발 수업을 받고 있는 동안, 김도영도 7월에 이어 좋은 타격감을 보여줬지만, 수비 중 불의의 열상 부상으로 10바늘을 꿰매고 8월을 조기 마감했다. * 9월: 17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된 문동주는 [[남지민]]을 대신해 선발 로테이션[* 5이닝 제한을 걸어둔 상태로 로테이션을 소화했다.]을 돌며 최고 구속 158km/h를 앞세워 2경기에서 12탈삼진과 ERA 1.80을 기록했다. 10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된 김도영은 .250의 타율과 OPS .862로 그럭저럭 활약했다. * 10월: 3일 대전 SSG전, 마지막 등판을 가진 문동주가 5이닝 4실점(3자책점)으로 복귀 후 가장 많은 실점을 기록했지만, 타선에서 천적 [[박종훈]] 공략을 성공하는 등 7점을 지원해주며 '''데뷔 첫 승'''으로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 김도영은 8일 시즌 최종전에서 3안타 1타점을 기록하며 두 선수 모두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유종의 미를 거뒀다. 한편 문동주는 28⅔이닝을 소화하며 신인왕 자격(30이닝)을 유지했고, 김도영은 신인왕 자격인 60타석을 충족했지만, 고작 2표를 받으며 수상하지 못했다. ---- ||<-15>
{{{#FFF '''문동주 2022년 최종 기록'''}}} || || '''경기'''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ERA''' || '''탈삼진''' || '''승률''' || '''이닝 '''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QS(QS+)''' || '''WAR''' || || '''{{{#000 13[* 선발 4경기 + 구원 9경기]}}}''' || '''{{{#000 1}}}''' || '''{{{#000 3}}}''' || '''{{{#000 0}}}''' || '''{{{#000 2}}}''' || '''{{{#000 5.65}}}''' || '''{{{#000 36}}}''' || '''{{{#000 0.333}}}''' || '''{{{#000 28⅔}}}''' || '''{{{#000 28}}}''' || '''{{{#000 5}}}''' || '''{{{#000 14}}}''' || '''{{{#000 1}}}''' || '''{{{#000 0}}}''' || '''{{{#000 -0.00}}}''' || ||<-9>
{{{#FFF '''김도영 2022년 최종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삼진''' || || '''{{{#000 103}}}''' || '''{{{#000 224}}}''' || '''{{{#000 53}}}''' || '''{{{#000 11}}}''' || '''{{{#000 4}}}''' || '''{{{#000 3}}}''' || '''{{{#000 19}}}''' || '''{{{#000 37}}}''' || '''{{{#000 62}}}''' || || '''볼넷''' || '''사구'''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AR*''' || || '''{{{#000 22}}}''' || '''{{{#000 3}}}''' || '''{{{#000 3}}}''' || '''{{{#000 13}}}''' || '''{{{#000 .237}}}''' || '''{{{#000 .312}}}''' || '''{{{#000 .362}}}''' || '''{{{#000 .674}}}''' || '''{{{#000 0.72}}}''' || ==== [[KBO 리그/2023년|2023년]] ==== ||<-2>
{{{#FFF '''선수별 2023년 문서'''}}} || || [[문동주/선수 경력/2023년|'''{{{#FFF 문동주}}}''']] || [[김도영/선수 경력/2023년|'''{{{#FFF 김도영}}}''']] || ---- * 시범경기: [[문동주]]는 2경기 7이닝 2실점, [[김도영]]은 13안타 2홈런 타율 .295로 최종 점검을 마쳤다. * 4월: 문동주는 '''KBO 리그 한국인 투수 최초 160km/h''' 달성하는 등 ERA 2.38로 좋은 스타트를 끊었지만, 평균 득점지원을 고작 1.99점 밖에 받지 못하며 2패를 기록했다. 김도영은 2경기 만에 '''중족골 골절'''로 이탈하면서 전반기 시즌 아웃이 유력해졌고, 복귀를 위해 재활을 시작했다. * 5월: 문동주는 7일 대전 kt전 승리 이후 3경기 동안 단 1경기도 5이닝을 소화하지 못하며 ERA 8.22로 최악의 모습을 보여줬다. 