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보)]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국보|{{{#f39100 대한민국 국보 제157호}}}]]''' || ||<-2> {{{#fff {{{+1 '''무령왕비 금귀걸이'''}}}[br]{{{-1 武寧王妃 金製耳飾}}}}}}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공주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 || '''{{{#fff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 || '''{{{#fff 수량/면적}}}''' || 2쌍 || || '''{{{#fff 지정연도}}}''' || 1974년 7월 9일 || || '''{{{#fff 제작시기}}}''' || [[백제|백제시대]] || [[파일:무령왕비 금귀걸이1.jpg|width=400]] [목차] == 개요 == 武寧王妃 金製耳飾.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송산리 고분군]]에 위치한 [[무령왕릉]]에서 1971년 여러 유물들과 함께 출토된 무령왕비의 [[금|순금]] [[귀걸이]] 2쌍.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1점, [[국립공주박물관]]에 1점씩 각각 소장 중이며, 2쌍 모두 [[대한민국의 국보|대한민국 국보]] 제157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파일:무령왕비 금귀걸이2.jpg|width=400]] 두 줄 수식 달린 금귀걸이. 길이 11.8㎝. [[파일:무령왕비 금귀걸이3.jpg|width=400]] 한 줄 수식 달린 금귀걸이. 길이 8.8㎝. 1971년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금귀걸이 2쌍으로, 유물의 제작 연대는 6세기 경이다. 발굴 당시 무령왕릉에서는 모두 5쌍의 금귀걸이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 1쌍은 국보 제156호로 지정된 [[무령왕 금귀걸이]]이고, 나머지 4쌍은 왕비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2쌍은 원판형의 장식만을 매달은 단순한 형태인 반면, 본 귀걸이 2쌍은 장식성이 매우 뛰어나 국보로 지정될 수 있었다. 형태는 큰 것과 작은 것이 각각 다른데, 길쭉한 귀걸이는 영락을 붙인 사슬모양 연결 금구에 [[탄환]] 모양의 끝장식을 매달았고 작은 귀걸이는 심엽형(心葉形) 영락을 달고 그 끝에 금판을 달아 장식하였다. 이렇게 귀에 걸리는 중심 고리처럼 금판을 둥글게 말아 접합하는 형태로 속이 비어 있게 제작하는 방식은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의 것과 유사하고, 귀걸이에 화려한 황금 달개를 달아 장식하는 것은 [[금관총 금귀걸이]], [[황남대총 금귀걸이]], [[천마총 금귀걸이]], [[금령총 금제 가는고리 귀걸이]],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양산 금조총 금귀걸이]], [[양산 부부총 출토 유물 일괄|양산 부부총 금귀걸이]],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 [[경주 노서동 138호분 금귀걸이]],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경주 계림로 금귀걸이]], [[호우총 금귀걸이]], [[금귀걸이]], [[경주 월성로 금귀걸이]], [[경주 황남동 1호분 금귀걸이]], [[경주 황남동 82호분 금귀걸이]], [[경주 황남동 151호분 금귀걸이]], [[서봉총 금귀걸이]], [[은령총 금귀걸이]], [[대구 내당동 금귀걸이]], [[대구 비산동 금귀걸이]], [[대구 달성 55호분 금귀걸이]],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신라 금귀걸이]],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 [[대영박물관 신라 금귀걸이]], [[경산 조영동 금귀걸이]], [[경산 임당동 1호분 금귀걸이]], [[창녕 교동 12호분 금귀걸이]], [[창녕 계성Ⅱ지구 1호분 금귀걸이]], [[의성 대리리 45호분 금귀걸이]], [[포항 대련리 금귀걸이]],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 [[합천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 [[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귀걸이]], [[호림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 [[이왕가박물관 소장 신라 금귀걸이]] 등과 비슷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세공기술의 우아함과 작품의 예술성, 화려함은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이 금귀걸이가 더 높다고 평가받는다. [[백제]] 귀걸이는 [[신라]], [[가야]]에 비해 출토 사례가 열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로 극히 적어 그 특징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그런 의미에서 연대가 확실한 이 무령왕릉 금귀걸이 2점은 6세기 경 백제뿐 아니라 삼국시대의 장신구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점을 제공해주고, 신라·가야·왜와의 교류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점을 마련해주어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점을 인정받아 무령왕비 금귀걸이는 1974년 7월 9일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1084&cid=46657&categoryId=46657|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무령왕비 금귀걸이]]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4118&cid=40942&categoryId=37404|두산백과 : 무령왕릉 왕비금귀걸이]]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581528&cid=51898&categoryId=54036|향토문화전자대전 : 무령왕비 금귀걸이]]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15711&cid=51293&categoryId=51293|e뮤지엄 : 무령왕비 금귀걸이]] * [[https://ko.wikipedia.org/wiki/무령왕비_금귀걸이|한국어 위키백과 : 무령왕비 금귀걸이]] == 국보 제157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1570000,34&pageNo=5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무령왕비 금귀걸이 (武寧王妃 金製耳飾)]]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때 귀고리 2쌍으로 길이는 11.8㎝, 8.8㎝이다. 왕비의 귀고리로, 굵은 고리를 중심으로 작은 장식들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 >한 쌍은 복잡한 형식으로 길고 짧은 2줄의 장식이 달려 있고, 다른 한 쌍은 1줄로만 되어있다. 앞의 귀고리 중 긴 가닥은 금 철사를 꼬아서 만든 사슬에 둥근 장식을 많이 연결하였으며, 맨 밑에는 작은 고리를 연결하여 8개의 둥근 장식을 달고 그 아래 탄환 모양의 장식을 달았다. > >짧은 줄의 수식은 다른 한 쌍의 것과 거의 같은 수법이나 탄환 장식은 달지 않고, 잎사귀 모양의 장식과 담록색의 둥근 옥을 달았다. >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공주박물관에 각1쌍씩 보관되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보]][[분류:백제의 금제유물]][[분류: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분류:국립공주박물관 소장품]][[분류:공주시의 문화재]][[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왕대비(백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