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발렌시아 CF/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아카비23-24.png|width=100%]]}}} || ||<-2> '''{{{#000,#e5e5e5 발렌시아 CF No. 4}}}''' || ||<-2> '''{{{#f47920 {{{+1 무크타르 디아카비}}} [br] Mouctar Diakhaby}}}''' || || '''{{{#000,#e5e5e5 생년월일}}}''' ||[[1996년]] [[12월 19일]] ([age(1996-12-29)]세) || || '''{{{#000,#e5e5e5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기니)]'''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 '''{{{#000,#e5e5e5 출생}}}''' ||[[프랑스]] 방돔(Vendôme) || || '''{{{#000,#e5e5e5 신체 조건}}}''' ||[[키(신체)|키]] 192cm / [[체중]] 78kg || || '''{{{#000,#e5e5e5 포지션}}}''' ||[[센터백]][* 23-24 시즌부터는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활용되고 있다.] || || '''{{{#000,#e5e5e5 주발}}}''' ||오른발[* 왼발 사용도 자유롭지만, 기본적으로 오른발을 사용한다.] || || '''{{{#000,#e5e5e5 등번호}}}'''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 5번 [br] [[발렌시아 CF]] - 4번 || || '''{{{#000,#e5e5e5 유스 클럽}}}''' ||Ussa 베르투 (2004~2009) [br] [[FC 낭트]] (2009~2010) [br] Ussa 베르투 (2010~2013) [br] [[올랭피크 리옹]] (2013~2016) || || '''{{{#000,#e5e5e5 소속 클럽}}}''' ||[[올랭피크 리옹]] B (2014~2018) [br] [[올랭피크 리옹]] (2016~2018) [br] '''[[발렌시아 CF]] (2018~ )''' || || '''{{{#000,#e5e5e5 국가대표 경력}}}'''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Guinea national football team.png|width=25]]]] 6경기 1골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기니]] / 2022~ )^^ || [목차] [clearfix] == 개요 == 발렌시아 소속의 기니 국적 센터백. == 클럽 경력 == 베르투 유스 출신으로 축구를 시작해 2009년 프랑스 리그 낭트로 옮겼다가 다시 베르투로 돌아왔다. 이후 2014년 리그앙 명문 리옹의 B팀으로 이적, 2016년에는 리옹 1군으로 데뷔를 했다. 데뷔시즌부터 팀의 핵심으로 좋은 활약을 펼쳐 많은 클럽들의 주목을 받았고 결국 18/19 시즌을 앞두고 발렌시아로 이적을 하게 된다. === [[발렌시아 CF]] === 18-19 유로파리그 4강 1차전 아스날 전에서는 선제골을 넣었지만 팀은 3-1 역전패를 당했다. 그래도 팀의 11년만의 국왕컵 우승에 기여했다. 시즌 최종 기록은 38경기 3골. 19-20시즌 현재 주전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주전으로 자리잡은 뒤부터 상당히 불안한 경기력을 보이고 있다. 가라이가 부상으로 아웃된 발렌시아 수비진에 마땅한 커맨더가 없는게 그 이유로 보인다. 가브리엘 파울리스타가 복귀한 이후로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다, 20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전에서 부상으로 [[우고 기야몬]]과 교체되었다. 발렌시아로서는 부상자가 복귀하면 또 다른 선수가 부상을 당하는 나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21/22 시즌부터는 [[발렌시아 CF]] 수비진의 발암물질이 되었다. 12라운드 이후로 [[가브리엘 파울리스타]]가 부상으로 못 나오고 디아카비는 꾸준히 못해주고 있다. 이런 활약으로 팀의 코파 델 레이 결승 진출을 돕는다. 22/23 시즌부터는 경기력이 이전보다는 나아진 모습을 모이며 국내 팬들에게는 오랜만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으나, 종종 뇌 없는 플레이가 나올 때마다 역시 욕을 바가지로 먹기도 한다. 