김도영은 생각보다 빠른 페이스로 재활하면서 전반기 복귀 가능해졌다. * 6월: 문동주는 5월의 부침을 뒤로하고 6경기 3승 1패 ERA 2.14를 기록하며 한층 더 성장했고,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대표팀에 발탁되면서 '''프로 데뷔 후 첫 국가대표'''가 됐다. 김도영은 놀라운 재활 속도를 보여주며 [[나성범]]과 함께 23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됐고, 5경기에서 7안타 4득점을 기록했다. * 7월: 문동주는 1승 1패 ERA 3.31로 선방하며 신인왕 레이스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다. 김도영은 타출장 슬래시라인 .308/.370/.508로 KIA의 상승세를 이끌며 데뷔 후 최고의 한달을 만들었고, 이제는 확고한 주전 선수가 됐다. * 8월: 문동주는 비교적 적은 이닝을 소화하며 최소 실점으로 경기를 치루며 괜찮게 던졌지만, 승리운이 없었다. 이후 12일 두산전부터 [[완급 조절]]로 150km/h 후반대의 공을 적게 던지고 더 긴 이닝을 소화하기 위한 투구를 하며 2연승을 달리고 있다. 김도영은 아시안 게임 대체 선수로 발탁될 만 한 성적을 올리며 더욱 매서운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팀당 최대 3명이 차출되는데, 이미 KIA에서는 [[이의리]]와 [[최지민]], 그리고 [[최원준(1997)|최원준]]까지 3명이 발탁돼, 실제로 아시안 게임에 나갈 수 없다.] 8월 성적은 문동주 ERA 4.10 WHIP 1.18 피OPS 0.631, 김도영 타출장 슬래시 라인 .270/.347/.382 기록했다. 한편 6일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에서 문동주와 김도영이 맞대결을 펼치며 '''프로 데뷔 후 첫 문김대전'''이 성사됐고, 이후 27일 2번째 맞대결이 펼쳐졌다. * 9월: 문동주는 9월 3일 시즌 마지막 등판을 마친 후 2군에서 2경기 등판으로 컨디션 조율을 하며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항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 소집일에 정상 소집됐고, 김도영은 아쉽게 추가 승선이 불발됐다.[* 애초에 김도영은 시즌 시작부터 부상으로 전반기를 이탈해 6월에 선발하는 최종 엔트리에 들 가능성은 없었다. 9월 소집 전에 부상자들이 생기며 대체자로 가능성은 있었지만, 이미 대표팀 내야수가 포화상태였던지라 최종적으로 타자 대체 선수는 외야수로 노선을 틀었다.] * 10월: 문동주는 항저우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서의 활약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김도영은 나성범, 최형우, 박찬호, 최원준이 모두 이탈한 KIA 타선을 이끌면서도 최종 3할 100안타를 기어코 달성해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10월 24일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문동주, 김도영 모두 승선했다. ---- ||<-15>
{{{#FFF '''문동주 2023년 최종 기록'''}}} || || '''경기'''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ERA''' || '''탈삼진''' || '''승률''' || '''이닝 '''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QS(QS+)''' || '''WAR''' || || '''{{{#000 23}}}''' || '''{{{#000 8}}}''' || '''{{{#000 8}}}''' || '''{{{#000 0}}}''' || '''{{{#000 0}}}''' || '''{{{#000 3.72}}}''' || '''{{{#000 95}}}''' || '''{{{#000 .500}}}''' || '''{{{#000 118⅔}}}''' || '''{{{#000 113}}}''' || '''{{{#000 6}}}''' || '''{{{#000 42}}}''' || '''{{{#000 4}}}''' || '''{{{#000 7(3)}}}''' || '''{{{#000 2.51}}}''' || ||<-9>
