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술]][[분류:프랑스 소설]][[분류:가요]][[분류:동음이의어]] [목차] == 단어 == [[木]][[壚]][[酒]][[店]]. 목로란 [[선술집]]에서 술을 팔기 위해 설치한 널빤지로 좁고 기다랗게 만든 상을 의미한다. 즉, 널빤지로 좁고 기다랗게 만든 상이 있는 선술집이 바로 목로주점이다. 요즘 말로 하면 [[바(술집)|바]]가 곧 목로주점이다. 아래의 단어들은 다 여기서 파생되었다. == [[프랑스]] 소설 == L'Assommoir. [[1877년]]에 [[에밀 졸라]]가 발표한 장편소설이다. [[루공-마카르 총서]]의 제7권이며, [[자연주의]]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다. 여주인공인 제르베즈는 돈을 벌기 위해 애인 랑티에와 함께 파리로 나온다. 모자 제조기술자인 랑티에는 게으르고 술만 마시는 생활로 일관하다가, 결국 그녀를 버리고 다른 여자에게로 가버린다. 그녀는 두 아이와 함께 세탁부 일을 하다가 다락방에 사는 함석장이 쿠포와 결혼하고 자신의 가게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어느 날 쿠포가 지붕에서 일을 하다 떨어져서 부상하여 모아두었던 돈은 모두 동이 나버리고, 긴 요양기간에 남편은 그 후 빈둥빈둥 놀면서 술에 찌든 생활을 한다. 거기에 전 애인 랑티에가 찾아와서는 세 사람의 추악한 동거생활이 시작된다. 희망을 잃은 일가의 생활은 점점 악화되어가고, 그녀 자신도 가게를 팔아 술만 마셔댄다. 그 후 쿠포는 알코올 중독으로 죽고 뒤이어 그녀도 굶어죽는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파리 노동자들에 대한 풍자소설로서 작자의 예리한 관찰력과 구성력이 잘 나타나 있다. 1956년 프랑스에서 르네 클레망 감독, 마리아 셸 주연으로 영화화되었다. == [[한국]]의 포크 가수 [[이연실]]의 노래 == 가수 [[이연실]]이 1981년에 발표한 노래이다. 이연실 작사·작곡. 서정적인 멜로디의 [[통기타]] 노래이다. [[TJ미디어]]에는 5번에 등록되어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_pubxfxHRg)]}}}|| || 이연실 - 목로주점 (포크송 15년 결산 이연실 골든 1집 고운노래 모음집, 1989) || 가사는 다음과 같다. > 멋 들어진 친구 내 오랜 친구야 > 언제라도 그곳에서 껄껄껄 웃던 > 멋 들어진 친구 내 오랜 친구야 > 언제라도 그곳으로 찾아 오라던 >  > 이왕이면 더 큰 잔에 술을 따르고 > 이왕이면 마주앉아 마시자 그랬지 > 그래 그렇게 마주 앉아서 > 그래 그렇게 부딪혀 보자 >  > 가장 멋진 목소리로 기원하려마 > 가장 멋진 웃음으로 화답해줄게 > 오늘도 목로주점 흙바람 벽엔 > 30촉 [[백열등]]이 그네를 탄다 >  > (간주) >  > 월말이면 [[월급]] 타서 로프를 사고 > 연말이면 [[적금]] 타서 [[낙타]]를 사자 > 그래 그렇게 [[산]]에 오르고 > 그래 그렇게 [[사막]]엘 가자 >  > 가장 멋진 내 친구야 빠뜨리지마 > 한 다스의 [[연필]]과 [[노트]] 한 권도 > 오늘도 목로주점 흙바람 벽엔 > 30촉 백열등이 그네를 탄다 > 그네를 탄다~ [[슈가맨 3]]에서 어느 여고생이 이 노래를 불러서 화제가 되었다. [youtube(sDAFETIIzBY?)] [[모범택시 2]]에서 [[표예진]]이 연기하는 [[안고은]]이 가수 은희로 위장해 이 노래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