발렌시아와 2027년까지 재계약했다. 매 시즌 중요 선수를 잃는 발렌시아의 입장에서 좋은 소식이라고 볼 수 있겠다. 21R 빌바오전 선발출장했으나 짝으로 출전한 죄메르트의 엄청난 삽질로 패배를 막지 못했다. 지난 시즌과 달리 이번에는 발렌시아의 센터백들 중 그나마 사람다운 모습을 보여주지만 나머지들이 정말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디아카비 역시 별 존재감이 없다. 23/24 시즌 1R 세비야 원정 경기에서 마르셀리노 감독 시절 수비 강화 차원에서만 임시로 뛴 적이 있던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로 공식적인 선발 출전을 하였다. 센터백 포지션으로 경기를 출전한 것과는 달리 전반적으로 투박한 발밑과 성공률이 낮은 태클이었지만 센터백 포지션과는 다르게 부담감이 덜해 보이는 플레이에 팬들의 마음에서도 왠지 모를 편안함(?)을 느끼게 할 정도였다. 그리하여 60‘ 알메이다의 컷백 패스를 그대로 하프 발리 슛을 시도 하였고 힘이 잘못 들어갔음에도 ‘득점’에 성공했다! 이로 인해 팬들에게는 “오히려 좋아!” 등의 반응이 나와, 그동안 190cm이상의 피지컬이 큰 선수들이 전반적으로 활약이 두드러지지 못했던 징크스(특히 미드필더쪽은…)를 깨고 확실한 포지션 변경 성공 사례로도 추가될지 귀추를 주목 중이다. == 국가대표 경력 == 국가대표에는 한번도 못뽑혔으나 촉망받는 센터백인 것은 확실하다. 다만 프랑스에는 [[라파엘 바란]], [[사뮈엘 움티티]], [[클레망 랑글레]] 등에 라이프치히와 세비야의 신성 [[다요 우파메카노]]와 [[이브라히마 코나테]], [[쥘 쿤데]] 같이 어리고 잘하는 센터백이 많고, 심지어 [[에므리크 라포르트]]같은 센터백도 국대에 뽑히지 못하는 상황이다. 심지어 바란과 움티티도 나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제대로 각성해서 리그를 씹어먹지 않는 이상 조만간은 A팀에서 보기는 어려울 듯 하다. 결국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을 선택하였고, 2022년 6월 이집트전에서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뤘다. == 플레이 스타일 == 흑인 특유의 피지컬 우위를 바탕으로 터프한 수비에 강점을 나타내는 센터백. 특히 공중볼 처리에 아주 강한 면모를 보인다. 신체 조건도 좋은데 점프력까지 좋아 세트피스 상황에서 요긴한 공격무기로 활용된다. 2018-19 유로파리그 4강 1차전에서 아스널 상대로 성공시킨 헤딩골이 이 선수의 강점을 잘 보여준다. 여기에 스피드와 탄력도 좋아서 하드웨어는 그냥 최고인 셈이다. 빌드업 능력도 디아카비의 장점중 하나다. 오른발이 주발이지만 왼발도 어느 정도 잘 사용해서 능숙하게 빌드업을 해낸다. 단점은 [[엘리아킴 망갈라|하드웨어는 아주 뛰어난데 소프트웨어가 뒷받침되지 못한다.]] 즉, 피지컬이나 신체능력, 스피드는 정말 좋은데 그걸 지능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 위험지역에서 쓸데없는 파울을 자주 저지르거나, 뜬금없는 타이밍에 태클을 잘못 해서 퇴장을 당하거나 하는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 은근히 핸드볼 반칙이 잦다는 점도 문제다. 앞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지 여부에 따라 쿨리발리와 비슷한 스타일로 성장하느냐, 망갈라류 센터백으로 전락하느냐가 판가름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192cm의 거구가 빠르고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 선수의 잠재력은 충분하다. 실제로 2022-23 시즌부터는 작년보다는 나아진 기량을 보이며 발전 가능성이 어느 정도 보이기 시작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발렌시아 CF)] [각주] [[분류:1996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루아르에셰르 출신 인물]][[분류:프랑스계 기니인]][[분류:기니의 축구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올랭피크 리옹/은퇴, 이적]][[분류:발렌시아 CF/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