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목포시의 시내버스)] || [[파일:태원여객 7번.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목포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목포시 도심순환버스 7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7번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삼학도) ||<-2> 종점 ||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삼학도) || ||<|2> 종점행 || 첫차 || 06:0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30 || 막차 || - || ||<-2> 평일배차 || 25분 ||<-2> 주말배차 || 25분 || ||<-2> 운수사명 || [[태원여객]], [[유진운수]] ||<-2> 인가대수 || 6대 || ||<-2> 노선 ||<-4> [[삼학도]] - 목포자연사박물관 - 목포교육지원청 - 우성아파트 - 이로동주민센터 - 용해교 - 문화방송 - 한일시장 - 용해2단지 - 목포시청 - 연산동근화아파트 - 행운타워 - 대성농협 - 양동우체국 - 북교초교 - 목포극장 - 유달산우체국 - [[목포항]] - 동명동어시장 - 종원빌라트 - 삼학타운 - [[삼학도]] || == 개요 == 목포시 도심순환버스 노선 중 하나. == 역사 == * 현재의 삼학로(당시 산업도로)가 개통되면서 신설된 노선. [[목포 버스 3|3번]], [[목포 버스 112|50번]]과 달리 최초부터 순환버스로 신설되었다. * 초창기 노선은 삼학도 - 여객선터미널 - 목포극장 - 양동우체국 - 1호광장 - 2호광장 - 목포시청 - MBC - 제일중학교 - 삼학도 노선이었다. * 90년대말 갓바위터널이 개통되면서 자연사박물관 구간도 지나가게 되었으며 현재의 하당 구간이 추가되었다. * 2000년대 초반 연산주공아파트 지역의 대중교통이 10번 버스만으로 부족하자 연산주공아파트로 변경되었다. * 2022년 12월 2일부로 근대역사문화관 일대의 일방통행이 시행되고 삼학도 방면은 상공회의소 -> 초원주차장으로 운행하고, 목포역 방면은 국제여객선터미널 -> 유달초등학교로 운행한다. 이는 [[목포 버스 60|60번]]도 동일하다. 이로서 근대역사문화관 일대의 분산되어 있던 정류장들이 깔끔하게 통합되는 효과도 생겼다. == 특징 == * 목포시 최초의 순환버스 노선. 그만큼 잘 짜여진 노선이라고 할 수 있겠다. * 도심순환 노선 중 유일하게 [[목포종합버스터미널]]과 [[목포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 하당지구에서 제일중으로 통학하는 학생들과 원도심 쪽에서 중앙여중이나 영흥중고로 통학하는 학생들 덕분에 이 짧은 구간에도 승객이 많다. 삼학도에서 막 출발한 차량이 제일중 앞에서 갓바위 쪽으로 들어가서 하당을 경유하기 때문에 제일중 앞까지만 해도 빈차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하교시간엔 만차상태로 교육청까지 간다]. 간혹 삼학도에서 배차간격이 꼬이면 제일중과 하당을 거치지 않고 바로 용해금호아파트로 가기도한다. * 과거에는 자유로를 비롯한 일부 도로들이 개설되지 않았기에 삼학도4차주택단지 내부에서 꽤 복잡하게 운행했다. 현재의 용당로가 아닌 삼학로145번길(삼학초등학교)로 들어와 용당로45번길, 용당로54번길, 동명주택로를 거쳐 삼학도123번길로 빠져서 다시 삼학로로 합류했었다. 108번도 동일한 경로로 운행했었으며 14번은 동명주택로까지 동일하게 가다가 남해로 쪽으로 빠졌다. * 총 운행시간은 55분이며, 운행횟수는 요일에 상관없이 하루 36회 운행한다. * 목포시 버스정보센터에는 삼학도에서 자연사박물관 방향으로 출발해 한 바퀴 돌고 온 다음, 삼학도에서 다시 왔던 길을 되돌아 다시 삼학도로 오는 것으로 되어 있다.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목포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