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 매직 더 개더링의 확장판)] [[파일:모던_호라이즌_2.jpg|width=720]] [목차] == 개요 == [youtube(xw1Q5e6L8q0)] Modern Horizons 2 [[TCG]] 《[[매직 더 개더링]]》의 특별 세트. 2021년 6월 18일에 출시했다. == 상세 == [[모던 호라이즌]]의 후속 팩이다. 커버 캐릭터는 [[Dakkon Blackblade]]. == 환경 == [[날렵한 좀도둑, 라가반]]과 [[우르자의 서사시]]가 몹시 강력하다는 평을 받는다. == 키워드 및 메커니즘 == [[모던 호라이즌]]과 마찬가지로 과거의 키워드들이 대거 등장한다. [[타르커의 칸]]까지로 의도적으로 제한된 전작과 달리 이번에는 스탠다드 범위의 키워드들까지 발매된다. * 구 에버그린 * 보호(Protection): 보호를 가진 지속물은 보호 대상에 해당하는 원천에게 목표로 잡히거나, 피해를 입거나, 해당하는 지속물이 부착될 수 없다. 생물이라면, 해당하는 생물에게 방어당하지도 않는다. * 기량(Prowess): [[타르커의 칸]]에서 [[제스카이 도]]의 능력으로 처음 등장한, 생물이 가진 격발 능력. 기량을 가진 생물은 조종자가 생물이 아닌 주문을 발동할 때마다 턴종료까지 +1/+1을 받는다. * 재생(Regenerate): 지속물이 가진 키워드 행동. 재생한 지속물이 이 턴 다음번으로 파괴되려고 하면, 대신 (생물이라면 그 생물이 받은 피해도 전부 제거하고) 탭한다. * 기본 대지 유형 잠입(~walk): 생물이 가진 능력. 수비플레이어가 잠입에 해당하는 유형의 대지를 조종한다면 그 생물은 방어당하지 않는다. * [[템페스트 블록]] * 그림자(Shadow): 생물의 정적 능력. 그림자를 가진 생물은 그림자를 가진 생물끼리만 방어하거나 방어당할 수 있다.[* 구 한글판에는 '샤도우'라고 나왔다.] * [[우르자 블록]] * 순환(Cycling) {X}: 카드의 활성화 능력. 순환 비용을 지불하면서 손에서 버리면 카드 한 장을 뽑는다. * 에코(Echo) {X}: 생물의 격발 능력. 전장에 들어오고 나서, 다음 조종자의 유지단 시작에 에코 비용을 지불한다. 지불하지 않으면 희생된다. * [[Invasion]] * 영토(Domain): 영토를 가진 주문/지속물은 조종자가 조종하는 기본 대지 유형(들, 섬, 늪, 산, 숲)의 수를 참조한다. * 키커(Kicker) {X}: 키커를 가진 주문은 발동하면서 키커 비용을 추가로 지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 스플릿 카드(Split Card): 카드 한 장에 두 종의 순간마법 또는 집중마법이 인쇄된 카드. 스플릿 카드는 이렇게 인쇄된 두 종의 주문 중 원하는 한 쪽으로 발동할 수 있다. * [[Odyssey]] * 기본 대지 유형 순환(~cycling) {X}: 순환의 변형인 활성화 능력. 비용을 지불하면서 손에서 버리면 서고에서 해당하는 기본 대지 유형을 가진 카드 한 장을 서고에서 찾아 공개하고 손에 넣는다. (그리고 서고를 섞는다.) * 회상(Flashback) {X}: 순간마법과 집중마법이 가진 능력. 회상을 가진 카드는 회상 비용을 지불하고 무덤에서 발동할 수 있다. 이렇게 발동한 주문은 스택을 떠날 때 추방된다. * 광기(Madness) {X}: 광기를 가진 카드가 손에서 버려지려고 하면, 대신 추방된다. 이렇게 추방된 순간 그 카드를 광기 비용을 지불하고 발동하거나, 다시 무덤에 넣는다. * 문턱(Threshold): 문턱을 가진 주문/지속물은 조종자의 무덤에 카드가 일곱 장 이상 있으면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 [[Onslaught]] * 폭풍(Storm): 주문이 가진 격발 능력. 