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에서의 모습, rd1=카이바 모쿠바, other2=DSOD 버전, rd2=모크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플레이어블 듀얼리스트)] [[파일:듀얼링크스 모크바.png|width=200]] >'''한국판 소개''' >----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의 남동생은 기껏해야 초등학교에 다닐 나이임에도, 카이바 코퍼레이션의 부회장을 맡고 있을 정도로 똑똑합니다. 당당한 실력을 지닌 게이머인 [[모크바(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는 캡슐 몬스터 챔피언입니다. 그러한 스킬이 듀얼리스트에게 전달되었는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목차] == 개요 == [youtube(Yq66DXun4F0,width=480,height=270)] * '''한국판 성우''' : [[문남숙]] * '''일본판 성우''' : [[타케우치 쥰코]] [[미궁형제(유희왕 듀얼링크스)|미궁형제]]와 [[에스퍼 로바(유희왕 듀얼링크스)|에스퍼 로바]], [[빛과 어둠의 가면(유희왕 듀얼링크스)|빛과 어둠의 가면]]과 전용 테마곡을 공유한다. 2018년 2월 14일 14시부터 상시 게이트 캐릭터로 편입되었다. == 해금미션 == * '''게이트 출현 조건''' : 듀얼 월드 (DM) 스테이지 13 달성 시 등장 * '''캐릭터 해금 미션''' : 상시 이벤트를 통해 진행 가능 ||
{{{#white '''미션1'''}}} ||'''미션 빙고''' 이벤트에서 2번째 시트를 모두 완성하세요. || === 미션 빙고 === ||<-3>
{{{+2 '''{{{#white 미션 빙고 1번째 시트}}}'''}}} || ||<-3><^|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3>
{{{+1 '''{{{#white 1번째 시트 미션}}}'''}}} || || '''듀얼을 10번 완료하세요.'''[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트레이더에서 카드를 1번 획득하세요'''[br][[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20000 || '''카드 팩 5개를 여세요.'''[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 '''마법 카드를 5번 발동하세요.'''[br][[파일:듀링 R 구슬.png|width=18px]] 50 || '''[[조이(유희왕 듀얼링크스)|조이]] 잠금 해제'''[br][[조이(유희왕 듀얼링크스)|조이]] 스킬 '전사족의 필드' || '''듀얼 월드(DM) 스테이지 6에 도달하세요.'''[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 '''덱 편집기 입장'''[br][[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10000 || '''자동 덱 완성을 1회 사용한다.'''[br][[파일:듀링 SR 구슬.png|width=25px]] 3 || '''20장의 몬스터를 소환합니다.'''[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3> {{{+1 '''{{{#white 빙고 보상}}}'''}}} || || '''1라인'''[br][[고대의 룰]] || '''2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3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 '''4라인'''[br][[용의 분노(유희왕)|용의 분노]] || '''5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6라인'''[br][[메탈화 마법반사장갑]] || || '''7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8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시트 완성'''[br][[에너미 컨트롤러]] || }}}}}}}}} || ||<-3> {{{+2 '''{{{#white 미션 빙고 2번째 시트}}}'''}}} || ||<-3><^|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3>
{{{+1 '''{{{#white 2번째 시트 미션}}}'''}}} || || '''거리 리플레이 보기'''[br][[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20000 || '''듀얼을 20번 완료하세요.'''[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함정 카드를 5번 사용하세요.'''[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 '''50 카드를 수집하세요.'''[br][[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30000 || '''랭킹 듀얼을 3번 완료하세요.'''[br][[파일:듀링 R 구슬.png|width=20px]] 50 || '''듀얼 스튜디오에 간다'''[br][[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30000 || || '''카드 팩 10개를 여세요.'''[br][[파일:듀링 ur 구슬.png|width=25px]] 3 || '''스테이지(DM) 9에 도달하세요.'''[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랭킹 듀얼을 1번 완료하세요.'''[br][[파일:듀링 SR 구슬.png|width=25px]] 3 || ||<-3> {{{+1 '''{{{#white 빙고 보상}}}'''}}} || || '''1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2라인'''[br][[코도모 드래곤]] || '''3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 '''4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5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6라인'''[br][[푸른 눈의 백룡]] || || '''7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8라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시트 완성'''[br][[모크바(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 || }}}}}}}}} ||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131094|대사가 나오는 카드]] == ||<-3>
