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후한의 태위)]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0%, #a11 20%, #a11 80%, #a11)" '''{{{#fecd21 {{{+1 牟融[br]모융}}}}}}'''}}} || ||<-2> '''[[시호|{{{#FEDC21 시호}}}]]''' ||<(> 정후^^(正侯)^^ || ||<-2> '''[[작위|{{{#FEDC21 작위}}}]]''' ||<(> 관내후^^(關內侯)^^ → 절향후^^(節鄕侯)^^ || ||<-2> '''[[직위|{{{#FEDC21 최종직위}}}]]''' ||<(> 태위^^(太尉)^^ || ||<-2> '''[[성씨|{{{#FEDC21 성씨}}}]]''' ||<(> 모^^(牟)^^ || ||<-2> '''[[휘|{{{#FEDC21 휘}}}]]''' ||<(> 융^^(融)^^ || ||<-2> '''[[자(이름)|{{{#FEDC21 자}}}]]''' ||<(> 자우^^(子優)^^ || ||<-2> '''{{{#FEDC21 생몰 기간}}}''' ||<(> 음력: ?년 ~ 79년 2월 5일[br]양력: ?년 ~ 79년 3월 26일 || ||<-2> '''{{{#FEDC21 고향}}}''' ||<(> 청주^^(青州)^^ 북해국^^(北海國)^^ 안구현^^(安丘縣)^^ || ||<|2> '''{{{#FEDC21 재임기간}}}''' ||<:> '''{{{#FEDC21 사공 재임기간}}}''' ||<(><#ffffff> 69년 7월 ~ 75년 10월 2일 || ||<:> '''{{{#FEDC21 태위 재임기간}}}''' ||<(><#ffffff> 75년 10월 2일 ~ 79년 2월 5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한]] 초 명신이자 자는 자우(子優)로 청주 북해국 안구현 출신. == 생애 == 젊었을 적부터 학문이 깊고, 대하후상서(大夏侯尙書)[* [[전한]] 시대에 하후승(夏侯勝)이 지은 책으로 [[상서]] 중에서는 금문상서(今文尙書)이다.]로 학생들을 가르치니 모이는 자만 수백이였다. [[사도(동음이의어)#s-1.2|사도]](司徒)[* 누군지는 알려지지 않았다.]에 의해 무재(茂才)로 천거되어 풍현(豊縣) [[현령]]이 되었다. 모융은 풍현 현령직을 맡은 3년 동안에는 풍현에는 소송이 없고, 주군(州郡)에서 치적이 제일이었다. 사도 [[범천(후한)|범천]](範遷)이 모융은 충성과 공정을 겸비하였고, 학문적 지식도 매우 높아 조정에서 직무하게 하게 해야한다고 말하였고, 62년 그 말대로 모융은 [[포욱(후한)|포욱]](鮑昱)의 뒤를 이어서 사례교위(司隷校尉)가 되었고, 많은 과실을 바로잡아 다른 관리들이 모융을 경외하였다. 65년 포함(包鹹)의 뒤를 이어 [[대홍려]](大鴻臚)가 되었다. 69년 해양홍(鮭陽鴻)의 뒤를 이어 [[대사농]](大司農)이 되었다. [[한명제]]가 정일(正日, 의식날)을 맞아서 조정에서는 여러 번 회의를 하는데 모융은 본래 학문과 좋아하고 의논도 잘해서 다른 관리들도 감탄하였고, 한명제는 재상보다 능력이 좋다고 개탄하였다. 69년 7월 [[복공]](伏恭)의 후임으로 [[사공#s-2|사공]](司空)이 되었다. 75년 10월 2일 한 명제가 죽고 즉위한 [[한장제]]는 본래 [[태위]](太尉)였던 [[조희(후한)|조희]](趙憙)를 태부(太傅)로 임명하고 모융을 태위로 삼았다. 79년 2월 5일 모융이 죽자 한 장제는 장례식에 참석하였다. 모용의 맏아들 모린(牟麟)을 낭관(郎官)으로 임명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후한서)] [include(틀:후한의 대사농)] [[분류:후한의 태위]][[분류:7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