발동할 때, 그 턴 이전에 발동되었던 주문의 수만큼 그 주문을 복사한다. * [[Mirrodin]] * 친화(Affinity): 친화를 가진 주문은 조종자가 조종하는 특정 유형의 지속물 한 개마다 {1}만큼 비용이 줄어든다. 마법물체 친화(Affinity for artifacts)가 가장 유명하나, 이번에는 토큰 친화(Affinity for tokens) 등의 변형도 등장한다. * 엮어내기(Entwine) {X}: 선택할 수 있는 모드를 가진 주문에 적용되는 능력. 발동할 때 엮어내기 비용을 추가로 지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모든 모드가 적용된다. * 각인(Imprint): 각인을 가진 지속물이 전장에 들어올 때, 조건에 맞는 카드 한 장을 추방한다. 각인을 가진 지속물들은 이렇게 추방된 카드를 참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 모듈(Modular) X: 마법물체가 가진 능력. 모듈을 가진 지속물은 +1/+1 카운터 X개를 가지고 전장에 들어오며, 전장에서 무덤에 들어갈 때 마법물체 생물을 목표로 정해 자신이 가지고 있던 +1/+1 카운터를 올려놓을 수 있다. 원래는 마법물체 생물의 전유물이었으나, 이번 세트에는 생물이 아닌 마법물체도 모듈 능력을 가지고 나온다. * [[Kamigawa]] * 무사도(Bushido) X: 생물이 가진 격발 능력. 무사도를 가진 생물은 다른 생물을 방어하거나 생물에게 방어당할 때마다 턴종료까지 +X/+X를 받는다. * 영력(Channel): 생물 카드가 가진 활성화 능력. 영력 비용을 지불하면서 손에서 버리면 그 카드가 생물로서 가진 능력을 강화판, 혹은 약화판으로 적용한다. * [[Ravnica]] * 예보(Forecast): [[아조리우스 평의회]]의 능력. 소유자의 유지단 동안 한 턴에 한 번만 활성화할 수 있는 능력으로, 공통적으로 마나를 지불하는 동시에 자기 자신을 손에서 공개하는 것을 비용으로 한다. 이렇게 활성화된 예보 능력은 원본 주문의 약화판이거나 원본 주문과 연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것도 특징. * 광분(Hellbent): [[락도스 광신단]]의 능력. 광분을 가진 주문/지속물은 조종자의 손에 카드가 없다면 추가적인 능력이 적용된다. * 복제(Replicate) {X}: [[이젯 연합]]의 능력. 복제를 가진 주문을 발동하면서 복제 비용을 원하는 만큼 지불할 수 있으며, 그 경우 이렇게 복제 비용을 지불한 횟수만큼 그 주문을 복사한다. * [[Time Spiral]] * 찰나(Split Second): 찰나를 가진 주문이 스택에 있는 한 주문을 발동하거나 마나 능력이 아닌 활성화 능력을 활성화할 수 없다. * 은신(Shroud): 은신을 가진 지속물은 조종자를 포함해서 그 어떤 주문이나 능력의 목표도 될 수 없다. [[모던 호라이즌]]과 마찬가지로 은신을 가진 과거 카드가 재판되었다. * 유예(Suspend) X―{Y}: 주문이 가진 능력. 유예를 가진 주문은 유예 비용을 지불하고 시간 카운터 X개를 올려놓은 채로 추방할 수 있다. 시간 카운터는 조종자의 유지단 시작에 한 개씩 제거되며, 이렇게 마지막 시간 카운터가 없어지면 마나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발동할 수 있다. 유예로 발동하여 전장에 들어온 생물은 신속을 가진다. 가끔씩 마나비용이 없는 카드도 있는데, 이 경우는 유예로만 발동하는 것을 의도한 경우. * 카드 유형 순환([Type]cycling) {X}: [[Future Sight]]에 등장한 순환 능력의 변형으로, Odyssey에 등장한 대지 유형 순환의 확장이기도 하다. 