{{{+2 '''{{{#white 대사가 나오는 카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4F0aa5VNR0,width=480,height=27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DlDPNCXi6o,width=480,height=27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nPT_N083gg,width=480,height=270)]}}} || || {{{+1 '''한국어'''}}} || {{{+1 '''일본어'''}}} || {{{+1 '''영어'''}}}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526528|음성이 존재하는 카드]][* 대사가 존재하는 카드와 음성이 존재하는 카드가 미묘하게 다르다.] * '''몬스터''' : '''[[푸른 눈의 백룡]]''', [[헝그리 버거(유희왕)|헝그리 버거]], [[드래곤의 제왕]],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 [[홀리 엘프]], [[식인 식물]], [[트로이 목마(유희왕)|트로이 목마]], [[에머랄드 드래곤]],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루드 카이저|루드 카이저]], [[코댁]],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s-7|크로코다이러스]], [[다이아몬드 드래곤]], [[사파이어 드래곤]], [[씨호스(유희왕)|씨호스]], [[래브라도라이드래곤]] * '''마법''' : [[헝그리 버거(유희왕)#햄버거 요리법|햄버거 요리법]], [[드래곤의 제왕#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고대의 룰]] * '''함정''' : [[홀리 엘프의 축복]], [[공격 무력화]], [[트로이 폭탄]] == 시작 덱 == ||<-5>
{{{+2 '''{{{#white 시작 덱}}}'''}}} || ||<-5> {{{+2 '''{{{#white 메인 덱}}}'''}}} || || UR [[푸른 눈의 백룡]][*샤인][br]x1 || R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루드 카이저|루드 카이저]][br]x1 || R [[코댁]][br]x3 || N [[요정 드래곤(유희왕)|요정 드래곤]][br]x3 || N [[푸른 눈의 실버 좀비]][br]x3 || || N [[레서 드래곤]][br]x3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마두를 가진 사룡|마두를 가진 사룡]][br]x3 || N [[악의 기사 드라고네스#외눈의 방패용|외눈의 방패용]][br]x3 ||<-2>||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레벨 업 보상 == ||
'''1''' || [[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모크바 || '''16''' || R [[거신룡의 유적]] || '''31''' || [[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100,000 || || '''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 || '''1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3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3''' || R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루드 카이저|루드 카이저]] || '''18''' || R [[정룡#아룡전생|아룡전생]] || '''33''' || R [[드래고닉 가드]] || || '''4'''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몬스터모프: 진화''' || '''1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75 || '''3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5'''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br][[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20px]]: 모크바 || '''20'''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빛''' || '''35''' || R [[고대의 룰]] || || '''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 || '''21''' || N [[용의 교감]] || '''36''' || [[파일:듀링 ur 구슬.png|width=25px]] 1 || || '''7''' || N [[용의 교감]] || '''2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3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8'''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23''' || R [[고대의 룰]] || '''38''' || SR [[드래곤의 마녀]] || || '''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 || '''2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20 || '''3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10''' || R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트리블|드래그니티-트리블]] || '''25''' || SR [[드래곤의 마녀]] || '''40''' || SR [[가디언 오브 펠그란트]] || || '''11''' || R [[정룡#아룡전생|아룡전생]] || '''2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0 || '''41'''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 '''1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5[br][[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20px]]: 모크바 || '''27'''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4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 '''13'''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헤비 스타터''' || '''28'''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43'''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14''' || N [[용의 교감]] || '''2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4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15'''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br][[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모크바 (Ver.2) || '''30'''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00 || '''45''' || R [[거신룡의 유적]] || == 스킬 == ||<-2>
