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원구의 로)] {{{+1 慕忠路 / Mochung-ro }}} [[파일:500pxmochung.jpg]] 왼쪽에서 [[예체로]]와 접하는 모충고개 일대. '고개'라는 이름이 걸맞게 모충동 쪽의 지대가 크게 낮아져서 저 멀리 [[상당구]]의 산까지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7년 10월 7일 촬영) [목차] == 개요 == [[충청북도]] [[청주시]]의 주요 도로로 개신오거리에서 모충대교 사거리까지를 잇는 짧은 4차선 도로이다. 총 길이는 2km 정도로 [[512번 지방도]]에 속한다. 위의 틀에서 간선에 속하는 도로 중에서는 제일 짧다. 순환로들은 대체로 10km를 넘고, 서부로/청남로 역시 시외까지 향하는 긴 길이고, [[연청로]] 역시 1000번대를 넘는다. 이름의 유래는 같은 이름의 [[모충동]]과 마찬가지로 모충사이다. 여기에서의 '모충'은 [[동학농민운동]]을 진압하다 전사한 것을 뜻하는 것이다. 현재에는 동학농민운동의 평가가 바뀌었으니 약간 미묘함이 느껴지는 부분. 아무튼 유래가 된 모충사는 실제로도 주소에 모충로가 들어간다. 모충로 85. 네이버 지도에서 주황색으로 칠해져있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청주의 동서를 잇는 주요도로 중 하나이다. 그런 주요한 역할치고는 대부분이 왕복 4차로라는 그다지 넓지가 않은 도로이기 때문에 출퇴근길에는 꽤나 막히는 편이다. 가까이 개신오거리에 2009년에 고가차도가 생겨서 조금 나아졌다. 1980년대에는 모충대교가 없었고 아래의 모충교나 남사교 쪽으로 [[무심천]]을 건넜다고 한다. 현재 모충교는 인도로만 쓰고 있다. 무심천 동쪽에서는 두 다리가 거의 만난다. 2021년 11월 [[청주모충LH트릴로채]] 아파트의 준공으로 인해 도로 일부가 확장되었다. == 시설 == 이 길의 주소가 붙은 [[대학]]으로는 [[방송통신대학교]] 충북지역대학이 있다. 서원구 모충로 32. 모충동주공 2단지 아파트는 이름과 맞게 모충로를 주소로 쓰고 있다. 조금 떨어져있는 모충동주공 1단지는 모충로에서 약간 들어가있어서 [[쌍샘로]]를 주소로 쓴다. 모충로 128번 즈음[* 건물이 아니라서 도로명주소는 안 붙어있다.] [[모충동]] 411-10에는 작은 목조 건물이 있는데, 주민들은 대체로 '효자문'이라고 부른다. 정식 명칭은 '연최적 충효양전문(延最績忠孝兩全門)'으로, 이 비석의 주인공인 연최적은 [[인현왕후]] 폐위의 부당함에 대하여 상소를 올렸다가 옥사했다고 한다. 건립 연대는 1748년으로, 아마 모충동 일대의 건물 중에서 제일 오래된 게 아닐까 싶다. 중심 도로인 모충로 바로 길 변에 있으니까 굳이 찾아가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지나가다 보면 발견할 수 있다.[[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43661&cid=51895&categoryId=53928|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교통 == * [[청주 버스 30-2]] * [[청주 버스 418]] * [[청주 버스 512]] * [[청주 버스 512-2]] * [[청주 버스 512-3]] * [[청주 버스 811-1]] * [[청주 버스 811-2]] * [[청주 버스 842-2]] * [[청주 버스 863-2]] [[청주시 시내버스|시내버스]]가 굉장히 많이 지나간다. 심지어 이 일대 지역에서는 [[1순환로]]보다도 더 많은 버스가 지나간다. 하지만 이는 사직2동 남부와 모충동 북부의 작은 골목길에는 전혀 버스가 없기 때문에 모든 교통수단이 모충로에 집중된 탓이기도 하다. 버스 정류장 간격도 200m 가량으로 비교적 촘촘한 편. == 구간 == ||교차로 이름 중에서 정식명칭이 아닌 것은 이름 옆에 '''*''' 으로 표시함.