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몽골의 역사)] [include(틀: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include(틀:소련의 위성국)] ||<-3> {{{+1 '''몽골 인민공화국'''}}}[br]'''ᠪᠦᠭᠦᠳᠡ ᠨᠠᠢᠷᠠᠮᠳᠠᠬᠤ ᠮᠣᠩᠭᠤᠯ ᠠᠷᠠᠳ ᠤᠯᠤᠰ'''[br]'''Бүгд Найрамдах Монгол Ард Улс''' || ||<-2><:>[[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100%]]||<:>[[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장.svg|width=100%]]|| ||<-2> '''국기''' || '''국장''' || ||<-3><:>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b90000 Орон бүрийн пролетари нар нэгдэгтүн!}}}]][br]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b90000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3><:>[[파일:몽골 위치.svg|width=250%]]|| ||<-3><:>'''1924년 11월 26일 ~ 1992년 2월 13일'''|| ||<-2> '''{{{#FFD700 복드 칸 승하 이전}}}''' || '''{{{#FFD700 개헌 이후}}}''' || ||<-2> '''[[복드 칸국|{{{#FFFF00 복드 칸국}}}]]''' || '''[[몽골|{{{#fff 몽골국}}}]]''' || ||<:> 위치 ||<-2>[[몽골]](외몽골)|| ||<:> 수도 ||<-2>[[울란바토르]]|| ||<:> 정치체제 ||<-2>[[공산주의]], [[민주집중제]], [[일당제]] → [[대통령제]], [[다당제]] || ||<:> 국가원수||<-2>대인민후랄 상임위원회 위원장 → 대통령 || ||<:> 정부수반||<-2>내각수상 → 국무총리 || ||<:> 언어 ||<-2>[[몽골어]], [[할하]] [[몽골어]]|| ||<:> 통화 ||<-2>[[투그릭]]|| [목차] [clearfix] == 개요 == [[1924년]]부터 [[1992년]]까지 [[동아시아]] 지역에 존속했던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다. 국제적으로 승인을 받은 국가들로 치자면 소련을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성립된 [[공산주의]] 국가이다.'''[* [[투바 인민 공화국]]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수 있지만 [[소련]], [[몽골]]을 제외한 국가들은 [[미승인국|투바를 승인하지 않았다.]] 이는 몽골도 마찬가지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승전국이 되어 1949년에는 대부분의 국가들에게 승인받았으며 1961년 [[국제 연합]]에도 가입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주권국가로 인정받았다 .] == 역사 == [[1922년]] 러시아 지역에서 [[소련]]이 결성되고 1924년에 몽골의 마지막 군주인 [[복드 칸]]이 사망하였으며[* 복드 칸은 제8대 [[젭춘담바 후툭투]]인데 대대로 [[환생]]하는 라마승으로 여겨져서 독실한 [[티베트 불교]] 신자였던 몽골인들 사이에서 큰 종교적인 권위를 지녔던 데다 중국과 운게른에게 끼이다시피했지만 그럼에도 몽골의 독립에 앞장선 인물로써 민중의 지지가 강했고 그 때문에 혁명정부에서도 복드 칸은 차마 건드리지 못했고 사회주의 입헌군주제라는 듣도보도 못한 형태로 유지되었다. 그 후 복드 칸이 사망하고 나서야 공산정권은 라마승의 환생은 더 이상 없다면서 군주제를 폐지하게 되었다. 제9대 젭춘담바 후툭투는 [[달라이 라마 13세]]에 의해 인증받았지만 공산정권을 피해 [[티베트]], 그리고 티베트가 중국군에 점령된 이후에는 [[인도]] [[다람살라]] [[티베트 망명정부]]에서 생활하다가 몽골이 민주화되고 나서 귀국해 한 세기만에 다시 인정받게 되었다.] 온건한 사회주의자이자 민족주의자인 그나마 몽골에서 점차 넓어지는 친소파와 달리 민족주의 성격을 뚜렷하게 지녔던 [[담딘 수흐바타르]] 또한 이미 작년인 [[1923년]]에 죽었다. 이러한 상황을 파악한 소련 정보당국의 첩보를 통해 그해 [[이오시프 스탈린]]을 주축으로 한 소련 정부가 사회주의 국가는 군주제가 아니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몽골이 완전한 사회주의 국가로 전환하도록 압박하자 새로이 지도자가 된 [[허를러깅 처이발상]]을 중심으로 한 몽골 인민정부는 본격적으로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전환작업에 착수하여 [[1924년]] [[11월 26일]], 몽골 인민공화국으로 국호를 변경하고 수도인 후레를 울란바토르(붉은 영웅)으로 바꿨다. 국부인 수흐바타르를 기리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몽골 인민공화국은 소련식 사회주의 헌법을 도입해 [[소련]] 이후 세계에서 두번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소련은 몽골 인민공화국의 성립 때부터 후견국이 되어 중화민국([[중화민국/북양정부|북양정부]], [[중화민국/국민정부|국민정부]])의 위협으로부터 몽골 인민공화국을 보호해주었다. 