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武才錄. [[조선]] [[세조(조선)|세조]] 11년인 1465년에 세조의 명으로 만든 한국의 고전 군적 장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조선 세조 때에 무사 양성을 위한 교육 상황을 기록한 [[장부]]이다. 세조 11년인 1465년에 세조의 명에 따라 삼군도진무(三軍都鎭撫), 병조(兵曹), [[의정부]](議政府)에서 우리나라의 여러 무인 가운데 재능이 있는 사람을 선발하게 하고, 이들에게 병서(兵書) 강독 등의 여러 교육 활동을 지원하며 그 공부 상태를 기록하게 한 것이다. 세조 11년에 처음 시작한 이후 매 식년(式年)마다 추가로 무재록을 만들어 오직 능력에 따라 인재를 국가적으로 지원하고 천거, 등용하게 하였고 이 과정을 모두 기재하게 하였다. 출신성분 같은 것은 보지 말고 오로지 무재와 문리(文吏)를 모두 갖춘 사람, 기사(騎射)와 보사(步射)에 과녁을 맞힌 사람, 그 외에 비록 한가지 재능이라도 일단 어느 사람보다 뛰어난 사람이 있으면 모두 천거하게 하고 기재하였다. [[연산군]] 때 폐지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235|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 무재록]] *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223900|국어사전 : 무재록]] * [[http://waks.aks.ac.kr/dir/achieveView.aspx?dataID=E0019235@AKS-2013-CKD-1240002_DIC|한국학진흥사업단 성과포털 : 무재록]] * [[http://kostma.net/dic/dicMain.aspx?mT=A&searchid=DIC_A5_000396|고문헌용례사전 : 무재록]] [[분류:조선의 병서]][[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