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 영문판 [[장렬한 전투]]에서 첫 등장했으며, 후에 [[EXTRA PACK]] 3에서 OCG판으로 등장한 몬스터들. 모쟈를 중심으로 킹 오브 비스트를 소환을 것을 방식으로 효과가 연계되어 있다. 다 합쳐서 3장 뿐이지만, [[사이버 다크]]마냥 [[키마우스|다른 시리즈]]와 조합으로 랭크 1와 랭크 4 엑시즈 쪽으로 강화되고, 모쟈 자체의 스테이더스가 이리 저리 다른 카드 보조 받기 좋은 덕분에 3장만으로 이론상으로는 덱 구축이 된다. 현실적으로는 예능의 영역이기 때문에 카드가 모여서 재미용으로 짠다면 모를까 그닥이다. === 모쟈 === [[파일:モジャ.jpg]] || 한글판 명칭 ||||||||'''모쟈'''|| || 일어판 명칭 ||||||||'''モジャ'''|| || 영어판 명칭 ||||||||'''Moja'''||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땅]] || [[야수족]] || 100 || 100 ||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때,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레벨 4의 야수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레벨 4 몬스터를 [[샐비지]] 한다면 [[더커(유희왕)|더커]]가 있다. 이 카드를 쓰겠다면 야수족이라는 점과 킹 오브 비스트, 비스트라이커와 연동이 된다는 점을 최대한 살려야 한다. 일단 능력치가 낮아 서치 자체는 [[원 포 원]], [[거대쥐]], [[재빠른#s-2.3|재빠른 빅햄스터]]등 널렸고, [[금화고양이]]와 [[키마우스|"로크 캣"]]으로 쉽게 소생가능하여 우려먹기는 편하다. 더불어 왠지 생김새가 [[실장석]]을 닮았다. 특히 표정이.~~효과도 대놓고 박살내라고 만들었다~~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는 프리 듀얼의 첫번째 CPU 듀얼리스트로 등장해서 자신을 넣은 야수족 덱을 쓴다. 생긴 것과는 달리 사람의 말을 하는데, 대사도 흐흐흐흣!을 포함해 ~~자꾸 박살내주고 싶어지는~~ 뭔가 기분나쁜 말투. 실제로 듀얼에 조금만 집중한다면 패가 말리지 않는 이상 매우 쉽게 이길 수 있다. 공격력 최대치가 2500(킹 오브 비스트)밖에 안 되는 엑스트라 덱 전무의 비트다운 덱이기 때문. === 비스트라이커 === [[파일:ビーストライカー.jpg]] || 한글판 명칭 ||||||||'''비스트라이커'''|| || 일어판 명칭 ||||||||'''ビーストライカー'''|| || 영어판 명칭 ||||||||'''Beast Striker'''||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땅]] || [[야수족]] || 1850 || 400 || ||||||||||1턴에 1번, 자신의 패를 1장 버리는 것으로, 자신의 덱에서 "모쟈"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어택커로는 그런대로 나쁘지 않은 공격력을 가지고 있다. 킹 오브 비스트를 버리고 덱에서 모쟈를 서치한다면 바로 킹 오브 비스트를 묘지에서 소생시킬 수 있다. 체인도그의 콤보가 꽤 좋다. 비스트라이커의 효과로 체인도그를 버리면 바로 필드위에 야수족이 두마리 모여 특수소환 가능한 데다 [[라바르바르 체인]]으로 바로 이어서 킹 오브 비스트를 묘지로 매장 할 수 있기 때문에 필드에 소환된 모쟈로 바로 소환 할 수 있다. 그 외에 [[마굉신수]]와 연계해 보는것도 재밌다. === 킹 오브 비스트 === [[파일:キング・オブ・ビースト.jpg]] || 한글판 명칭 ||||||||'''킹 오브 비스트'''|| || 일어판 명칭 ||||||||'''キング・オブ・ビースト'''|| || 영어판 명칭 ||||||||'''King of the Beasts'''||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유희왕/속성|땅]] || [[야수족]] || 2500 || 800 ||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모쟈"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자신의 패 또는 묘지에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킹 오브 비스트"는 필드 위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공격력이 믿음직하지 못한 수치이긴 하지만, 모쟈 1체만을 릴리스해서 간단하게 소환이 가능하다. 뭣보다 묘지에 처박혀 있어도 나올 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때문에 이 카드와 모쟈가 묘지에 있다면 [[금화고양이]]로 제외되지 않는 한 언데드마냥 계속 부활시킬 수 있다. 금화 고양이가 싫다면 [[키마우스|"로크 캣"]]이란 선택지도 있다. 레벨7의 야수족에는 백수왕 배히모스와 바분형제가 있기 때문에 소환이 쉽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7랭크 엑시즈를 노려보는 방법도 있다. 위의 두 카드와 세트로 덱을 짠다면 에이스가 되는데 타점이 낮은게 상당히 문제가 된다. 가능하면 [[환상수의 뿔]]같은 카드로 보조해 주거나, 고레벨 [[싱크로 소환]]의 소재로 쓰자. 마굉신수를 섞는다면 비스트라이커의 효과의 연계를 노리면서 쉽게 저레벨 야수족 튜너를 확보할 수 있다. == [[대다크]]에 등장하는 [[모쟈호|우주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쟈호)] [[분류:유희왕/OCG/야수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