{{{+2 '''{{{#white 스킬}}}'''}}} || ||<-2><:> {{{+1 '''{{{#white 레벨 업 보상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몬스터모프: 진화'''[br]① : 토큰 이외의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토큰 이외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묘지로 보냅니다. 그 후, 해당 몬스터의 원래 레벨보다 레벨이 1 만큼 더 높고, 종족 / 속성이 각각 해당 몬스터의 원래 종족 / 속성과 같으며, 일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1장을 자신의 덱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놓습니다.[br]이 스킬은 1턴에 1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4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헤비 스타터'''[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카드명이 다른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3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발동됩니다.[br][br]① : 자신의 시작 패에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들어올 확률이 높아집니다.[br]② : 자신의 첫 번째 메인 페이즈가 끝날 때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 할 수 없고,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습니다.||레벨 13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빛'''[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빛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레벨 20 달성|| ||<-2><:> {{{+1 '''{{{#white 캐릭터 전용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몬스터모프: 퇴화'''[br]① : 토큰 이외의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토큰 이외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묘지로 보냅니다. 그 후, 해당 몬스터의 원래 레벨보다 레벨이 1 만큼 더 낮고, 종족 / 속성이 각각 해당 몬스터의 원래 종족 / 속성과 같으며, 일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1장을 자신의 덱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놓습니다.[br]이 스킬은 1턴에 1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카이바 코퍼레이션 블링'''[br]① : 자신이 사용하는 샤인 카드 또는 프리미엄 카드에 대한 듀얼 평가 점수가 1.5배가 됩니다.[br]②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2000 감소한 후에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샤인 카드 또는 프리미엄 카드를 드로우합니다.[br][br]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2><:> {{{+1 '''{{{#white 기타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α'''[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1000 증가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β'''[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1500 증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시작 패의 카드가 1장 줄어듭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마법/함정'''[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카드명이 다른 마법 / 함정 카드가 3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br][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마법 카드 또는 함정 카드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화염'''[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화염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물'''[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물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땅'''[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땅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바람'''[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바람 속성 몬스터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패스'''[br]① :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300 증가합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총 3번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 CPU == [[파일:듀얼링크스 모크바 덱.png|align=center&width=70%]] ||
<-5>
{{{+2 '''{{{#white CPU (Lv.40)}}}'''}}} || ||<-5> {{{+2 '''{{{#white 메인 덱}}}'''}}} || ||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br]x2 || '''[[푸른 눈의 백룡]]'''[br]x1 || [[사파이어 드래곤]][br]x3 || [[에머랄드 드래곤]][br]x2 || [[홀리 엘프]][br]x2 || ||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br]x2 || [[드래곤의 제왕]][br]x2 || [[드래곤의 제왕#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드래곤을 부르는 피리]][br]x2 || [[정통한 혈통(유희왕)|정통한 혈통]][br]x2 || [[홀리 엘프의 축복]][br]x1 || || [[공격 무력화]][br]x1 ||<-4>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듀얼 보상 === ||<-5>
{{{+2 '''{{{#white 듀얼 보상}}}'''}}} || || UR [[빙염의 쌍룡]] || UR [[다크 플레어 드래곤]] || SR [[모자이크 만티코어]] || SR [[신룡 아포칼립스]] || SR [[코도모 드래곤]] || || SR [[빛의 인도]] || SR [[어드밴스 드로우]] || R [[라바 드래곤]] || R [[신룡 라그나로크]] || R [[드래곤 라이더(유희왕)|드래곤 라이더]] || || R [[용의 분노(유희왕)|용의 분노]] || N [[용의 혈족]] || N [[드래곤의 구슬]] ||<-2>|| == 미션 == ||<-2><:>
