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무한도전/프로그램 구성/자막, top2=무한도전)]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놀면 뭐하니?/7인 체제, top2=놀면 뭐하니?)] [include(틀:무한도전)] ||
[[파일:무한도전 해골.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무한도전]], [[놀면 뭐하니?]] 에서 등장하는 아이콘 형식의 자막이다. 일명 '무한도전 해골', '무도 해골'로 유명하다. 무려 2006년 무한도전 독립 전인 [[무한도전 퀴즈의 달인]] 시기부터 존재한 무한도전하면 떠오르는 또다른 상징이다. == [[무한도전]] == === 상세 === 이 해골은 멤버들이나 게스트가 죽을 맛일 때,[* 예를 들어 매운 고추장을 먹고 참기 게임 시 고추장 먹고 반응이 올 때, 다리 사이의 급소를 강타당한 직후 등.] 인신 공격 및 팩트 폭력으로 굴욕을 입을 공격을 당했을 때처럼 신체적/정신적 타격을 입을 때 뜨는 CG이다. 타격의 정도에 따라 ×10, ×100, ×1000, ×2017[* 2017년 코미디 하와수 편에서 박명수가 짜온 개그를 보고 [[이용진]]이 올해 본 개그 중에 제일 노잼이었다고 말하자 박명수가 받았다. ×숫자는 2011년쯤부터 사라졌는데 정말 오랜만에 등장했다.] 등 심지어 ×10000[* 대표적으로 2008년 [[무한도전/2008년|베이징 올림픽 선전기원 특집]]에서 노홍철이 던진 공이 유재석의 [[고간]]에 명중했을 때와 [[무한도전 창작동요제]]에서 유재석이 박명수에게 매미 흉내를 내라고 했을때.]과 ×100000[* 2008년 무한도전 100회 특집에서 정형돈과 이름이 비슷한 일반인이 인터뷰에서 "정형돈이 특별한 캐릭터 없이 제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게 대단하다"고 말했을 때.], ×1,674,000[* 무한도전 154화 박명수의 기습공격 편에서 삼겹살 집에서의 총액 167만 4천 원을 덤터기 쓰게 된 박명수가 먹었다.], ×∞[* 무한도전 122화에서 '정준하가 그렇게 중요하냐'는 박명수의 말에 정준하가 먹었다.]의 형태도 있다.[* 2011년 [[무한도전/2011년|별주부전 특집]]에선 하하가 유재석을 잡았으나 1회 탈출권에 막히자 해골더미를 맞았다.] 2008년 [[무한도전/2008년|며느리가 뿔났다 특집]]에선 이 해골이 [[스코빌 척도|고추장의 매운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쓰였다. 해골이 뜰 때 나는 효과음과 멘탈에 충격을 입은 멤버의 모습이 겹쳐지면서 무한도전의 또 다른 상징으로 인기를 얻었다. >[[파일:해골하네.jpg]] >---- >[[지랄|[[파일:무한도전 해골.png|height=20]] [[파일:무한도전 해골.png|height=20]]]] '''하네.''' >---- >[[하하(가수)|하하]] 자막 내에 욕설을 마스킹 처리할 때에 쓰이기도 했다. [[해외극한알바]] 당시 [[하하(가수)|하하]]가 너무 화가 난 나머지 욕설을 내뱉었는데 오디오는 순간적으로 묵음 처리됨과 동시에 자막에는 욕설 대신에 해골 심볼이 삽입되었다. 효과음들은 전부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에서 만든 [[https://www.youtube.com/watch?v=JMPY6fQS3dc|효과음]]이다. 여기에는 극초창기에 쓰인 둥 소리(25초), 심벌즈 소리(26~29초), 징소리(46초) 등 모든 소리가 포함되어있다. 비단 해골뿐만 아니라 다른 효과음 역시 이 회사의 것들. 한때 해골송이라고 해서 이 해골을 맞았을때 나오는 BGM이 있었다. 레슬링 특집 WM7에서 정형돈이 등장할때 깔린 음악이 바로 그것. 