{{{#FFF '''김도영 2023년 최종 기록'''}}} || ||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삼진''' || || '''{{{#000 84}}}''' || '''{{{#000 340}}}''' || '''{{{#000 103}}}''' || '''{{{#000 20}}}''' || '''{{{#000 5}}}''' || '''{{{#000 7}}}''' || '''{{{#000 47}}}''' || '''{{{#000 72}}}''' || '''{{{#000 62}}}''' || || '''볼넷''' || '''사구''' || '''병살타'''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AR*''' || || '''{{{#000 38}}}''' || '''{{{#000 1}}}''' || '''{{{#000 14}}}''' || '''{{{#000 25}}}''' || '''{{{#000 0.303}}}''' || '''{{{#000 0.371}}}''' || '''{{{#000 0.453}}}''' || '''{{{#000 0.824}}}''' || '''{{{#000 3.70}}}''' || == 맞대결 == * 통산 6타석 3출루 4타수 1안타 2볼넷 * 결과 배경색은 김도영이 출루 성공 시 '''{{{#ea0029 KIA 구단 컬러 #ea0029}}}''', 출루 실패 시 '''{{{#f60 한화 구단 컬러 #f60}}}'''을 사용하며, 스트라이크 낫아웃 상황에서 또는 포수 타격방해로 1루 출루에 성공했을 경우 '''{{{#002561 KBO 공식 컬러 #002561}}}'''을 사용함.[* 스트라이크 낫아웃 출루는 공식 출루에 포함되지 않음.] * 기록은 문자중계 기준. === 2023년 === ||
{{{#FFF '''8월 6일 맞대결 결과'''}}}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이닝''' ||<-2> '''투구 내용''' ||<|2> '''결과''' || || '''투구''' || '''구종 및 구속''' || ||<|6> '''1회말''' || S || 커브 126km/h ||<|6> '''유격수 라인드라이브 아웃''' || ||<|3> B || 커브 126km/h || || 커브 126km/h || || 커브 126km/h || || 헛스윙 || 커브 126km/h || || 타격 || 커브 126km/h || ||<|3> '''4회말''' || B || 직구 147km/h ||<|3> '''우익수 플라이 아웃''' || || S || 직구 149km/h || || 타격 || 직구 148km/h || ||<|7> '''6회말''' || S || 커브 121km/h ||<|7> '''볼넷''' || || B || 커브 132km/h || || S || 직구 150km/h || || B || 커브 133km/h || || 파울 || 직구 154km/h || ||<|2> B || 직구 157km/h || || 직구 152km/h || ||<-4> {{{#FFF '''3타석 2타수 무안타 1볼넷'''}}} || }}}}}} || ||
{{{#FFF '''8월 27일 맞대결 결과'''}}}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이닝''' ||<-2> '''투구 내용''' ||<|2> '''결과''' || || '''투구''' || '''구종 및 구속''' || ||<|4> '''1회말''' || S || 커브 124km/h ||<|4> '''우익수 플라이 아웃''' || || 헛스윙 || 슬라이더 143km/h || || B || 슬라이더 145km/h || || 타격 || 직구 155km/h || ||<|8> '''3회말''' || B || 슬라이더 138km/h ||<|8> '''볼넷''' || || 파울 || 직구 151km/h || || 헛스윙 || 직구 153km/h || || 파울 || 직구 155km/h || || B || 슬라이더 141km/h || || 파울 || 직구 154km/h || ||<|2> B || 커브 129km/h || || 슬라이더 142km/h || ||<|6> '''6회말''' ||<|2> B || 커브 123km/h ||<|6> '''우익수 앞 1루타'''[* 데뷔 첫 문동주 상대 안타] || || 직구 149km/h || ||<|2> S || 직구 151km/h || || 직구 153km/h || || B || 직구 155km/h || || 타격 || 직구 152km/h || ||<-4> {{{#FFF '''3타석 2타수 1안타 1볼넷'''}}} || }}}}}} || == 여담 == * 나무위키의 [[라이벌/실존/스포츠|스포츠 라이벌 문서]]의 야구 문단의 라이벌 관계 목록을 보면 투수 vs 투수 또는 타자 vs 타자 관계지만, 문김대전은 투수와 타자간의 라이벌 관계로 형성됐다는 점이 특이점이다. * 이 두 선수는 광주 출신답게 전라도 사투리를 구사가 가능하지만, 문동주의 경우 한화에 입단하고 나서부터 표준어를 쓰고 있다. 김도영은 또래보다 더 심한 사투리를 쓰고 있다.[* 요즘 어린 전라도 출신 선수들은 사투리 억양이 비교적 아저씨들보다 적거나 거의 사투리를 안쓰는데 김도영은 사투리를 굉장히 많이 쓰는 --광주 아저씨-- 이종범과 말투가 비슷하다는 평가다.] == 관련 문서 == * [[문동주]] * [[김도영]] [[분류:문동주]][[분류:김도영]][[분류:vs놀이/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