[[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40px]] {{{+1 '''{{{#white 카드 슬리브}}}'''}}}|| ||<:>'''카드 슬리브: 모크바'''||평생 미션[* "모크바" 레벨 5 달성]|| ||<:>'''카드 슬리브: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듀얼링크스 사전 등록 보상|| ||<-2><:>[[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40px]] {{{+1 '''{{{#white 플레이매트}}}'''}}}|| ||<:>'''플레이매트: 모크바'''||평생 미션[* "모크바" 레벨 12 달성]|| ||<:>'''플레이매트: 푸른 눈의 백룡'''||스테이지 미션(DM) 22 돌입|| == 평가 == 상당히 독특한 운영을 보여줄 수 있는 캐릭터로, '몬스터모프' 스킬들은 '일반 소환할 수 있을 것'이 조건이라, 특수 소환 할 수 없는 몬스터라고 하더라도, 일반 소환만 가능하다면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건은 그렇지만 일반 소환으로는 취급하지 않고, 그저 스킬로 꺼낸 것으로 취급한다. 이 덕을 많이 볼 수 있는 것은 주로 "[[파괴룡 간드라#s-1]]"와 스피릿 몬스터들. 특수 소환할 수 없고, 일반 소환한 턴의 엔드 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지는 디메리트가 있는데, 몬스터모프 스킬은 이를 완전히 상쇄시킬 수 있다. 보통은 이 '몬스터모프로 붉은 눈 덱을 사용하며 <붉은 눈의 흑룡 → 파괴룡 간드라>[* 붉은 눈 덱이 붉은 눈 인사이트로 빠르게 붉은 눈의 흑룡을 소환하기 위한 조건을 빠르게 충족할 수 있다.]의 진화 테크를 밟는 덱이 쓰이는 편. 파밍에서도 이 스킬이 쓰이는데 <4렙 빛 속성 천사족 → [[광신 테튜스]]>[* 광신 테튜스의 드로우 효과로 덱에 천사족 몬스터를 엄청나게 넣고 "[[요술망치]]", "[[리로드]]" 등의 패 교환 드로우 카드로 무한히 드로우해 최종적으로 "[[오시리스의 천공룡]]"을 어드밴스 소환, 무한 드로우해 10장이 넘어간 패로 10000 데미지 이상을 박아넣는 방식이다. 안정성은 좀 없지만 빠르고 편해서 자주 쓰인다. 특히 신 속성 몬스터 소환 시 1000점을 더 주기 때문에 아슬아슬하게 8000점을 넘을 수 있다.]루트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그 외에도 드로우 페이즈에 윤광/오색 카드를 드로우시켜주는 '카이바 코퍼레이션 블링' 스킬이 오랫동안 상위권에서 애용받았었다. 처음엔 라이프 포인트가 1800 이상 감소되어야 발동할 수 있는 스킬이었는데, '데스티니 드로우'에 밀려 전혀 사용되지 않자 라이프 감소 조건이 1000으로 상향되었다. 이로 인해 이 스킬과 "코즈믹 싸이크론"을 세장 넣으면 덱의 안정성이 매우 높아진다는점을 이용하여 카드군 특성상 패말림이 약간 있었던 '코아키메일' 덱을 순식간에 1티어 덱으로 끌어올렸다. 이로 인해 모크바가 당시 KC컵을 점거했었다. 덱 파워도 무지 강했지만 다른 덱에 비해 맞추는 가격이 매우 높다보니[* 카이바 코퍼레이션 블링으로 서치할 "코아키메일의 금강핵"이 메인 팩 SR등급이라 윤광/오색을 뽑으려면 운이 좋아야 몇만, 나쁘면 몇십만원부터 백만단위는 써야 단 한장을 얻을 수 있는데 스킬 발동도 한턴에 한번씩 가능해 많으면 많을수록 안정성이 올라간다. 일반적인 유저라면 절대 맞출수가 없었던 덱] 형평성을 위해 다시 1800으로 롤백되었다. 이로 인해 다시 '데스티니 드로우'의 하위호환이 되나 싶었지만 듀얼 중 한번만 쓸 수 있는 '데스티니 드로우'와 다르게 한턴에 한번 발동 가능하단 점에 주목하여 묘지의 마함을 덱으로 되돌릴 수 있는 '타락천사'가 사용하며 계속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결국 이로 인해 '''또''' 다시 밸런스 패치가 되어 현재는 파밍용 스킬이 되었다. == 기타 == DM 월드의 모크바는 대원판 성우인 [[문남숙]] 성우가 맡았다. 참고로 동일한 캐릭터지만 DM 월드의 모크바와 DSOD 월드의 [[모크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DSOD)]]의 성우가 다르다. DSOD 월드의 [[모크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DSOD)]]는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극장판]]에서 모크바를 담당하였던 [[곽규미]] 성우가 맡았다. 에이스 카드는 형인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와 동일한 "[[푸른 눈의 백룡]]"이다. 번역의 질이 매우 좋지 않아서 처음 게이트에서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를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님'''이라고 부르다가 플레이어가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를 선택한 상태로 모크바와 듀얼을 하면 '너',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하며 반말은 기본에다가 중간에는 형님이라고도 부르고, 듀얼에서 패배하면 온갖 조롱 섞인 대사로 비웃는 이상한 모습을 보여준다. 참고로 모크바는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를 한국어 더빙판 기준으로 "형" (일본판은 형님)이라고 부른다. 고로 듀얼링크스에서 모크바가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 '님'이라 부르는 건 명백한 잘못된 번역이다. 등장 시 자기한테 어울리는 '''최강의 덱'''을 달라고 했으나 덱을 확인 후 로이드에게 왜 덱이 '''이 따위냐며''' 면박을 준다. 물론 로이드는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가 어떤 덱을 사용하더라도 실력을 입증하라고 했다고 하자 그제서야 순순히 인정하는 식으로 등장. 타 듀얼리스트들을 상대로도 기세등등한 모습을 보이는데 [[조이(유희왕 듀얼링크스)|조이]]에게는 유독 심한지 '''개집에 쳐박아 주겠다!'''라고 말하며 덤벼든다. CPU 파밍은 레벨 40은 "사파이어 드래곤",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 "에머랄드 드래곤", 그리고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의 효과로 "푸른 눈의 백룡"을 소환하는 등 고화력 일반 드래곤족을 주력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정통한 혈통(유희왕)|정통한 혈통]]"으로 파괴된 일반 몬스터를 쑥쑥 살려내기에 난이도가 꽤 있다. 하지만 공격을 막는 카드는 "공격 무력화" 단 1장 뿐이니 이것만 처리하면 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듀얼 월드(DM), version=5, paragraph=2.4.1)] [[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듀얼리스트(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