순환 비용을 지불하면서 스스로를 버리면 해당하는 유형을 가진 카드를 서고에서 찾아 공개한 후 손에 넣는다. (그리고 서고를 섞는다.) * 소실(Vanishing) X: 지속물이 가진 능력. 소실을 가진 지속물은 시간 카운터 X개를 가지고 전장에 들어온다. 시간 카운터는 유예의 시간 카운터와 마찬가지로 조종자의 유지단 시작에 한 개씩 제거되며, 이렇게 마지막 남은 시간 카운터가 없어지면 희생된다. * [[Lorwyn-Shadowmoor]] * 환기(Evoke) {X}: 생물이 가진 능력. 환기를 가진 생물 주문은 환기 비용으로 발동할 수 있으며, 환기 비용으로 발동한 생물은 전장에 들어오면서 희생된다. 한편 이들은 전장에 들어올 때, 혹은 전장을 떠날 때 격발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생물을 집중마법(혹은 순간마법)처럼 사용할 수 있는 셈. 모던 호라이즌 2에서는 환기 비용으로 마나를 지불하지 않고 손의 카드를 추방하는 [[피치 주문]]의 특성을 가진 미식레어 등급의 정령 ~~화신~~현신 사이클이 등장한다. * 보강(Reinforce) X―{Y}: 카드가 가진 활성화 능력 보강을 가진 카드는 스스로를 버리고 보강 비용을 지불하면, 생물을 목표로 정해 +1/+1 카운터 X개를 올려놓을 수 있다. * 종족(Tribal) 카드 유형: 생물 유형을 하위 유형으로 가지는 카드 유형. 생물 유형을 참조하는 주문/능력이 같은 하위 유형을 가진 종족 카드도 참조한다. 가령 [[Spellstutter Sprite|페어리의 수를 참조하는 생물]]은 [[Bitterblossom|생물이 아닌 페어리 지속물]]도 계산에 넣는다. * [[Shards of Alara]] * 기본 대지순환(Basic landcycling) {X}: 순환의 변형으로, 카드의 활성화 능력이다. 기본 대지순환 비용을 지불하면서 스스로를 버리면 서고에서 기본 대지 카드 한 장을 찾아 공개하고 손에 넣는다. (그리고 서고를 섞는다.) * 연쇄(Cascade): 주문이 가진 격발 능력. 연쇄를 가진 주문을 발동할 때, 조종자의 서고 맨 위에서 그 주문보다 마나 값이 적은 비대지 카드가 나올 때까지 카드를 추방한다. 이렇게 추방된 카드는 (둘 이상의 주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발동할 수 있는 카드라면 연쇄를 가진 주문 본체보다 마나 값이 적은 쪽으로만) 마나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발동할 수 있다. 추방된 채로 남아있던 카드들은 모든 처리가 끝나고 소유자의 서고 맨 밑으로 무작위로 돌아간다. * 포식(Devour) X: 준드 샤드의 능력으로, 생물이 가진 격발 능력. 전장에 들어오면서 특정한 유형의 지속물을 원하는 만큼 희생하고, 이렇게 희생한 지속물마다 +1/+1 카운터 X개를 얻는다. 일반적으로 단서조항이 없으면 생물을 포식하나, 모던 호라이즌 2에서는 마법물체를 포식하는 마법물체 포식(Devour Artifact) 능력이 등장했다. * 고귀(Exalted): 반트 샤드의 능력으로, 지속물이 가진 격발 능력. 조종자가 조종하는 생물이 혼자 공격할 때마다 그 생물이 턴종료까지 +1/+1을 받도록 한다. * 발굴(Unearth) {X}: 그릭시스 샤드의 능력으로, 생물 카드가 가진 활성화 능력. 집중마법 시기에 발굴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무덤에서 전장에 놓을 수 있다. 이렇게 전장에 들어온 생물은 신속을 가지며, 종료단이 시작되거나 그 전에 전장을 떠나려고 하면 대신 추방된다. * [[Zendikar]] * 대지력(Landfall): 지속물이나 주문이 가진 능력. 