|| ||<-100> '''서쪽 기점 ([[1순환로]] 773, [[서부로(청주)|서부로]]와 직결)''' || || ||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5DEB3><|7> '''[[서원구]]''' ||<#FDF5E6> '''[[개신동]]''' || 개신오거리 || 1번 || [[1순환로]][br][[서부로(청주)|서부로]][br]([[512번 지방도]]) ||<#EEE8AA><|7> '''[[512번 지방도]]''' || ||<#FDF5E6><|6> '''[[모충동]]''' || 모충고개삼거리 || 50번 || [[예체로]] || || 우리마트사거리* || 75번 || [[쌍샘로]] || || 후생사사거리* || 100번 || [[호국로(청주)|호국로]] || || 충효문삼거리* || 130번 || [[남사로]] || || || 145번 || [[서원서로]] || || 모충대교오거리 || 160번 || [[사운로]][br][[무심서로]] || ||<-100> '''모충대교 ([[무심천]])''' || ||<#FFA07A> '''[[상당구]]''' ||<#FDF5E6> '''남주동[br]([[성안동(청주)|성안동]])''' || 모충대교사거리 || 190번 || [[무심동로]][br][[성안로(청주)|성안로]]74번길 || ||<-100> '''동쪽 종점 ([[무심동로]] 325)''' ||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로 모충동 구간을 지나간다. 예체로와 교차하는 모충고개삼거리에서 개신동으로 동이 바뀐다. 개신동 구간은 약 500m. 둘 다 [[서원구]]의 동이라 이 도로의 대부분은 서원구만을 지나가는데, [[무심천]] 건너 모충대교 사거리까지 이 길에 속하기 때문에 상당구에 약간은 걸친다. 그 부분엔 강변이라 딱히 모충로가 주소로 붙은 건물은 없다. 재미있게도 강 건너기 전 서원구의 교차로 이름은 '모충대교'''오'''거리'이고, 상당구의 교차로 이름은 '모충대교'''사'''거리'이다.[* 한편 '모충사거리'는 모충로와 아무 상관이 없다. 모충사거리는 모충로에서 몇백 미터 떨어진 [[청남로]]와 [[무심서로]] 사이의 교차로이다.] [[개신동]] 문서에도 적혀있는 것처럼, 모충고개삼거리는 과거에 '배티고개'라고 불리기도 했다. 개신동 쪽에 박씨가 많이 살았다고 박배티, 모충동 쪽에 연씨가 많이 살았다고 연배티라고 불렀다고 한다.[[http://cheong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eongju&dataType=98&callFunc=goSearch()%3B&keyword=%EB%B0%B0%ED%8B%B0|디지털청주문화대전 - 배티]] 이 지명은 '연배티길'이라고 2011년 도로명주소 사업에서 모충로124번길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이기도 했다. 오늘날에는 모충로25번길 43 일대의 공원에 '배티공원'이라는 이름이 붙어 옛 고개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모충고개삼거리'라는 팻말은 꽤 최근에 생긴 것으로, 2015년 다음 로드뷰 등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개신오거리를 넘어가면 [[서부로(청주)|서부로]]로 이름이 바뀐다. 오거리라서 그렇긴 한데, 5갈래 중 하나는 [[충북대학교]] 입구쪽 길이어서 사실상 모충로와 서부로는 직진으로 이어져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 서부로는 강내면 남부를 거쳐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의 입구까지 이르는 길로 시점과 종점의 직선 거리만 14km가 되는 기나긴 길이다. == 지선 == * 모충로3번길 모충로9번길과 함께 모충로 지선 중에선 가장 곧게 뻗어있을 듯한 길로, 300m 가량의 직진도로이다. 1순환로751번길, 739번길과 교차하다가 1순환로727번길을 만나면서 끝난다. * 모충로9번길 모충로3번길과 거의 나란히 가는 길. 3번길과는 달리 1순환로751번과 교차하면서 [[창직로]]12번길로 이름이 바뀐다. 베스트윙 남서쪽 교차점. 2012년 기무사 부지로 만든 배티공원의 서쪽을 지난다. 배티공원은 지대가 높아서 바로 이어지지는 않고 계단으로 올라가야 한다. 이어진 창직로12번길로 쭉 가면 태암베스트윙 서쪽, 개신삼익2차 서쪽을 지나 창신초등학교 서쪽으로 통한다. * 모충로12번길 송학삼익 단지의 입구가 되는 길. 