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산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저축계 커맨드, rd1=저축계 커맨드)] [목차] == 개요 ==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육과정에서 수를 조작하는 극히 기본적인 방법을 지도하기 위한 개념이다. == 상세 == 두 개 이상의 수들을 더하는 것. 사실상 [[덧셈]]이다. 예를 들어 1과 2를 모으기하면 3, 4와 5를 모으기하면 9이다. 더 어렵게는, 두 단계에 걸쳐 세 수를 한 수로 모으기하는 활동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1과 2를 우선 3으로 모으기한 다음, 다시 그 3을 4와 모으기하여 7을 얻는 식이다. 모으기는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육과정에 나오는 개념이므로, 음의 정수나 소수, 분수 따위를 배우지 않은 관계로 모으기에서는 0과 자연수만을 취급한다. 그중에서도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20까지의 수만을 고려한다. 초등학교 1학년생들 중 수를 다루기 어려워하는 아이들은 손가락을 접었다 펴 보아야만 겨우 답을 찾는 등 여기에서 큰 고비를 겪는다. 이 경우 교육자는 바둑돌 같은 물체를 이용하여 '[[셈 측도|수효]]를 세는 법'과 '수효의 합', 그리고 그것을 기호로서 표현하는 '수'가 무엇인지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편이 좋다. 모으기의 역([[逆]])은 [[가르기]]이며, 이 역시 초등학교 1학년 때 모으기와 함께 다룬다. 가르기와 모으기는 [[덧셈]]과 [[뺄셈]]의 기초가 된다. [[해석학(수학)|해석학]]에서는 [[적분]]이 여기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