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스포츠 관련 정보, top2=허정무컵, top3=남자의 팀)]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draw.jpg|width=335]]}}} || [목차] == 설명 == [[스포츠]] 경기에서 [[무승부]]를 기록하는 것을 뜻한다. 무승부를 줄여 표기한 "무(無)"가 채소 "[[무(채소)|무]]"와 [[동음이의어]]임을 이용한 [[언어유희]]. 스포츠 경기에서 승패가 나지 않을 경우 보통 지루하거나 재미없는 경기일 가능성이 높아 무승부를 기록한 걸 낮추어 부르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국내에선 전 축구국가대표 감독인 [[허정무|허정'''무''']] 감독이 유명했다. [[K리그]]에선 매년 무승부를 가장 많이 한팀에게 "[[허정무컵|허정무컵]]"이 수여된다. 진짜로 공식적으로 수여하는 건 아니고 자세한 건 링크 참고. 같은 무재배라도 무득점 경기가 많은 경우 가중치를 준다. 반대로 무승부를 기록하지 않는 팀은 [[남자의 팀]]이라 부른다.[* 08/09 시즌 [[라 리가]]의 [[스포르팅 히혼]]이 대표적.] 이런 팀이 무승부를 기록할 때 축구팬들은 [[동정#s-2]]을 상실했다며 슬퍼하기도... 애초에 K리그 팬들 사이에서 만들어진 말이지만, 2009 시즌과 2010 시즌에는 [[KBO 리그]]에서도 무승부를 패배로 간주하여 계산하는 괴이한 승률 계산법이 등장, 야구팬들 사이에서도 널리 쓰이게 되었다.[* 두 시즌을 제외하고는, 시즌 승률을 계산할 때 경기수에서 무승부 경기수를 제외한, 그러니까 '승리/(경기수-무승부)' 공식으로 계산해왔다.] 다른 구장의 경기가 모두 끝나고 한 경기가 연장으로 돌입하면, 나머지 6개 팀 팬들이 대동단결하여 무재배를 기원하는 진풍경이 연출되었다. 무승부하면 두 팀 모두 승률이 동시에 떨어지니까. 이 제도를 잘 활용한 팀이 [[KIA 타이거즈/2009년|2009년 KIA 타이거즈]]. 하지만 무승부를 승률 계산에서 제외하는 방식으로 되돌아간 2011시즌 이후 그 풍경도 사라졌다. 다만 1승이라도 더 하는 게 중요해지는 시즌 막바지로 가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반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은 무조건 [[끝장승부]]라서 한쪽이 이길 때까지 경기한다. 그래서 불펜 투수 총동원에 공을 던질 수 있는 야수가 마운드에 오르거나 심지어 다음 경기 선발이 연장전에 올라오는 진풍경이 나온다. 골프에서는 비슷한 개념으로 기준 타수에 꼬박꼬박 맞춰서 치는 "[[파#s-5.2|파]]농사"가 있다. 물론 이건 언더파를 못 내면 순위권에 들어갈 수 없는 프로 선수들에게나 하는 조롱이고, 골프가 워낙 어려운 스포츠인지라 일반인 레벨에서는 파농사만 해도 엄청난 고수이다.[* 일반인의 경우 싱글만 쳐도 고수대접을 받는다.] 초보자가 더블파를 계속 하는 경우는 '''양파농사'''라고 부른다. 대다수 [[프로토(도박)|프로토]]꾼들의 주적. 다만 간혹 무만 공략하는 일부 케이스도 있다. == 달인 목록 == * [[미야나가 사키]] * [[셰놀 귀네슈]] * [[마크 휴즈]] * [[루이 판 할]] * [[허정무]] * [[헤라르도 마르티노]] * [[침대축구]]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1차 조별리그에서 3무를 기록하며 다득점으로 2차 조별리그로 간신히 올라갔다. 1차 조별리그에서의 무재배를 딛고 결국 우승을 차지했다. *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조별리그에서 3무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고, 16강에서도 비기며 승부차기 끝에 8강에 진출했다. 아쉽게도 8강에서 탈락.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똑같은 3무인데도 칠레만 16강에 올라갔다.[* 현재까지 3무로 올라간 최근 사례다.] *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우승팀인 스페인과 준우승팀인 네덜란드까지도 패배가 있는데[* 다만 이 쪽은 [[전승준]].], 이 팀만 유일한 대회 무패팀이다.