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9,#808080><-10> '''북유럽 신화''' || ||<#ddd,#55595c><-10> '''[[애시르 신족]]''' || || [[오딘]] || [[토르(북유럽 신화)|토르]] || [[로키(북유럽 신화)|로키]] || [[프리그]] || [[발드르]] || [[헤르모드]] || [[헤임달]] || [[티르]] || [[우르#s-2|우르]] || [[스카디]] || || [[시프]] || [[시긴]] || [[이둔]] || [[노른]] || [[발리#s-2|발리]] || [[비다르]] || [[오드]] || [[호드(북유럽 신화)|호드]] || [[모디와 마그니]] || [[발키리]] || '''Móði ok Magni''' [목차] == [[북유럽 신화]] ==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애시르 신족의 3세대이자 라그나로크를 기준으로 한 신화 2세대 형제들. 애시르 신족이라고는 하지만 반인 반거인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그들의 모친이 서리 거인인 데에서 유래한다. 사실 애초에 그들의 할아버지[* 다만 토르가 오딘의 아들이라는 전승은 후대에 오딘의 위상이 높아지며 토르가 오딘의 아들로 격하되면서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오딘부터가 신과 거인의 혼혈인 반신반거인이다. 정확히 말하면 둘 다 토르의 자식들이지만 모디는 어머니가 불명이고, 마그니는 거인 야른삭사의 아들이다. 이름의 뜻은 각각 '용기/분노'[* 모디의 이름은 영단어 [[무드]]와 어원이 같다.]와 '위대'.[* [[마그나 카르타]](대헌장)의 마그나와 같은 어원.] [[라그나로크]] 이후로 생존한 얼마 없는 신들인데, 이후 [[묠니르]]를 계승했다고 전해진다. 모디는 라그나로크에서 살아남았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전승이 적다. 반면, 마그니는 아버지 [[토르(북유럽 신화)|토르]]가 쓰러뜨린 [[흐룽그니르]]의 거구가 토르를 깔아뭉갰을 때, 천하장사인 토르도 싸움에서 힘이 빠지고 게다가 머리에 숫돌 조각이 박혀있는 상태였다.[* 다르게 보면 북유럽 신화 최강자인 토르를 남의 몸 밀어낼 힘조차 없게 만들 정도로 흐룽그니르가 괴물이었다는 얘기도 된다. 심지어는 힘 안빠져 있던 다른 남신들조차 이 다리를 어쩌지 못했다. 다만 전승에 따라서는 흐룽그니르의 말인 굴팍시가 깔렸다고도 한다.] 당시 3살[* 판본에 따라 태어난 지 3일밖에 되지 않았다고도 한다! 덴마크 만화 [[발할라]]는 이쪽을 차용.]이었던 마그니가 괴력으로 흐룽그니르를 들어올려서 이에 토르가 기뻐하며 아들에게 흐룽그니르의 말인 굴팍시를 선물했다. 한편 오딘은 굴팍시같은 최고의 전리품을 아버지에게가 아니라 아들에게 줬다고 투정했다고 한다.[* 이게 두고두고 맺혔는지 훗날 [[하르바르트|찌질하게 복수한다.]]] 그런데 그렇게 굴팍시를 얻어놓았음에도 정작 마그니가 전쟁터에 굴팍시를 타고 다녔다는 전승은 없다. == 대중 문화 == === [[갓 오브 워]] === [[모디와 마그니(갓 오브 워 시리즈)]] 문서로. === [[워크래프트 시리즈]] === [[마그니 브론즈비어드]]의 이름은 여기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 [[베아트리스 플라워차일드]]가 [[클래스 카드]]로 마그니를 인스톨 한다. 물론 토르와 동일한 보구를 착용하고 묠니르까지 휘둘렀기에 이리야와 친구들은 꼼짝없이 베아트리스가 인스톨한 영령을 토르로 오인하고 있었다. [각주] [[분류:북유럽 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