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무협지에서 나올만한 창법(槍法)을 나열한 문서. 실존하는 창법도 있고 무협지에서나 나오는 창법도 있다.[* 실존하는 창법은 잘쳐줘야 명말청초 쯤에 발원하니 실제 역사가 가미되는 무협소설을 쓰고 싶으면 이 점을 감안하라] == 양가창법(楊家槍法) == [[양가창법]] 문서 참조 == [[조가창법]](趙家槍法) == 상산 조자룡([[조운]])을 시조로 모시는 상산조가(常山趙家)의 가전창술. 설정은 작품마다 다르다. 일단 조자룡의 일화나 군문의 무예임을 들어 직선적이나 실전적이고 담대하다고 표현된다. 약간 양가창법과 대척점에 있는 창법. 양가창, 악가창과 더불어 중원삼대창법[* 아미창을 포함하여 사대창법일 때도 있다]으로 손꼽히나 비중은 그닥이다.[* 그나마 [[하프블러드]]와 [[트루베니아 연대기]]의 주인공[[레온(하프블러드)|레온]]이 배운 창법이 조가창법이다.] == [[악가창법]](岳家槍法) == [[산동악가]], [[악비]] 문서 참조. 양가창과 함께 창법쌍절로 손꼽히며 서로 자웅을 겨룬다. == [[아미창법]](峨嵋槍法) == [[구파일방]] 중 하나인 아미파의 창법, 검문이자 여성문파로 굳어진 [[아미파]]가 익숙해진 나머지 '아미파가 웬 창이냐'란 반응이 나올 수도 있지만 실제론 소림권(少林拳), 무당검(武當劍), 아미창(峨嵋槍)이란 이름이 있을 정도로 창술이 유명한 문파이다. 아미파엔 4개의 병기가 있는데 아미파의 여제자들이 검(劍)과 잠(簪)의 운용법에서 유래된 무기인 아미자(峨嵋刺)를 사용한다면 아미파의 남제자들은 단연 이 창(槍)과 방편산(方便鏟)으로 유명하다. == [[소림창법]](少林槍法) == 태산북두, 천하공부출소림, 무림의 조종이라 불릴만큼 나름 독문의 창술이 존재하며 소림인 만큼 뛰어난 절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의 네 가지 창법의 위명에 비한다면 끗발이 좀 딸린다. == [[언가창법]](彦家槍法/言家槍法) == [[진주언가]] 문서 참조 == [[왕가창법]](王家槍法) == 60근이나 되는 쇠창을 휘두르며 용맹을 떨쳐 왕철창(王鐵槍)이라고도 불렸던 [[후량]]의 장군, [[왕언장]]으로부터 발원하였다고 전해지는 창법. == [[석가창법]](石家槍法) == == [[이가단창]](李家短槍)/이가창법(李家槍法) == == [[마가창법]](馬家槍法) == == [[사가간자]](沙家杆子) == == [[오가창법]](吳家槍法) == == 이 외 == === [[팔극권]](八極拳) -육합대창(六合大槍) === === [[형의권]](形意拳) -오행창법(五行槍法) === === [[태극권]](太極拳) -태극창(太極槍) === === [[홍가권]](洪家拳) -오랑팔괘창(五郞八卦槍) === == 관련 문서 == * [[무공/목록]] * [[무협소설/용어]] [[분류:무공/창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