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2011년 코파 아메리카]], [[2019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2019년 코파 아메리카]] 진짜 신기한 게 강하든 약하든 그걸 초월해서 무조건 비긴다는 점이다. * 2010년 월드컵에서는 이탈리아와 비긴 뒤 뉴질랜드와 비기고 나서 일본과 비겼다. *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모든 경기를 싹 비겨서 결승에 도달했다.''' * 2019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아르헨티나와 비긴 뒤 카타르와 비기고 나서 브라질과 비겼다. *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1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3무를 기록한 팀이 한 대회에서만 세 팀이 나왔다. 세 팀 모두 조 3위로 토너먼트 진출 실패. *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 [[유로 2016]] 조별리그를 3무로 마친 뒤 16강을 간신히 올라갔고, 결국 [[우승]]까지 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서 조별리그 2번, 토너먼트 2번 해서 총 4번 비겼다. 비긴 상대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부터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까지 각양각색이라는 것도 특이사항. * [[인천 유나이티드/2012년]] 역대 허정무컵 우승팀 중 최다 무점 획득. 심지어 이 당시 감독이 '''허정무'''였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6년]] 역대 허정무컵 우승팀의 무승부 수를 넘어섰다. * [[삼성 라이온즈/2017년]] 무려 한 시즌 5번의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압도적인 무승부 1위를 기록했다. * 2021년 [[일본프로야구]] * 시즌 시작부터 이 시즌에 한해서만 연장전 미실시, 9회 동점시 그대로 무승부로 시합 종료로 룰을 정했고 그 결과 모든 팀이 두 자릿수 무승부를 기록했다. 제일 적게 기록한 [[한신 타이거스]]마저도 10무를 기록했다.[* 덧붙여서 양대리그 최다인 77승 56패를 기록했으나, '''73승 18무 52패를 기록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 밀려 우승을 놓치고 말았다.''']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20무를 기록해 역대 한 시즌 최다 무승부 기록을 작성했다. * [[KBO 리그/2021년]] 후반기 연장전 폐지로 인해 무승부가 대폭 증가하였다. * [[SSG 랜더스/2021년]] 각종 순연경기들과 올림픽 브레이크, 리그 중단으로 인해 연장전이 폐지되면서 2004년 롯데의 11무승부 이후로 17년만에 타이 기록을 만들었고 10월 12일 LG전 무승부로 KBO 최다 무승부 기록을 갱신했다. * [[LG 트윈스/2021년]] SSG와 함께 최다 무승부 타이기록. 오랜만에 kt와 0:0 무승도 만든 적이 있다. 게다가 13번째 무는 두산과 상대전적 동률이 달린 최종전에서 고우석이 9회말 2아웃까지 잘 잡아놓고 양석환에게 홈런을 맞으며 무승부와 동시에 5년 연속 상대전적 열세를 기록했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최종예선/A조]] 애초에 6팀 중 5중동(...)이라는 어이털리는 조합으로 시작한 만큼 예상은 되었지만, 한국과 이란이 착실히 승점을 쌓아가는 동안 나머지 4개국(아랍에미리트, 이라크, 레바논, 시리아)이 무만 잔뜩 캐며 서로의 발목을 잡은 결과 10경기 중 8경기째에 이미 한국과 이란의 본선 진출이 확정되고 아랍에미리트가 그나마 선전하는 가운데 치열한 꼴찌 결정전(...)이 펼쳐졌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D조]] 유독 유럽 예선 중에서 무승부가 많이 나왔던 조로, 특히 우크라이나는 8경기 2승 6무라는 75%의 무율을 기록했다. 그 와중에 다른 팀들이 승점을 못 딴 덕분에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탈락했다. * [[한화 이글스/2023년]] 무려 한 시즌 6번의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압도적인 무승부 1위를 기록했다. (여담으로 무승부 공동 2위(KT, SSG, 키움)가 3회이다) [[분류:엔하계 위키/특징적 표현]][[분류:언어유희]][[분류:인터넷 밈/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