지속물이라면 대지가 조종자의 조종하에 전장에 내려올 때마다 격발되는 능력이며, 지속물이 아니라면 대지가 이 턴 조종자의 조종하에 전장에 내려왔을 경우 적용되는 추가적인 능력을 가리킨다. ~~보기보다 복잡했다~~ 다행히도 비지속물 주문은 Zendikar에 등장한 사이클 5종뿐이었으며 이후로는 전부 지속물의 격발 능력으로만 존재한다. * 멀티키커(Multikicker) {X}: 키커의 변형. 멀티키커 비용은 원하는 만큼 지불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하면 추가적인 능력이 멀티키커 비용을 지불한 수만큼 적용된다. * 반동(Rebound): 순간마법 및 집중마법이 가진 능력. 반동을 가진 주문은 손에서 발동했다면 해결되면서 추방되며, 이렇게 추방된 카드를 다음 조종자의 유지단에 마나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발동할 수 있다. * [[Scars of Mirrodin]] * 생체병기(Living Weapon): 장비가 가진 격발 능력. 생체병기를 가진 장비는 전장에 들어오면서 0/0 흑색 피렉시아 세균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들고 거기에 장착되어 처음부터 생물인 것처럼 행동할 수 있다. * 금속조종술(Metalcraft): 금속조종술을 가진 주문/지속물은 조종자가 마법물체를 세 개 이상 조종한다면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 증식(Proliferate): 키워드 행동. 플레이어와 지속물을 원하는 만큼 선택하여, 각 대상이 가진 각 종류의 카운터마다 그 카운터를 한 개씩 더 올려놓는다. * [[이니스트라드]] * 사망(Morbid): 사망을 가진 주문/지속물은 이 턴 생물이 죽었다면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 [[라브니카로의 귀환]] * 진화(Evolve): [[시믹 조합]]의 메카니즘으로, 생물의 격발 능력. 진화를 가진 생물은 조종자의 조종 하에 자신보다 공격력이나 방어력이 더 높은 생물이 들어올 때마다 +1/+1 카운터 한 개를 얻는다. * 과부하(Overload) {X}: [[이젯 연합]]의 메카니즘. 과부하를 가진 주문은 기본적으로 목표를 잡는 주문이나, 과부하 비용을 지불하면 원래 주문이 목표로 잡을 수 있는 각 대상에게 적용되는 목표를 잡지 않는 주문이 된다. * 섭취(Scavange) {X}: [[골가리 무리]]의 메카니즘으로, 생물 카드가 가진 활성화 능력. 집중마법 시기에 섭취 비용을 지불하면서 스스로를 추방하면 생물을 목표로 정해 +1/+1 카운터를 자신의 공격력만큼 올려놓는다. * [[테로스]] * 신앙심(Devotion): 조종자가 조종하는 지속물의 마나비용에 기재된 특정 색 마나 심볼 수의 총합을 그 색에 대한 신앙심으로 정의한다. 어떤 주문이나 능력은 이 신앙심을 참조한다. * [[타르커의 칸]] * 질주(Dash): [[콜라간 부족]]의 메카니즘. 생물이 가진 능력으로, 질주를 가진 생물 주문은 질주 비용을 지불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렇게 전장에 들어온 생물은 신속을 가지며 종료단에 소유자의 손으로 돌아간다. * 파헤치기(Delve): [[술타이 군락]]의 메카니즘. 파헤치기를 가진 주문은 조종자의 무덤에서 카드를 추방하는 것으로 추방하는 카드 한 장당 그 주문의 마나비용 중 {1}을 대신 지불할 수 있다. * 착취(Exploit): [[실룸가르 부족]]의 메카니즘. 