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유주의)] [목차] == 개요 == 이 문서는 [[몽골]]의 자유주의(Монгол дахь либерализм)에 대해 다룬다. == 성향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한국]], [[일본의 자유주의|일본]]에서 [[민주화 운동]], 시민 운동 등을 주도하는 자유주의/리버럴 세력은 [[중도좌파]] 정치 세력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주요 독재세력이 반공주의와 보수주의 우파 독재였기 때문에 자유주의는 범-좌파 진영을 형성하게 되었다. 몽골에서는 정반대라고 할 수 있는데, 과거 공산주의 기반 좌파 독재를 겪었으며, 주요 사민주의 세력들이 구 공산당이 [[탈공산주의]] 노선 걷고 우클릭한 이들이라서 자유주의, 리버럴 세력은 범-우파 진영으로 분류되게 되었다. 때문에 몽골에선 주요 자유주의 정당인 [[민주당(몽골)|민주당]] 뿐 아니라 [[진보주의]] 성향까지 있는 [[인간당]]마저 [[중도우파]] 정당으로 분류된다. == 역사 == 몽골의 리버럴 정당 대표격인 민주당의 공식 창당은 2000년이지만, 실질적인 시작은 그 이전으로 거슬러올라갈 수 있다. 1990년대까지 [[몽골]]은 [[몽골 인민 공화국]]이라는 이름의 [[공산주의]] 국가로 현재 [[몽골 인민당]]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는 몽골인민혁명당의 [[일당제]] 체제였다. 그러나 종주국 [[소련]] 등에서 자유화 바람이 불어 [[민주화]]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고[* 사실 몽골은 예로부터 [[쿠릴타이]]를 통해 리더를 뽑는 등 완전한 민주정까진 아니더라도 귀족정 비슷한 전통이 있긴 했다.], 몽골인민혁명당은 그들의 요구를 수용하여 [[1990년]]에 자유 총선을 실시했다. 이 때 민주화 운동가들은 한 정당으로 뭉치지 않고 민주당, 몽골 국가진보당, 몽골 사회민주당 등 제각기 정당을 창당했다. 이들은 일단 한때 국가유일정당이었던 몽골 인민혁명당에 맞서야 했기에 연합을 하였지만 이합집산이 심했다. [[1992년]]에 새 [[헌법]]이 발효되어 나라 이름도 [[몽골국]]으로 개명하고 이 헌법에 따라 총선이 실시되었다. 총선에서 민주화 세력 정당들은 인민혁명당의 물타기 전략이 제대로 적중하여 76석 중 5석(그 중 민주당 4석)만 당선되는 참패를 당한다. 그래도 일단은 제1야당이었다. [[1993년]] 대선에서 당시 몽골 대통령이었던[* 1990년에 인민혁명당 소속으로 의회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는데(당시 몽골 대통령은 간선제로 선출되었다. 1992년에 새 헌법이 제정되었고 1993년부터 국민 직선으로 선출한다.), 당내 계파 갈등에서 패하는 바람에 인민혁명당을 탈당하고 민주화 세력 정당 중 하나인 몽골 사회민주당에 가입했다.] 오치르바트를 야권 단일후보로 당선시키면서 재기할 수 있었고, 그렇게 [[1996년]] 총선에서는 여러 민주화 진영 정당과 정당연합을 이뤄 출마해 처음으로 단독집권에도 성공한다. 허나 보조금 철폐 정책을 급진적으로 진행했다가 물가상승률이 오히려 오르는 등 심하게 말아먹은 탓에 1997년 대선과 2000년 총선에선 잇따라 참패하고 만다. 그러다 2000년 총선에서 패배한 이후인 2000년 12월 6일 여타 정당들과의 단일화를 계기로 [[민주당(몽골)]]이 창당되었다. 이후 민주당의 역사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 2011년에는 기존 민주당의 보수성에 반발한 실용주의자, 자유주의자들이 [[민족노동당]]을 창당했다. 민족노동당은 2022년에 당명을 [[인간당]]으로 바꾸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민주당(몽골), version=93, paragraph=역사)] [[분류:나라별 자유주의]][[분류:몽골의 정치]][[분류:고전적 자유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