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문곡역'''}}}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문곡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Mungok || || [[한자]] ||<-2><|2> 文曲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文曲, ruby=ムンゴク)] || ||<-3> '''주소''' || ||<-3>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상장로 61[br](舊 황지동 180)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태백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강원본부) || ||<-3> '''운영 기관''' || || [[태백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태백선]] ||<-2> 1962년 12월 10일 || ||<-3> '''철도거리표''' || || [[제천역|{{{#!html
제천 방면}}}]][[태백역|태 백]][br]← 3.0 ㎞ || '''[[태백선]]'''[br]문 곡 || [[백산역|{{{#!html
백산 방면}}}]][[백산역|백 산]][br]5.7 ㎞ → || || {{{#!html
기점}}} || '''[[태백삼각선]]'''[* 태백선 제천 기점 102.9㎞] || [[동백산역|{{{#!html
동백산 방면}}}]][[동백산역|동백산]][br]1.3 ㎞ → || {{{+1 文曲驛 / Mungok Statio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문곡역/Example.jpg|width=100%]]}}} || || {{{#000 '''현 역사(1962년 준공)'''}}} || [목차] [clearfix] == 개요 == [[태백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상장로 61 (舊 황지동 180번지)에 위치해 있다. 흔히 '''"태백선의 마지막 역"'''이라고 알려져 있다. 실제 태백선의 종점은 [[백산역]]이지만 백산역은 [[영동선]]의 역으로 인식된 탓이 크다. 더구나 [[청량리역]]에서 [[강릉역]]으로 가는 열차는 백이면 백 문곡역에서 바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동백산역]]으로 빠지기 때문에 더욱더 그렇다. 중부내륙순환열차 O-Train의 초기 운행시에는 문곡역에서 백산역 방향으로 순환하는 계통이 있었으나 그마저도 사라지면서 정규여객열차가 백산역 방향으로 빠지는 일은 없게 되었다. 옛날에 [[태백시]]의 [[석탄]]산업이 활황을 보일 때에는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하는 등 사람이 많았으나, 1980년대에 진행된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 때문에 폐광이 늘어나면서 여객수요가 막혔다. 그래도 일부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수요가 너무 없어서 [[2009년]] [[7월 1일]]부로 여객취급이 중단되었다. [[지못미]]. 하지만 화물수요는 어느정도 있기 때문에, 그리고 태백선의 열차 교행 관련해서 운전업무도 꽤 되기 때문에 역장과 역무원이 상주하는 [[보통역]]지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변해버렸고, 열차교행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후로는 화물업무와 태백삼각선의 분기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014년 이 역과 태백역 사이에서 [[태백선 열차 충돌사고]]가 일어났다. [include(틀:태백선의 역 목록)] [[분류:196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태백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분기역]][[분류:태백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