다만 2011년쯤부터 사용하지 않았다. === 역사 === || [youtube(b-QaZhO3Rd4)] || || [youtube(p5ZZHS68F-Y)] || || [[오분순삭]]의 레전드 해골 모음 || 13년의 토요일에서 김태호 PD가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원래 전신은 가슴에 화살이 날아와 꽂히는 CG였으나 표현이 잔인해 보인다는 심의실의 의견을 받아들여서 [[무한도전 퀴즈의 달인]] 15회부터 지금의 해골로 바꾼 것이다.[* 그런데 해골 자막을 도입하고 난 후에도 한동안은 화살 자막과 혼용해서 사용했다. 화살이 마지막으로 나온 것은 2006년 11월 11일 방영한 수능 특집이었다.] 당시엔 방송계의 심의가 상당히 엄격했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요즘에야 욕을 해도 입과 음성 필터로 가리는 시대지만 이 때만 해도 욕을 했다 하면 가차없이 편집이었으니 당연한 일이다. 가끔 특집에 따라 해골도 약간씩 변화가 있으며[* 예를 들어 응원단 특집에선 치어리더처럼 폼폼을 흔들면서 실실 웃는 모습이고 크리스마스 특집 땐 해골 위에 산타모자가 있는 식이다.] 해골 뒤에 x10, x100처럼 강도가 강할수록 얼굴에도 뜨거나 배수가 올라가기도 한다. 또 보통은 공격 대상 옆에 뜨지만 신체적 특징에 맞는 위치에 해골이 뜰 때도 있으며 가끔 아예 일출 형식으로 떠오르거나[* 태안특집 사랑의 도서관에서 형돈이 우럭잡이 배에서 무의미한 멘트를 난사하자 해골이 수평선에서 서서히 떠오른다.] 마스크를 쓰거나 냄새를 풍기거나 하기도 하며 심지어는 이 해골로 비를 내리기까지 하는 등[* [[궁 밀리어네어]] 특집에서 노홍철이 문제를 틀리고 좌절하는 모습에서 해골자막으로 비를 내리는 CG를 쓰기도 했다.]의 베리에이션으로도 나온다. 때로는 해골 대신 다른 이미지를 활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베이징 올림픽 특집 1부(2008년 8월 23일) 초반에 정형돈이 "투포환 던지신 분"이라고 하자 정준하에게 해골 대신 포환을 먹이는 식. 원래 단순하게 초록색 테두리의 해골만 뜨고 거기에 숫자가 붙는 식이었다가, 2010년 말부터 해골과 함께 폭발하는 효과가 추가됐다. 처음엔 불타는 해골이 날아와서 터지며 사라지고 그 자리에 담뱃불로 천을 지져서 구멍이 뚫린 것 같은 연출을 하다가 이후 해골이 사라지지 않고 남는 형태로 변했다. 2007년 상반기에 해골이 잠시 회색 CG로 바뀌었다가 다시 원래 모습으로 회귀했으며, 2014년 6월경 브라질 월드컵 응원단 특집부터 해골이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앞서 2013년 8월 31일 무한도전 응원단 특집 때 해골이 움직이는 효과를 시험 삼아 처음 선보이기도 했다.] 해골이 (몇몇 특집을 제외하고) 해당 특집에 맞게 디자인돼서 나오고는 했다. 종영 당시에 마지막 해골은 [[박명수]]가 받았다. 2014년 이후 움직이는 해골 아이콘이 아닌 일반 해골 아이콘을 사용했으며, 효과음은 나오지 않았다. ==== 2009년 이전 ==== [[파일:무도해골 초기버전.png|width=500]] 2007 무한도전 새학기 특집 때 해골 모습. [[파일:무한도전해골1.png|width=500]] 퀴즈의 달인 시절부터 독립 편성 초창기까지는 2D 스타일의 해골을 사용했었다. 그러다가 2007년 2월경에 잠깐 그라데이션이 있는 해골로 변경되었고 2007년 5월까지 사용되었다. 알래스카 특집, 2007년 새학기 특집처럼 2D 해골과 그라데이션이 있는 초기 해골이 한 화차에 같이 나온 적도 있었다. 그러다가 2007년 5~6월경부터 다시 2D 스타일 해골로 롤백했다. SD 시절에는 심벌즈 소리와 함께 짠 하고 나타났다 사라진다.[* 간혹 심벌즈 소리 대신 폭발하는 듯한 소리와 함께 나올 때도 있다.] 해골의 등장 때는 죽을 맛일 때, 어이없을 때, 말로 공격 당할 때, 신체적/정신적 타격을 받았을 때 나타나며 그 강도에 따라서 ×3, ×18, ×100 등의 숫자를 붙였다.[* 가끔씩 해골 밑에 숫자나 글귀가 달린 적도 있었고 '''×10000, ×15000'''의 숫자가 나온 적도 있다.] 해골 마크 최다 적립자는 '''멤버들 중 유일하게 무한대를 받은'''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humordata&no=861664|정준하]]가 먹었다. 역대 최다 해골 순위는 다음과 같다. ||