맞은편의 모충로13번길과는 거의 직결로 이어지지만 모충로 본선과 사거리를 이루진 않는다. * 모충로13번길 * 모충로25번길 개신삼익1차 단지의 입구가 되는 길. 3번길/9번길과 나란히 진행하다가 9번길과 마찬가지로 1순환로751번과 교차하면서 [[창직로]]32번길로 이름이 바뀐다. 1순환로751번길 역시 이 지점에서 [[예체로]]19번길로 이름이 바뀌기 때문에 네 길이 모두 다른 본선인 곳. 이 길의 마지막 건물(?)은 배티공원이다.[* 사실 건물이라 해도 별 문제는 없는게, 기존 기무사 부지에 남아있던 청사 건물을 청주시가 평생학습관 분관으로 삼아 쓰고 있기 때문.] 모충로25번길 43. 앞서 말했듯이 기무사 부지를 이용해 만든 거라 원래 도시설계상 계획된 공원은 아니지만 이 지역이 원래 공원이 없어서 인근의 창신초등학교 운동장을 마을 공터처럼 쓰던 동네라서(..) 꽤나 잘 쓰이고 있다. 창직로32번길로 바뀐 길은 창직로를 지나면서 홀수번으로 바뀌어서 창직로31번길로 계속 이어지다가 [[사직대로]]164번길까지 이어져 [[사직대로]]로 통한다. 1차 도로명주소사업에서는 이 길을 '신사중로'라고 명명한 적이 있다. 북쪽 즈음부터는 '대안로'로 이름붙였던 듯. * 모충로26번길 방송대 서쪽을 두르면서 같은 본선인 모충로12번길, 모충로 34번길과 만난다. 1순환로803번길과도 만난다. * 모충로34번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충북지역대학의 입구가 되는 길. 단, 방송통신대학교 자체는 모충로 본선으로 주소가 붙어있다. * 모충로35번길 우정한가람 아파트의 입구가 되는 길. 예체로1번길, 7번길과 교차하다 예체로13번길을 만나면서 끝난다. ...지도에는 그렇게 나와있는데, 35번길의 방향을 따라 쭉 따라가면 예체로19번길까지도 길이 나있다. 그쪽 길로는 입구가 난 집이 없어서 길 이름이 붙지 않은 듯. * 모충로44번길 * 모충로45번길 * 모충로47번길 모충로35번길과 마찬가지로 예체로 1번길, 7번길과 교차하다 13번길을 만나면서 끝난다. 2011년 도로명에서는 '백현로'라고 명명되기도 했었다. 옆길 45번길이 '백현1로'. 사실 두 길 모두 지금 생각해보면 이름이 붙을 만한 길은 아니었다. 아래 구간부터는 예체로를 지나서 모충동 지역이다. * 모충로68번길 모충동금호 아파트를 두르는 길. 1차 도로명주소 사업기에는 '금우로'라고 이름붙기도 하였다. * ([[호국로(청주)|호국로]]3번길) 호국로 지선들은 주로 모충로 지선과 교차하지만 호국로3번길 동쪽이 직각으로 꺾여서 본선과도 만난다. * 모충로77번길 / ([[쌍샘로]]) * 모충로89번길 호국로3번길과 교차하다 호국로9번길을 만나는 지점에서 [[창직로]]96번길로 이름이 바뀐다. * 모충로96번길 모충동주공 1단지로 들어가는 길. 중간에 쌍샘로와 교차한다. 1차 도로명주소에서는 '초원길'이었다. * 모충로104번길 / ([[호국로(청주)|호국로]]) 모충삼호 1/2단지로 휘어져들어가는 길. 휘어지는 길의 특성상 같은 본선의 모충로124번길, 140번길, 144번길과 만나는 위엄을 자랑한다. [[서원서로]]를 만나는 지점에서 모충로158번길로 이름이 바뀐다. 1차 도로명주소 사업에서는 '효자길'로 이름붙었었다. 호국로는 이 지점에서 시작해서 [[직지대로]]를 만날 때까지 2km 가량 북쪽으로 진행한다. * 모충로115번길 * 모충로117번길 호국로10번길과 교차하면서 골목 속을 구불구불 들어가는 길. * 모충로121번길 요리조리 꼬불꼬불들어가면서 [[사직초등학교]] 동쪽길까지 이어지는 길. [[호국로(청주)|호국로]]10번길, [[남사로]]7번길, [[창직로]]과 교차하다가 호국로38번길을 만나면서 끝난다. * 모충로123번길 * 모충로124번길 * ([[남사로]]) [[사직초등학교]]로 올라가는 길. 북쪽이라서 올라간다고 쓰긴 했지만 실제로도 상당히 가파른 길이기도 하다. * 모충로140번길 * 모충로144번길 청주모충초등학교 정문에서 이어지는 길. * 모충로145번길 * ([[서원서로]]) * 모충로153번길 * 모충로157번길 모충로 끝 무렵에 난 지선으로 [[사운로]]와 이어진다. * 모충로158번길 군데군데 골목이 많은 동네여서 지선이 많다. 총 28개로 길 한쪽 기준으로 10번(100m)마다 골목이 갈라져있는 꼴이다. 거의 빈틈이 없다고 봐도 될 듯. 비슷한 길이의 [[예체로]]는 11개 정도뿐이다. [[분류:서원구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