착취를 가진 생물은 전장에 들어오면서 생물 한 개를 희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물을 희생하면 추가적인 능력이 적용된다. * 버티기(Outlast) {X}: [[아브잔 일가]]의 메카니즘. 생물이 가진 활성화 능력으로, 집중마법 타이밍에 버티기 비용을 지불하고 탭하는 것으로 +1/+1 카운터 한 개를 얻는다. * [[매직의 기원]] * 명성(Reknown) X: 명성 키워드를 가진 생물은 명성을 얻지 않은 상태로 시작하여 플레이어에게 전투 피해를 입히는 데에 성공하면 +1/+1 카운터 X개와 명성을 얻는다. 대부분의 생물들은 명성을 얻은 상태에서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 [[젠디카르 전투]] * 화합(Converge): 화합을 가진 주문은 발동할 때 지불한 마나의 색의 갯수를 참조하여 능력이 변화한다. 가령 같은 주문이라도 {W}{W}{W}로 발동했다면 그 주문이 참조하는 특정한 수치가 1이 되며, {W}{B}{G}로 발동했다면 3이 되는 식. 가끔씩 {X}가 발비에 들어간 주문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X를 직접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지불한 마나의 색의 갯수를 참조하게 된다. * 지원(Support) X: 키워드 행동. 생물을 X개까지 목표로 정해 +1/+1 카운터를 한 개씩 올려놓는다. 생물의 활성화/격발 능력이라면 자기 자신에게는 올릴 수 없다. *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 섬망(Delirium): 섬망을 가진 주문/지속물은 조종자의 무덤에 있는 카드들의 카드 유형 갯수가 총합 넷 이상이라면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 조사(Investigate) & 단서(Clue): 단서는 마법물체의 하위 유형으로, "{2}, 이 마법물체를 희생한다: 카드 한 장을 뽑는다."를 가진다. 조사는 이 단서 마법물체 토큰을 만드는 키워드 행동을 의미한다. * [[칼라데시]] * 탑승물(Vehicle): 마법물체의 하위 유형으로, 생물이 아님에도 생물로서의 능력치와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경우 탑승(Crew) X 능력으로 조종하는 생물들을 공격력 총합 X 이상이 되도록 탭하여 턴종료까지 마법물체 생물이 되지만, 모던 호라이즌 2에서는 각인과 연계하여 탑승을 거치지 않고 각인된 생물의 복사본이 되는 능력을 가진 탑승물이 나왔다. * [[아몬케트]] * 여파(Aftermath): 스플릿 카드의 변형. 스플릿 카드의 한쪽은 손에서만 발동할 수 있는 일반 주문이며, 다른 한 쪽은 무덤에서만 발동할 수 있는 여파를 가진 주문이다. 여파로 발동한 주문은 스택을 떠날 때 추방된다. * 영생화(Eternalize) {X}: 생물이 가진 활성화 능력. 집중마법 시기에 내 무덤에 있는 영생화를 가진 생물 카드를 영생화 비용을 지불하고 추방하는 것으로, 그 생물 카드의 복사본이지만 마나비용이 없고 다른 모든 색을 잃고 흑색이며 다른 모든 유형에 더해 좀비이고 공격력/방어력은 4/4인 토큰 한 개를 만든다. * [[익살란]] * 격노(Enrage): 생물이 가진 격발 능력. 피해를 입을 때마다 격발한다. * 탐험(Explore): 생물이 할 수 있는 키워드 행동. 서고 맨 위 카드를 공개하여, 대지라면 손에 넣는다. 대지가 아니라면 그 카드를 무덤에 넣을 수 있으며 탐험한 생물은 +1/+1 카운터 한 개를 얻는다. * 보물(Treasure): 마법물체의 하위 유형. "{T}, 이 마법물체를 희생한다: 원하는 색의 마나 한 개를 추가한다."