순위 || 받은 사람 || 개수 || 특집 || 이유 || || 1위 || 정준하 || '''무한대 (∞)''' || 지못미 2탄 잔혹한 출근길 || 박명수의 '''[[잉여|정준하가 그렇게 중요해?]]''' 디스 || || 2위 || 박명수 || '''1,674,000'''[* 폭발하는 듯한 소리가 나오는 해골 중에서는 개수가 가장 많다. 1위인 무한대 때는 그냥 일반적인 심벌즈 소리가 나왔다.] || [[박명수의 기습공격]] || 기습공격 실패 후 삼겹살의 가격을 듣고[* 200만 원이 넘으면 제작진이 대신 부담한다고 했지만, 167만 4천 원이 나와 박명수가 부담하였다. 해골 개수인 167만 4천 개도 삼겹살 가격에서 딴 것.] || || 3위 || 정형돈 || 100,000 || [[무한도전 100회 특집]] 2부 || 일반인 정영돈이 정형돈을 수훈갑으로 꼽고 말한 이유가 '''캐릭터 없이 지금까지 남아있어서...''' || || 4위 || 유재석 || 60,000 || [[경주 보물찾기 특집]] 2부 || 고생해서 얻은 보물이 '''촬영 끝!''' || ==== 2010년 ~ 2014년 6월 ==== [[파일:해골혜성.gif]] HD 전환 이전에는 연출이 좀 더 강화되어 2010년 [[무한도전 시크릿 바캉스|시크릿 바캉스]]에서는 숫자가 사라지고 불타며 날아온 해골이 충돌할 때 폭발 소리와 함께 사라지고 그 자리에는 담뱃불로 지진 듯한 구멍이 생긴 형태로 나왔다. [[파일:왼눌클.gif]] 2011년 3월 이후에는 [[자 이게 클릭이야|위의 움짤]] 같이 날아온 해골이 충돌할 때 폭발과 함께 연기가 피어오르는 연출이 되었다. 이전에 있었던 숫자가 사라지면서 연타로 나오는 연출으로 대체되었다. [[파일:하하 해골 비 어택.gif]] 가끔 [[무한도전 별주부전]] 같이 이렇게 많은 해골이 쏟아지는 소위 '해골비'라 불리는 연출도 나온다. ==== 2014년 6월 이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년동안 들은것중 안웃기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올든 해골.png|width=100%]]}}} || || [[무한도전 도둑들]]의 해골 || [[무한도전 히든카드]]의 해골 || [[파일:무한도전 애니메이션 해골.gif]] [[무한도전 응원단]] 이후에는 기존(2010년 이후)의 해골 아이콘의 폭발 연출 및 효과음은 유지하되, 아래 목록과 같이 해당 에피소드 및 특집의 로고나 이미지를 표현한 움직이는 해골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변경된 시기가 무한도전의 하락기인지라 졸지에 무한도전 암흑기의 상징이 되어버린 비운의 연출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놀면 뭐하니?]]에서 버려지지 않고 그대로 쓰였던 것을 보면 아예 잊혀지지는 않은 듯 하다. 이 시기의 해골 아이콘의 이미지는 에피소드별로 각각 다르다.[* 예외 사례로 [[무한도전 예능총회]], [[무한뉴스]] 등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위의 움짤같이 기존의 해골 아이콘에서 움직이는 버전을 사용한다.] * [[무한도전 응원단]]: 웃는 표정을 짓는 치어리딩 해골이 나와있다. * [[무한도전 도둑들]]: 해골이 감옥에 갇혀 있다. * [[무한도전 특별기획전/극한알바|극한알바]]: 극한알바 로고의 색상인 짙은 갈색을 띠는 배경을 사용했다. * [[무한도전 특별기획전/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 회전하는 CD 안에 해골이 움직인다. * [[무한도전 유혹의 거인]]: 검은색 배경 안에 있는 해골의 머리 위에 경광등이 반짝거린다. * [[무한도전 나는 액션배우다|나는 액션배우다]]: 해골 머리 위에 불꽃이 튀어오른다. * [[무한도전 끝까지 간다]]: 해골이 상자 안에서 폭발하며 