중국은 옛 [[청나라]]의 영역은 전부 중국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었고 실제로 몽골 공산화 이전에 [[외몽골 출병|몽골에 쳐들어온 적도 있었기 때문에]] 소련의 보호는 몽골 입장에선 생존 차원에서 필요했다.[* 중국이 내전을 끝내자마자 실행한 [[중국의 티베트 침공]]도 같은 이유로 벌어졌지만, 티베트는 몽골의 소련처럼 든든한 백이 없었고 결국 중국에 정복당했다.] 허나 그 대가로 몽골 인민공화국은 모든 분야에 있어 [[소련]]에게 종속되어 소련의 [[위성국]]이 되었다. 이후 몽골 인민공화국은 [[일본 제국]]의 [[괴뢰국]]인 [[만주국]]과의 충돌로 일어난 [[할힌골 전투]]라는 소규모 전투를 벌였으며 [[독소전쟁]]이 일어나자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 1944년, 소련은 투바를 합병시켰으며 여기에 더해서 [[내몽고 자치구|내몽골]]을 외몽골에 병합시키는 계획과 함께 다시 그 통합한 내외몽골을 '''몽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병합시킬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기도 했으나 미국, 중국의 반대로 철회하였다.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엔 중소 우호 동맹조약에 따라 외몽골의 국제적인 독립국가 위치를 확립시키려는 소련의 요청으로 중국, 소련 등 국제사회의 선거 관리 하에 1945년 9월 21일 몽골의 독립을 묻는 독립투표에서 [[만장일치]] 찬성득표로 공식적으로 외몽골의 독립이 확정되었다. 1945년 11월 10일 몽골 정부는 투표 결과를 중국과 소련에 공식 통보했다. 투표의 결과를 받은 중국 정부는 1946년 1월 5일 독립을 승인하고 2월 5일에는 [[중화민국/국민정부|중화민국]]과도 외교 관계를 정식으로 수립하였다. 그러나 [[1949년]] 중국 대륙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는 백지화되었다. 1949년 10월 16일 에는 [[국공내전]]에서 승기를 잡고 신중국의 건국을 선언한 [[마오쩌둥]]의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고[* 이 때 외몽골이 내몽골 지역을 포기한다는 조건으로 내몽골과 외몽골의 국경선이 조정 되었는데, 이로 인해 외몽골의 면적이 이전에 비해 약간 넓어졌다.] [[1961년]]에는 [[유엔]]에 가입하였다. 한편 [[국부천대]]를 실행한 [[장제스]]의 정권은 중공과 소련 사이에 맺어진 중소 상호 원조 조약을 이유로 예전에 국민당의 [[장제스]] 정권과 맺은 중소 우호 동맹조약이 무효화되었음을 선언하면서 우호조약에 따라 맺어진 몽골 독립투표의 무효화를 선언하게 된다. 중화민국은 계속해서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몽골을 자신의 땅이라고 주장하였지만]] 중화민국의 국제적 위상이 너무 줄어든 상태라 다들 별로 신경쓰지 않았고 훗날 2012년 중화민국은 몽골의 독립을 다시 승인했다. 1980년대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의 서기장으로 취임하여 소련을 개혁하고 서방에 대한 개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소련의 위성국이었던 몽골도 영향을 받았다. 몽골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로 몽골의 일당독재 정당 [[몽골 인민당|몽골 인민혁명당]]은 [[1990년]] 5월 헌법을 개정하고 그해 7월 자유선거를 실시하였다. 다른 몇몇 공산권처럼 피를 흘리지 않고 세계사의 흐름에 따라 순순히 민주화를 받아들인 영향[* 다만 몽골 인민혁명당 내 좌익 강경파 세력은 우파 민주화 세력을 무력으로 탄압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바트뭉흐가 이를 막아서서 무위로 돌아갔다.]으로, 몽골 인민혁명당은 안정적인 기반을 구축하였고 그를 바탕으로 자유선거에서도 압승하였다.[* 이후 몽골 인민혁명당은 6년 뒤인 [[1996년]] 야당 몽골민주연맹(Mongolian Democratic Alliance)에게 패배하여 75년 만에 정권교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렇게 공산주의 시대의 일당독재를 벗어나 민주적으로 정권을 잡은 몽골 인민혁명당은 국회 야당과 합의를 거쳐 [[1992년]] [[2월 15일]] 새로운 헌법을 발표하고 신헌법에 따라 국호를 '몽골 인민공화국'에서 '몽골국'([[몽골]])으로 변경했다. 한편 공산주의 정권 시절 일당 독재를 펼쳤던 몽골 인민혁명당은 이름을 몽골 인민당으로 바꾸고 공산주의 정당에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탈바꿈 했으며, 현재까지도 몽골의 주요 정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최근 총선과 대선에서 모두 압승을 거두기도 했다. == 군사 == [[몽골 인민군]] 항목 참조 == 관련 문서 == [include(틀:몽골 관련 문서)] * [[몽골/역사]] * [[소련]] * [[투바 인민공화국]] * [[로만 폰 운게른 슈테른베르크]] * [[복드 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쉬수정]] * [[외몽골 출병]] [[분류:몽골의 역사]][[분류:1992년 멸망]][[분류:소련의 괴뢰국]][[분류:공산주의 국가]][[분류:과거의 독재국가]][[분류:러시아-몽골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