를 기본으로 가지고 있다. * [[라브니카의 길드]] * 강제시동(Jump-Start): [[이젯 연합]]의 메카니즘. 강제시동을 가진 카드는 원래 비용에 더해 손의 카드 한 장을 버리는 것으로 무덤에서 발동할 수 있다. 강제시동으로 발동한 주문이 스택을 떠날 때에는 추방된다. * 감시(Surveil) X: [[디미르 가문]]의 능력으로, 키워드 행동. 서고 맨 위 카드 X장을 보고 그 카드들 중 원하는 만큼 무덤에 넣을 수 있으며, 무덤에 넣지 않은 카드들은 원하는 순서대로 서고 맨 위로 되돌린다. * [[라브니카의 충성]] * 적응(Adapt) X: [[시믹 조합]]의 능력. 키워드 행동으로, +1/+1 카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1/+1 카운터 X개를 얻는다. 여기에 +1/+1 카운터를 얻을 때 격발되는 능력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적응은 키워드 행동이나, 현존하는 모든 적응은 마나를 지불하고 활성화하는 활성화 능력에 의해 행동하는 것으로 사실상 활성화 능력처럼 취급된다. * 폭동(Riot): [[그룰 부족]]의 능력. 폭동을 가진 생물은 +1/+1 카운터 한 개 또는 신속 중 원하는 하나를 가지고 전장에 들어온다. * [[플레인즈워커 전쟁]] * 축적(Amass) X: 키워드 행동. 조종자가 조종하는 군대 생물에게 +1/+1 카운터 X개를 올려놓는다. 군대 생물이 없다면 먼저 0/0 흑색 좀비 군대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 [[엘드레인의 왕좌]] * 음식(Food): 마법물체의 하위유형. "{2}, {T}, 이 마법물체를 희생한다: 당신은 생명 3점을 얻는다."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 [[죽음 너머의 테로스]] * 탈출(Escape): 탈출을 가진 카드는 탈출 비용을 지불하고 무덤에서 발동할 수 있다. 탈출 비용으로 일정 수의 마나를 지불하는 것에 더해 무덤에서 다른 카드를 일정 수만큼 추방할 것을 요구한다. * [[스트릭스헤이븐: 마법 학교]] * 보호진(Ward) {X}: 스트릭스헤이븐에 처음 등장한 에버그린 키워드로, 지속물의 격발 능력. 상대가 조종하는 주문이나 능력에 목표로 찍혔을 때, 그 상대가 보호진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면 그 주문/능력을 무효화한다. * 신규 능력 * 플레인즈워커 너머로 돌진(Trample over Planeswalker): 돌진의 변형. 기존의 돌진이 자신을 방어하는 생물에게 입히는 피해의 초과분을 원래 공격 대상에게 입히듯, 플레인즈워커에게 입히는 피해의 초과분을 그 플레인즈워커의 조종자에게 입힐 수 있는 능력이다. [[폭풍의 포효, 트라스타]] 항목 참조. * 부여마법 대지(Enchantment Land) 카드 유형: [[우르자의 서사시]]가 해당하는 카드 유형을 가지고 나왔다. 해당 항목 참조. == 쇼케이스 카드 == === 레트로 보더 === [[시간의 나선]] 리마스터에서 선보였던 모던 이전 프레임의 형태로 신규 카드들 일부가 쇼케이스 프레임 형태로 발매된다. 단 한글판의 경우 구 한글판의 그 폰트까지 재현하지는 않고 현행 폰트를 그대로 사용한다. === 스케치 === 완성전의 스케치 러프 일러스트가 카드로 실려있다. 몇몇 것은 어떤 상황의 일러스트를 요구했는지 플레이버 텍스트로 적혀있다. == 기타 == * 이 세트를 기점으로 [[칼드하임]]에서 선보인 '피렉시아' 생물 타입 추가의 대량 에라타가 이루어졌다. [[분류:매직 더 개더링/확장판]]