튀어나온다. * [[무한도전 식스맨 : 시크릿 멤버]]: 황금색 배지 안에 검은색 해골이 움직인다. * [[배달의 무도]]: 배경으로 비행기와 지구본을 사용했다. * [[영동고속도로 가요제|2015년 가요제 디너쇼 가면 무도회]]: 해골이 가면 무도회의 가면을 쓰고 있다. * [[무도드림]], 로맨스가 필요해: 구름 배경이 아닌 하트 배경으로 바뀌어 있고, 해골이 하트눈을 발사하는 것으로 나와있다. * [[무한도전 시청률 특공대 봄날은 온다]]: 해골이 [[베레모]]를 쓰고 있다. * [[무한상사#2016 무한상사|2016 무한상사]]: 해골이 안경과 사원증을 쓰고 있다. * [[무한도전 귀곡성]]: 구름 배경이 피범벅이 된 배경으로 바뀌었다. * [[유재석으로 살기 vs 박명수로 살기]]: 전체 색상으로 파란색과 빨간색을 사용했다. * [[무도리 GO]]: 파란색 테두리와 노란색 배경을 사용했으며, [[픽셀 아트]] 느낌을 내기 위해 해골이 약간 모자이크되어 있다. * [[무한도전 위대한 유산]]: 구름 배경이 아닌 위대한 유산 특집의 로고 배경으로 바뀌어 있다. * [[정준하 대상 프로젝트]]: 2016 [[MBC 방송연예대상]] 로고 디자인에서 따왔으며, 해골이 선물 리본을 달고 있다. * [[무한도전 히든카드]]: 전체적으로 금색을 사용하며, 해골 역시 금색 선글라스를 쓰고 있다. == [[놀면 뭐하니?]] == [include(틀:놀면 뭐하니?)] 무한도전 종영 이후 [[정신적 후속작]]으로 제작된 [[놀면 뭐하니?]]에서 [[정준하]], [[박명수]], [[황광희]]가 게스트로 출연했을 때 해골 아이콘을 사용했는데, 이때 사용되는 해골 아이콘은 2014년 이후 움직이는 아이콘을 사용한다. * [[유재석/닭터유|닭터유]]: [[https://youtu.be/rjcjLzHs-sw|해골이 치킨 닭다리를 먹고 있다.]] * [[유재석/유라섹|유라섹]]: [[https://youtu.be/wu2a26vyMRM|해골이 라면을 먹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후 다른 해골 아이콘이 나왔는데, 종이에 그린 것 같은 그림체에 매우 심플해졌다. [[2022년]] [[9월 3일]], 7인 체제 이후 [[놀면 뭐하니?]]에 정식적으로 해골 마크가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무한도전 식의 자막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 다른 매체에서의 해골 == [[할명수]]에서도 무한도전 해골 아이콘이 나오고 있다. 2009년~2014년의 아이콘을 사용하다가 현재는 할명수가 자체 디자인한 해골 아이콘을 사용한다. [[파일:조세호해골.jpg]] [[파일:런닝맨해골.jpg]] [[유재석]]과 [[하하(가수)|하하]]가 출연하는 [[런닝맨]]에도 무한도전 해골이 나왔다. 두 장면 모두 무한도전 종영 이후의 회차에서 나왔다.[* 참고로 첫 번째 짤의 [[조세호]]가 해골을 먹은 장면을 설명하자면 초성퀴즈 정답이 무한도전이었고 유재석과 하하가 정답을 맞히고 두 사람끼리 추억을 회상하는데 조세호가 [[https://youtu.be/q1APDJEEPWI?t=800|본인도 무도 종영 직전에 멤버로 활동했다는 것을 호소하는 장면]]이다. 두 번째 짤은 게스트로 [[손담비]]가 나왔을 때 유재석이 손담비의 히트곡 [[토요일 밤에]]를 부르자 [[김종국]]이 '''"저 미안한데 토요일은... [[종영|지금 쉬잖아요...?]]"'''라고 한 방 먹이면서 해골이 나왔다. 그리고 가만히 있던 하하도 덩달아 숙연해했다.] 해골까지는 아니지만 [[승부의 신]]에서 비슷한 상황이 생길 때 "'''神'''"을 먹이기도 한다. 도시어부에서도 물고기 뼈로 패러디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무한도전, version=3237, title2=무한도전/프로그램 구성/자막, version2=36)] [[분류:무한도전]][[분류:놀면 뭐하니?]][[분류:자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